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류씨

연안차씨 신라시대 족보탐색 : 그리고 문화류씨를 동원으로 엮은 근거 탐색

ryu하곡 2012. 7. 25. 11:27

※ 뿌리 깊은 버드나무카페(http://cafe.daum.net/moonwharyu)/류-차문제/70번 글을 소개합니다.

작성자 류재준

작성일 2012/07/25 07:09:50

글제목 설원기 독후록

17. 연안차씨 신라시대 족보탐색 : 그리고 문화류씨를 동원으로 엮은 근거 탐색

글번호:98/98

인터넷 YAHOO-검색창 “연안차씨족보-음악의시조 루퍼”에서 검색하였습니다.

1. 문화류씨와 연안차씨가 동원(同源)이라는 근거를 연안차씨 족보에서 탐색하여 보았습니다.

문화류씨 선계를 조작한 근거인 중국황제 헌원의 족보 사(姒)씨-희(姬)씨-王씨-車씨-柳씨로 이어지는 원파록의 계통 중 차씨에서 류씨로 동조이성(同祖二姓 : 조상은 같은데 성이 다름), 동원(同源 : 조상의 근원이 같다.)이 되는 근거를 연안차씨 족보에서 탐색하여 보았습니다.

1세 차무일~38세 차달까지 38세가 지나는 동안 34세 공숙까지는 아래와 같이 모두는 빠짐이 없이 벼슬이 기록 됩니다. 우리나라에 이런 가문이 있으면 이곳에 소개를 부탁합니다.

1세 차무일은 박혁거세에게서 차씨로 BC59년 사성 받고, 877년 태조왕건에게서 차효전은 차씨로 사성 되고 효금은 류씨로 사성 받았으니 약 900여 년의 연안차씨 족보가 일사불란하게 기록 되었습니다.

2. 의덕사(연안차씨 사당)에 배향 봉향된 제 선조님의 약력 (연안차씨족보 : 상세 기록은 삭제, 벼슬만 옮겼습니다.)

1世 득성시조(得姓始祖) 차무일(車無一) : 박혁거세가 차씨(車氏) 사성(賜姓) 시중(侍中)

2世 휘(諱) 신을(神乙) : 승상(丞相)

3世 휘(諱) 부기(夫起) : 승상(承相)

4世 휘(諱) 유전(惟典) : 승상(丞相)

5世 휘(諱) 무정(茂正) : 사공(司空)

6世 휘(諱) 개수(介修) : 사공(司空)

7世 휘(諱) 복(復) : 대승상(大丞相)

8世 휘(諱) 조영(祖英 : 상주국(上柱國).

9世 휘(諱) 괄(适) : 대승상

10世 휘(諱) 인상(仁相) : 승상(丞相)

11世 휘(諱) 갑승(甲乘) : 승상(丞相)

12世 휘(諱) 자개(自開) : 승상(丞相)

13世 휘(諱) 무기(武基) : 대승상(大丞相)

14世 휘(諱) 승각(升閣) : 대장군(大將軍)

15世 휘(諱) 공내(公乃) : 상장군(上將軍)

16世 휘(諱) 보전(輔傳) : 집주(執奏)

17世 휘(諱) 제능(濟能) : 대승상(大丞相)

18世 휘(諱) 등국(登國) : 아간(阿干)

19世 휘(諱) 은보(殷甫) : 승상(丞相)

20世 휘(諱) 연광(延廣) : 승상(丞相).

21世 휘(諱) 휘만(徽曼) : 승상(丞相)

22世 휘(諱) 지(智) : 승상(丞相)

23世 휘(諱) 온백(溫伯) : 승상(丞相)

24世 휘(諱) 순(楯) : 승상(承相)

25世 휘(諱) 엄(渰) : 상대등(上大等)

26世 휘(諱) 루한(婁漢) : 사공(司空)

27世 휘(諱) 순계(盾啓) : 대승상(大丞相)

28世 휘(諱) 단식(段式) : 대승상(大丞相)

29世 휘(諱) 헌(憲) : 승상(丞相)

31世 휘(諱) 검부(儉夫) : 승상(丞相)

32世 휘(諱) 건갑(建甲) : 승상(承相)

33世 휘(諱) 승색(承穡) : 승상(丞相) 본성차씨(本姓車氏)로 109년 만에 복성(復姓)

809년 애장왕 10년 좌승상승진

34世 휘(諱) 공숙(恭叔) : 사공(司空)

본성명(本姓名)을 감추고 임시로 성명(姓名)을 류숙(柳淑)

차씨(車氏)로 복성(復姓)

35世 휘(諱) 진부(振阜) : 가성명(假姓名) 류진부(柳振阜)를 본성차씨(本姓車氏)로 복성(復姓)

36世 휘(諱) 무선(茂先) : 가성류씨(假姓柳氏) 본성차씨(本姓車氏)로 복원(復元)

37世 휘(諱) 보림(普林) : 가성류씨(假姓柳氏) 본성차씨(本姓車氏)

