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류씨

[스크랩] 조선조 과거시험과 문화류씨

ryu하곡 2016. 12. 8. 12:55

 거제도의 일반적 이해

 

  과거제도가 처음 실시된 것은 중국 수나라 문제(隋文帝) 개황(開皇) 7년, 서기 587년이다. 수나라의 과거제도는 당나라에 계승되었으나 인재선발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였고 송나라에 와서 발달하게 된다.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된 것은 고려 광종(光宗) 9년, 서기 958년 후주(後周)의 귀화인인 쌍기(雙冀)의 건의를 받아드려 당나라의 제도를 모방한 과거의 법을 마련하였다. 이에 앞서 통일신라 원성왕(元聖王) 4년, 서기 788년에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가 설치되었지만 골품제의 제약으로 과거의 본래 의미를 살리지 못했다. 조선의 과거는 고려의 제도를 근간으로 1392년(태조 1)에 과거의 법을 제정하여 서울은 성균관, 지방은 각 도에 경서(經書)에 정통한 자를 추려 성균관에서 시험을 보도록 하였다.

 

 과거의 응시자격은 수공업자. 상인. 무당. 승려. 노비. 서얼을 제외하고는 누구나 응시 할 수 있었으나 차차 가문을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양반의 자제들은 어릴 때 서당에서 한문의 기초과정을 배운 뒤 8세가 되면 중앙의 서학(西學)과 지방의 향교(鄕校)에 진학하여 수학한 유생들이 소과(생원과. 진사과)에 응시하여 합격하면 생원. 진사가 되었다. 생원과 진사는 다시 서울의 최고 학부인 성균관(成均館)에 진학하였고, 이 성균관의 유생들이 대과에 응시하여 3차에 걸쳐 시험을 보아 甲. 乙. 丙 3과로 나누어 그 등급이 결정되었는데, 갑과의 장원 급제자는 종6품 이상의 참상관(參上官)으로 임명되고 병과 합격자는 정9품 이상의 관리로 임명되었다.

 

 과거시험의 시기는 3년마다 보는 정기시험인 식년시(式年試)가 원칙이었으나 1401년(태종 1년) 부터 실시된 증광시(增廣試), 1457년(세조 2년)의 별시(別試), 1492년 성종 때 국왕이 성균관에 가서 시험하는 알성문과(謁聖文科) 등이 있었다.

 

 후기에는 빈번한 과거로 인하여 과거에 합격되고도 보직을 받지못한 자가 많아지자 당파의 소속이나 뇌물과 정실에 의하여 좌우되는 등 과거의 폐단이 심하였다. 이와같은 과거제도는 천년의 제도를 끝으로 갑오경장(甲午更張)때 폐지되고 새로운 관리등용법이 채용되어 종래의 신분구별 등도 없어지게 되었다.

 

 

 

선조 문화류씨 문과급제자 정록 (등과 순)


14세 (문) 사눌(思訥) (태조(太祖)2년ㆍ식년시(式年試)ㆍ진사(進士))  20위, 29세 / (판윤(判尹))

14세 (정) 의(顗)       (태조(太祖)5년ㆍ식년시(式年試)ㆍ진사(進士))  4위 / (제학(提學))

15세 (중) 박(博)       (정종(定宗)1년ㆍ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3위 / (집의(執義))

14세 (정) 장(暲)       (정종(定宗)1년ㆍ식년시(式年試)ㆍ진사(進士))  9위 / (감사(監司))

14세 (시) 이(夷)       (정종1년ㆍ식년시(式年試)ㆍ진사(進士)) .12위 / (제학(提學))

14세 (하) 맹문(孟聞) (태종(太宗)1년ㆍ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7위 / (예조참판(禮曹參判))

15세 (중) 사근(士根) (태종(太宗)1년ㆍ증광시(增廣試)ㆍ진사(進士))  11위 / (사인(舍人))

14세 (문)사눌(思訥) (태종(太宗)7년ㆍ중시(重試)ㆍ병과(丙科))  3위 / (판윤(判尹))

14세 (하) 계문(季聞) (태종(太宗)8년ㆍ식년시(式年試)ㆍ진사(進士))  3위 / (형조판서(刑曹判書))

17세 (충) 맹손(孟孫) (세종(世宗)11년ㆍ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16위 /  (정자(正字))

15세 (하) 삼(삼)       (세종(世宗)16년ㆍ알성시(謁聖試)ㆍ을과이(乙科二))  3위 / (감찰(監察))

16세 (중) 곡(轂)       (세종(世宗)23년ㆍ식년시(式年試)ㆍ 정과(丁科))  7위, 27세 / (장령(掌令))

16세 (중) 성원(誠源) (세종(世宗)26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4위 /  (사성(司成))

16세 (중) 성원(誠源) (세종(世宗)29년 . 중시(重試)ㆍ을과(乙科))  2위 /  (사성(司成))

