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나이 사람에게는 5가지 나이가 있다고 합니다. 1. 시간과 함께 먹는 달력의 나이 2. 건강수준을 재는 생물학적 나이(세포 나이) 3. 지위, 서열의 사회적 나이 4. 대화해 보면 금방 알 수 있는 정신적 나이 5. 지력을 재는 지성의 나이 그리고 “100년쯤 살아 봐야 인생이 어떻노라 말할 수 있겠지요”라는 제목으.. 상식건강 2008.10.09
Re:우선 고려사의 류공권 항목 검토입니다 [족보내용] 1. 택의 출생년도는 없으나 족보에 의하면 언침(尙書公, 諱 彦沉)은 고려 18대 의종(毅宗 21년 丁亥) 1,167년생이며 좌 복야공 휘 택(左 僕射公 諱 澤)은 : 약관(弱冠 : 20세)에 文科 급제하고, 명종 24년(1,194년 甲寅) 3월에 봉어(奉御)로 재직하였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숫자상으로 계산해 보면 보1,167년.. 문화류씨 2008.10.06
Re:Re:휘 공권(諱 公權)의 양자 차서(兩子 次序)에 대한 반증(反證) 고려사 99권 열전 12 유공권〔유택(柳澤)의 기사 첨부〕 유공권의 자는 정평(正平)이며 유주(儒州) 사람이다. 그의 6대조는 대승(大丞) 차달(車達)인데 태조를 보좌하여 공신으로 되었다. 유공권은 어려서부터 공부하기를 좋아하였으며 초서(草)와 예서(隸)를 잘 썼다. 과거에 급제하고 익양부 녹사(翼陽.. 문화류씨 2008.10.03
Re:휘 공권(諱 公權)의 양자 차서(兩子 次序)에 대한 반증(反證) 고려사 99권 열전 12 유공권〔유택(柳澤)의 기사 첨부〕 유공권의 자는 정평(正平)이며 유주(儒州) 사람이다. 그의 6대조는 대승(大丞) 차달(車達)인데 태조를 보좌하여 공신으로 되었다. 유공권은 어려서부터 공부하기를 좋아하였으며 초서(草)와 예서(隸)를 잘 썼다. 과거에 급제하고 익양부 녹사(翼陽.. 문화류씨 2008.10.03
Re:Re:휘 공권(諱 公權)의 양자 차서(兩子 次序)에 대한 반증(反證) 고려사 99권 열전 12 류공권〔류택(柳澤)의 기사 첨부〕 류공권의 자는 정평(正平)이며 유주(儒州) 사람이다. 그의 6대조는 대승(大丞) 차달(車達)인데 태조를 보좌하여 공신으로 되었다. 류공권은 어려서부터 공부하기를 좋아하였으며 초서(草)와 예서(隸)를 잘 썼다. 과거에 급제하고 익양부 녹사(翼陽.. 문화류씨 2008.09.29
휘 공권(諱 公權)의 양자 차서(兩子 次序)에 대한 반증(反證) ♧ 인물방 96번 박용운 교수의 논문을 읽고 ♧ ♧ 박교수의 논문을 읽고 나면 언침이 동생이고, 택이 형이라는 것으로 믿어집니다. 그러나 박교수가 제시한 고려사 류공권편과 류공권 묘지명으로 방향을 돌려 보면 아래의 의문점이 생깁니다. 묘지명이 발견된 이후에 문화류씨 대종회에서 발행한 여러.. 문화류씨 2008.09.25
휘 공권(諱 公權)의 양자 차서(兩子 次序)에 대한 반증(反證) ♧ 인물방 96번 박용운 교수의 논문을 읽고 휘 공권(諱 公權)의 양자 차서(兩子 次序)에 대한 반증(反證) 一. 인적 상황(人的 狀況) 1. 문간공 휘 공권(文簡公 諱 公權) ― 고려 인종(仁宗 10년 壬子) 1,132년생, 명종(明宗 26년 丙辰) 1,196년 7월 19일에 운명(殞命)하시니 향년 65세이셨다. ― 고려 명종조 문신(.. 문화류씨 2008.09.25
96번 글 박용운 교수의 논문을 읽고 휘 공권(諱 公權)의 양자 차서(兩子 次序)에 대한 반증(反證) 一. 인적 상황(人的 狀況) 1. 문간공 휘 공권(文簡公 諱 公權) ― 고려 인종(仁宗 10년 壬子) 1,132년생, 명종(明宗 26년 丙辰) 1,196년 7월 19일에 운명(殞命)하시니 향년 65세이셨다. ― 고려 명종조 문신(文臣)으로 정당문학, 참지정사, 판례부사(政.. 문화류씨 2008.09.24
Re:내용 작업(개관과 유래) 개관 류해(柳海)가 왕건(王建)이 후백제(後百濟)를 정벌할 때 사재(私財)를 털어 차(車) 1천 량을 제작, 군량과 함께 보급하여 고려 창업에 공을 세우고 익찬벽상공신(翊贊壁上功臣)에 올랐으며, 태조 왕건은 <이차위달(以車爲達)>의 뜻으로 <차달(車達)>이란 이름을 하사(下賜)했다고 한다. 삼한.. 문화류씨 2008.09.22
Re:메인 페이지와 메뉴 구성을 결정하는 토론 연일 수고 많으십니다. 토론 과정이므로 저의 의견을 제시힙니다. 1. 회원 구별 -- 회원 가입시 실명확인이 필요합니다. 혹시 정회원과 특별회원에게 질문에서 답글이나, 다른 게시물을 게시할 때 실명이므로 책임 있는 글을 쓰게 됩니다.(정회원 회비를 너무 과도하게 책정하지 마시오) 2. 역대 인물 -- .. 문화류씨 2008.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