38世 휘(諱) 달(達) : 모성류씨(冒姓柳氏=假姓柳氏)의 6세를 본성차씨(本姓車氏)로 복원(復元)하여 공(公)의 사성명(賜姓名)은 차달(車達)로 하시고 공(公)의 장자(長子)인 효전(孝全)은 조상(祖上)의 홍렬(弘烈)을 승습(承襲)케 하여 본성차씨(本姓車氏)를 계승(繼承)케 하시고 공(公)의 차자(次子) 효금(孝金)은 태조(太祖)의 특명(特命)으로 류씨(柳氏)로 사성(賜姓)하여 형제분(兄弟分)이 차류양성(車柳兩姓)으로 분성(分姓)하게 된 것이다.

 류*차 문제가 여기서부터 잉태됩니다. 류*차 동원의 근거가 마련됩니다.

 문화류씨 시조 대승공 류차달 자리를 대승 차달로 자리바꿈 하여 문화류씨 선계 가문사를 완전 조 작하고 위작합니다.

3. 신라관직 탐색

위 연안차씨 족보에 등재된 신라 관직을 네이버에서 검색하였습니다.

승상 : 중국의 역대 왕조에서 천자(天子)를 보필하던 최고관직.

한국에서는 1280년(충렬왕 6) 원나라가 고려에 설치한 정동행성(征東行省)의 최고관직을 승상이라 하였다. 원나라는 1288년 충렬왕을 정동행성 좌승상(左丞相)으로 임명하였는데, 이후 고려 국왕은 이 관직을 겸하여 '국왕승상'이라고도 하였다.

[출처] 승상 [丞相 ] | 네이버 백과사전

사공 : ① 고려 시대 태위(太尉) 사도(司徒)와 함께 삼공(三公) 중의 하나로 정1품의 최고 관직. 그러나 실무에 종사하지 않는 대우직이자 명예직이었고, 이에 적합한 인물이 없으면 비워 두었음. 언제부터 두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문종은 삼사(三師), 삼공을 각각 한 사람씩으로 하여 모두 정1품으로 정하였음. 충렬왕 때 폐지되었고 공민왕 5년에 다시 두었으나 동왕 11년에 또다시 폐지되었음. 종친(宗親) 중 나이 어린 사람에게도 주어졌음. [참고어] 삼공(三公). ②조선 시대 종친에게 주어진 관직.

대장군 : ①신라 무관직의 으뜸. ②고려 시대 이군(二軍)•육위(六衛), 곧 팔위(八衛)에 딸린 상장군(上將軍) 다음 가는 직위. 종3품. 특히 이군인 응양군(應揚軍)과 용호군(龍虎軍)의 대장군은 근장대장군(近仗大將軍)이라 칭하였음. 대장군은 상장군과 함께 무반(武班)들의 의사를 대표하는 회의 기관인 중방(重房)에 참여하였음. 공민왕 때 대호군(大護軍)으로 개칭됨. ③조선 초 의흥친군(義興親軍)의 십위에 딸린 상장군 다음 가는 직위.

상장군 : 신라 때는 대장군(大將軍)의 아래직위였다. 고려에서는 최고 지휘관 응양군(鷹揚軍)·용호군(龍虎軍)·좌우위(左右衛)·신호위(神虎衛)·흥위위(興威衛)·금오위(金吾衛)·천오위(千午衛)·감문위(監門衛) 등 이군(二軍) 육위(六衛)에 각각 1명씩을 두었으며, 으뜸벼슬로서 정3품이다. 공민왕 때는 상호군(上護軍)으로 개칭하였다.

조선 전기에는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에 예속된 10위(衛)의 으뜸 벼슬로 정3품관이었다.

[출처] 상장군 [上將軍 ] | 네이버 백과사전

아간(阿干) : 후부(後部) 출신으로, 관등은 주부(主簿)이다. 일본의 사서인 《니혼쇼키[日本書紀]》의 덴무기[天武紀]에 따르면, 677년 고구려의 대사(大使)가 되어 부사(副使)인 전부(前部)의 대형(大兄) 덕부(德富)와 함께 일본에 파견되었다고 한다. 고구려가 멸망된 해가 668년이므로 고구려 부흥운동을 전개하던 고구려 유민 집단에서 활약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으로 갈 때 신라 사신과 동행한 것으로 미루어 674년(문무왕 14)에 세워진 보덕국(報德國)의 사신이 아닌가 짐작된다. 보덕국은 신라가 고구려 유민의 힘을 이용해 당나라군을 몰아내고자 고구려 유민 안승(安勝)을 금마저(金馬渚:전라북도 익산)에 살게 하고 고구려왕으로 봉함으로써 세워진 나라이다.