16세 (좌) 자미(自湄) (문종(文宗)1년ㆍ증광시(增廣試)ㆍ정과(丁科))  12위 / (감찰(監察))

17세 (중) 계분(桂芬) (단종(端宗)1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3위, 57세 / (이조정랑(吏曹正郞))

17세 (좌) 지(輊)       (단종(端宗)1년ㆍ증광시(增廣試)ㆍ정과(丁科))  6위 / (찬성(贊成))                 

15세 (하) 권(권)       (세조(世祖)2년ㆍ식년시(式年試)ㆍ정과(丁科))  1위 / (병조참판(兵曹參判))

17세 (좌) 순(洵)       (세조(世祖)8년ㆍ식년시(式年試)ㆍ정과(丁科))  8위, 22세 / (영의정(領議政))

17세 (좌) 순(洵)       (세조(世祖)12년ㆍ중시(重試)ㆍ삼등(三等))  4위 / (영의정(領議政))

17세 (좌) 순(洵)       (세조(世祖)12년ㆍ발영시(拔英試) 삼등(三等))  7위 / (영의정(領議政))

16세 (중) 상(常)       (세조(世祖)14년ㆍ온양별시(溫陽別試)ㆍ을과(乙科))  5위 / (병조참의(兵曹參議))

15세 (검) 효장(孝章) (예종(睿宗)1년ㆍ식년시(式年試)ㆍ을과(乙科))  5위 /  (도사(都事))           

16세 (중) 식(軾)       (성종(成宗)3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3위 / (전한(典翰))

17세 (좌) 호(壕)       (성종(成宗)5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6위 / (판관(判官))

18세 (중) 인동(麟童) (성종(成宗)6년ㆍ친시(親試)ㆍ병과(丙科))  9위 / (이조정랑(吏曹正郞))

16세 (검) 인호(仁濠) (성종(成宗)7년ㆍ별시(別試)ㆍ갑과(甲科))  2위 / (공조참의(工曹參議))          

16세 (검) 인유(仁濡) (성종(成宗)8년 . 식년시(式年試)ㆍ을과(乙科))  5위 / (첨정(僉正))

18세 (중) 인종(麟種) (성종(成宗)11년ㆍ식년시(式年試)ㆍ을과(乙科))  4위 / (사정(寺正))          

16세 (검) 인홍(仁洪) (성종(成宗)12년ㆍ친시(親試)ㆍ을과(乙科))  1위 / (지평(持平))

18세 (충) 정수(廷秀) (성종(成宗)14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5위,  33세 / (장령(掌令))

17세 (좌) 경(坰)       (성종(成宗)14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18위 / (첨지사(僉知事))

17세 (정) 팽석(彭碩) (성종(成宗)20년ㆍ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22위 / (필선(弼善))           

17세 (중) 희철(希轍) (연산(燕山)1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10위, 43세 / (정(正))

17세 (하) 희저(希渚) (연산(燕山)2년ㆍ식년시(式年試) . 갑과(甲科))  2위, 37세 / (부제학(副提學)) 

18세 (중) 사경(思敬) (연산(燕山)2년 . 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13위 / (참의(參議))

17세 (중) 희철(希轍) (연산(燕山)3년ㆍ중시(重試)ㆍ병과(丙科))  3위 / (정(正))

17세 (검) 공석(公奭) (연산(燕山)7년ㆍ식년시(式年試)ㆍ을과(乙科))  2위 / (성균관 박사(成均館博士)) 

18세 (검) 운(雲)       (연산(燕山)10년ㆍ식년시(式年試)ㆍ갑과(甲科))  3위, 20세 / (대사헌(大司憲))

16세 (문) 경조(敬祖) (중종(中宗)ㆍ 별시(別試)ㆍ을과(乙科))  2위 / (오위위장(五衛衛將))

19세 (충) 관(灌)       (중종(中宗)2년 . 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9위, 24세 / (좌의정(左議政))

18세 (중) 옥(沃)       (중종(中宗)2년ㆍ식년시(式年試)ㆍ갑과(甲科))  장원, 21세 / (부사(府使))

16세 (검) 추(湫)       (중종(中宗)ㆍ식년시(式年試)ㆍ을과(乙科))  5위, 63세 / (판사(判事))

16세 (검) 인수(仁洙) (중종(中宗)8년ㆍ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14위 / (부사(府使))           

18세 (좌) 지선(智善) (중종(中宗)26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11위 / (형조참판(刑曹參判))

19세 (좌) 경인(敬仁) (중종(中宗)30년ㆍ별시(別試) 병과(丙科))  7위 / (승문원 박사(承文院 博士))           

19세 (중) 잠(潜)       (중종(中宗)35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10위 / (공조판서(工曹判書))

19세 (중) 혼(渾)       (중종(中宗)36년ㆍ별시(別試)ㆍ갑과(甲科))  장원 /  (승지(承旨))

