분류 전체보기 1061

Re:Re:휘 공권(諱 公權)의 양자 차서(兩子 次序)에 대한 반증(反證)

고려사 99권 열전 12 유공권〔유택(柳澤)의 기사 첨부〕 유공권의 자는 정평(正平)이며 유주(儒州) 사람이다. 그의 6대조는 대승(大丞) 차달(車達)인데 태조를 보좌하여 공신으로 되었다. 유공권은 어려서부터 공부하기를 좋아하였으며 초서(草)와 예서(隸)를 잘 썼다. 과거에 급제하고 익양부 녹사(翼陽..

문화류씨 2008.10.03

Re:휘 공권(諱 公權)의 양자 차서(兩子 次序)에 대한 반증(反證)

고려사 99권 열전 12 유공권〔유택(柳澤)의 기사 첨부〕 유공권의 자는 정평(正平)이며 유주(儒州) 사람이다. 그의 6대조는 대승(大丞) 차달(車達)인데 태조를 보좌하여 공신으로 되었다. 유공권은 어려서부터 공부하기를 좋아하였으며 초서(草)와 예서(隸)를 잘 썼다. 과거에 급제하고 익양부 녹사(翼陽..

문화류씨 2008.10.03

Re:Re:휘 공권(諱 公權)의 양자 차서(兩子 次序)에 대한 반증(反證)

고려사 99권 열전 12 류공권〔류택(柳澤)의 기사 첨부〕 류공권의 자는 정평(正平)이며 유주(儒州) 사람이다. 그의 6대조는 대승(大丞) 차달(車達)인데 태조를 보좌하여 공신으로 되었다. 류공권은 어려서부터 공부하기를 좋아하였으며 초서(草)와 예서(隸)를 잘 썼다. 과거에 급제하고 익양부 녹사(翼陽..

문화류씨 2008.09.29

휘 공권(諱 公權)의 양자 차서(兩子 次序)에 대한 반증(反證)

♧ 인물방 96번 박용운 교수의 논문을 읽고 ♧ ♧ 박교수의 논문을 읽고 나면 언침이 동생이고, 택이 형이라는 것으로 믿어집니다. 그러나 박교수가 제시한 고려사 류공권편과 류공권 묘지명으로 방향을 돌려 보면 아래의 의문점이 생깁니다. 묘지명이 발견된 이후에 문화류씨 대종회에서 발행한 여러..

문화류씨 2008.09.25

휘 공권(諱 公權)의 양자 차서(兩子 次序)에 대한 반증(反證)

♧ 인물방 96번 박용운 교수의 논문을 읽고 휘 공권(諱 公權)의 양자 차서(兩子 次序)에 대한 반증(反證) 一. 인적 상황(人的 狀況) 1. 문간공 휘 공권(文簡公 諱 公權) ― 고려 인종(仁宗 10년 壬子) 1,132년생, 명종(明宗 26년 丙辰) 1,196년 7월 19일에 운명(殞命)하시니 향년 65세이셨다. ― 고려 명종조 문신(..

문화류씨 2008.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