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차성이란 지명은 삼한시대 갑화양곡(甲火良谷) 신라시대 갑화양곡현(-縣) 신라 경덕왕 차성현(車城縣) 이후 기장현 차성현(車城縣) 地圖 高 麗 新 羅 古 朝 鮮 三 韓 車 城 地 名 變 遷 ○ 高 麗 八 代 顯 宗 蔚 山 郡 領 縣 ○ 高 麗 時 代 縣 監 代 身 監 務 設 置 後 東 萊 縣 領 縣 再 梁 州 領 縣 地 名 化 改 .. 문화류씨 2018.12.06
[스크랩] 동계사 대승공 향사 참사(叅祀) 2018년 12월 1일(음 10월 24일) 충남 공주시 반포면 동학사에 있는 숙모재에서 숙모전(단종과 정순왕후와 사육신 충신 절신 등과 숙모전 서무에 문화류씨 충경공 낭간 류성원(14번 중문지후사공후)선조와 47번에 문화인 류자미(좌상공후) 선조님향사를 모시고 삼은각에서 목은(이색) 야은(길.. 문화류씨 2018.12.02
[스크랩] 세습 노비가 조선에만 있었다는 말의 출처는? 조선의 노비 제도와 관련하여 한국의 인터넷상에는 다음과 같은 말들이 떠돌아 다닌다. “인류 역사상 같은 동족을 노예, 즉 노비로 부린 나라는 전 세계에서 오직 조선 뿐이었다. 조선의 노비 제도가 얼마나 잔혹했느냐 하면, 같은 시대 중국에서도 노비는 오직 본인 1대로만 끝났.. 문화류씨 2018.11.26
[스크랩] 버들 류(柳) 이야기 1. 사전적 이야기 뜻을 나타내는 나무목(木나무)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흐르다의 뜻을 나타내기 위한 卯(묘)의 전음(轉音)로 이루어진다. 가지나 잎이 바람에 나부끼는 모습으로 부드럽다는 뜻에서 처음에는 '부들나무'로 부르다가 '버들나무'로 변했고, 다시 발음하기 좋게 .. 문화류씨 2018.11.24
남재공 후손 영수재 향사 2018년 11월 23일(음 10월 16일) 전남 영암군 신북면 이천리(이목동) 태리동 영수재 재각에서 대승공 22세(남재공 증손) 장사랑 격 선조와 즙(증형조참의)선조와 대승공 23세(남재공 고손) 통덕량 경창선조, 익한 선조, 생원 영한선조, 대승공 24세, 25세선조 모두 21분 할아버지와 할머니 26분 합계.. 가정의례 2018.11.23
모산 낙향조 모강공 향사 2018년 11월 22일 모산 낙향조 모강공 용공선조(대승공18세, 증 대사헌)향사를 모시고 모강공 1남 몽벽선조(증형조참의) 2남 몽익선조(증이조판서) 3남 몽두선조 내금의장, 4남 몽정선조 광주목사 시제를 각 후손들이 모시고 저는 직계선조인 5남 몽삼 선조(직산군수. 대승공 19세)와 약(사복시.. 가정의례 2018.11.22
하정빌딩 현판(懸板])식 2018년 11월 20일 서울 동대문구 무학로에서 하정빌딩 현판식을 거행하였다. 류수택 하정공 종중 회장 인사말씀 현판식 선물 서울 동부병원옆 이정표(하정빌딩앞) 하정공(류관)위인전기책(아이템플 발행사는 대승공 35세 류호담 전 대종회장님이십니다) 문화류씨 2018.11.20
[스크랩] 조선시대 관직과 품계 조선시대 관직과 품계 조선왕조의 조정 및 관청의 구성에 따른 관직품계와 조정직계아문, 문.무반 외관직 관직표이다. 조선조 관직품계표 조정 직계아문 관직표 육조 속아문 관직표 문반 외관직 관직표 무반 외관직 관직표 조선조 관직표 - 무반 외관직 품계 경기도 관 경기병영(돈의문밖.. 문화류씨 2018.11.12
광주광역시에서 일어나는 이상한 일 광주광역시에서 일어나는 이상한 일 광주광역시 동구 인구가 줄어 들어 국회의원 수가 1명 줄어 들게 되자 행정구역 구역을 조정하여 북구 몇개 동을 동구에 편입 시키려는 밀실 수작을 하고 있다. 국회의원 수가 줄어 들면 예산 확보 등 별별 이유를 대며 북구 동을 동구에 편입 시키기.. 상식건강 2018.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