[출처] 아우 [阿于] 네이버 백과사전

상주국 : 주국(柱國)과 상주국(上柱國)은 중국 고대 전국시대(戰國時代)부터 사용된 관직 명칭이다. 초(楚) 나라에서 커다란 전공(戰功)을 세운 자에게 상주국이라는 훈호(勳號)를 부여한 데에서 비롯되어, 나라에 큰 공훈을 세운 사람에게 부여되는 훈작(勳爵)의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북위(北魏)에서는 ‘주국대장군(柱國大將軍)’이라고 불렸으며, 승상(丞相)의 윗자리로 하였다. 서위(西魏) 문제(文帝) 때에는 우문태(宇文泰)를 비롯한 8인이 ‘주국대장군(柱國大將軍)’의 훈호(勳號)를 받아 이들을 ‘8주국(八柱國)’이라고 하였다. 당(唐) 나라 때에는 고구려의 27대 영류왕(榮留王, 재위 618-642)이 중국인 포로 1만여명을 돌려보내자, 624년 그에게 상주국(上柱國)의 훈호(勳號)를 부여한 바 있다.

고려에서는 제11대 왕 문종(文宗, 재위 1046-1083) 때부터 사용되었다. 당시 고려의 상주은 정이품(正二品) 에 해당하는 첫째 등급의 훈위(勳位, 공로에 따른 벼슬)로, 주국(柱國)은 종이품(從二品)에 해당하는 둘째 등급의 훈위(勳位)로 정해졌다. 또한 상주국과 주국(柱國)은 주로 고려 왕족(王族)들에게 부여되는 명예직으로 식읍(食邑)은 함께 부여되지 않았다. 이후 고려 제 25대 충렬왕(忠烈王, 재위 1274-1308) 때에 훈작제도가 혁파되면서 폐지되었다.

[출처] 상주국 [上柱國 ] 네이버 백과사전

4. 신라시대 연안차씨 족보 분석

⓵ 약 900여년의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연안차씨는 등장하지 않습니다.

⓶ 위 연안차씨 족보에 등재된 1세 차무일~34세 공숙까지 시중1명, 승상17명, 사공4명, 대승 상6명, 상주국1명, 대장군1명, 상장군1명, 집주1명, 아간1명, 상대등1명, 등 34대가 계속 신라 벼 슬에 임하였던 것으로 기록이 되었습니다. 참(眞)과 위(僞)에서 어디로 판단을 하시겠습니까?

35세~38세까 4대만 벼슬이 없습니다.

이렇게 벼슬이 연결되는 가문이 우리나라에 있으면 공개를 부탁합니다.

③. 33 世 휘(諱) 승색(承穡)에 대하여 국사편찬위원회에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기록여부를 질의하였 더니 답은 아래와 같습니다.

제목 : 차승색에 대한 질의 회신(2008.11.27.)

1. 귀하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신라 애장왕과 현덕왕 시기 <삼국사기> 내용을 검토한 결과, 차승색이라는 인물은 찾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그가 어떤 벼슬을 했는지 등도 알 수가 없습니다.

3. 이상의 사실을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끝

⓸ 결론 : 위 신라시대의 연안차씨의 족보 기사는 연안차씨 집안의 문중사일뿐입니다.

연안차씨 최초의 족보는 戊子 1708년이라고 기록되었습니다. 연안차씨와 문화류씨의 동조 이성이라 고 주장하는 출처는 차원부설원기의 원파록뿐입니다. 설원기는 위서입니다. 따라서 동조이성의 주장 은 완전 허구입니다.

글을 맺으며

1. 조선의 실학자 이선(1632~16920)이 설원기 위작자는 차천로 부자형제라 한 이후 수많은 실학자와 2,000년대 이수건, 류주환, 김난옥, 박은정 등의 연구결과에서 설원기는 위서로 판명을 내렸으며 특히 류주환교수의 역저인 “대호하루 위서와 가문사”에서 이를 확정, 위서로 명쾌하게 결론을 지었습니다.

2. 1580년 경 차천로 3부자(차식 차운로 차천로)에 의해 위서된 [차원부설원기]의 원파록이 1689년 문화류씨 기사보에 등재시킨 이후 400여년 문화류씨와 연안차씨간 동조이성 이라는 맥락을 무너뜨리기에는 많은 세월이 지나야 할 것입니다.

3. 연안차문에서는 대응 방안과 논리 전개에 부심하지 않겠습니까?

4. 문화류문에서도 좋은 것이 좋은 것이 아니겠는가? 형과 아우로 수백 년 오손도손 살아왔는데 이거 무슨 뚱딴지 같은 말이야??? 훈구적이고 수구적인 사고의 틀을 벗기가 힘든 사람이 많은 걸로 생각합니다. 그들에게 설원기가 위서라는 진실을 알리기 위해 졸문이나마 ‘설원기 독후록’을 쓰고 있는 것입니다.

5. 2008년 문화류씨대종회에서는 원파록삭제의 변을 천명하면서 연안차문과 단절을 선포한지 5년여가 지나갑니다. 문화류씨는 연안차씨 동생집이라는 해괴망측한 허구의 사슬을 벗어 던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