19세 (좌) 전(전)       (명종(明宗)8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7위, 23세 / (영의정(領議政))

19세 (좌) 전(전)       (명종(明宗)11년ㆍ중시(重試)ㆍ병과(丙科))  4위 / (영의정(領議政))

19세 (하) 게(게)       (명종(明宗)11년ㆍ알성시(謁聖試)ㆍ병과(丙科))  1위, 31세 / (군수(郡守))

20세 (중) 사신(思新) (명종(明宗)11년ㆍ알성시(謁聖試)ㆍ병과(丙科))  3위, 31세 / (호조정랑(戶曹正郞))

18세 (검) 덕수(德粹) (명종(明宗)15년ㆍ별시(別試) 병과(丙科))  13위 / (장령(掌令))          

18세 (검) 희림(希霖) (명종(明宗)16년ㆍ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4위, 42세 / (예조참판(禮曹參判))

19세 (하) 몽정(夢鼎) (선조(宣祖)7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3위, 48세 / (승지(承旨))          

20세 (좌) 영서(永緖) (선조(宣祖)9년ㆍ식년시(式年試)ㆍ을과(乙科))  1위, 28세 / (감정(監正))

19세 (중) 파(坡)       (선조(宣祖)12년ㆍ식년시(式年試)ㆍ갑과(甲科))  2위, 47세 / (공조정랑(工曹正郞))

18세 (문) 덕종(德種) (선조(宣祖)12년 . 식년시(式年試)ㆍ을과(乙科))  2위  / (정랑(正郞))

18세 (좌) 응용(應龍) (선조(宣祖)18년ㆍ식년시(式年試)ㆍ을과(乙科))  7위, 45세 / (좌윤(左尹))     

18세 (문) 덕종(德種) (선조(宣祖)19년ㆍ중시(重試) . 병과(丙科))  4위 / (정랑(正郞))
20세 (좌) 희서(熙緖) (선조(宣祖)19년ㆍ 알성시(謁聖試)ㆍ병과(丙科))  3위, 28세 / (지사(知事))

19세 (좌) 팽로(彭老) (선조(宣祖)21년ㆍ식년시(式年試)ㆍ을과(乙科))  5위, 31세 / (학유(學諭))           

20세 (검) 인길(寅吉) (선조(宣祖)22년ㆍ증광시(增廣試)ㆍ갑과(甲科))  2위, 36세 / (이조참판(吏曹參判))

20세 (하) 공량(公亮) (선조(宣祖)23년ㆍ증광시(增廣試)ㆍ을과(乙科))  6위, 31세 /  (공조참판(工曹參判)) 

22세 (좌) 도(塗)       (선조(宣祖)24년ㆍ별시(別試)ㆍ을과(乙科))  2위 / (부사(府使))

20세 (좌) 함형(咸亨) (선조(宣祖)27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4위, 25세 / (전적(典籍))          

21세 (중) 희분(希奮) (선조(宣祖)30년ㆍ별시(別試)ㆍ 병과(丙科))  7위, 34세 / (병조판서(兵曹判書))

20세 (충) 중룡(仲龍) (선조(宣祖)33년ㆍ별시(別試) . 병과(丙科))  1위, 43세 / (교리(校理))          

21세 (중) 기문(起門) (선조(宣祖)34년ㆍ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6위, 38세 / (필선(弼善))

18세 (중) 사경(思敬) (선조(宣祖)38년ㆍ증광시(增廣試) 갑과(甲科))  3위, 50세 / (좌랑(佐郞))

21세 (중) 희량(希亮) (광해(光海)1년ㆍ별시(別試)ㆍ을과(乙科)) 2위, 34세 / (예조참판(禮曹參判))

21세 (중) 희발(希發) (광해(光海)1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4위, 42세 / (이조참판(吏曹參判))

22세 (중) 효립(孝立) (광해(光海)1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8위, 31세 / (승지(承旨))

21세 (하) 충립(忠立) (광해(光海)2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15위, 39세 / (유수(留守))           

21세 (하) 흠(흠)       (광해(光海)8년ㆍ별시(別試)ㆍ을과(乙科))  3위, 21세 / (검열(檢閱))

22세 (충) 대화(大華) (광해(光海)10년ㆍ증광시(增廣試)ㆍ갑과(甲科))  3위, 43세 / (승지(承旨))          

22세 (중) 정립(鼎立) (광해(光海)10년ㆍ증광시(增廣試)ㆍ을과(乙科))  1위, 36세 / (사서(司書))

20세 (하) 속(洬)       (광해(光海)10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5위, 51세 / (좌랑(佐郞))

22세 (중) 두립(斗立) (광해(光海)13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4위, 21세 /  (검열(檢閱))

22세 (중) 익립(益立) (광해(光海)13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35위 / (주부(主簿))

22세 (중) 정립(正立) (광해(光海)13년 ..별시(別試)ㆍ병과(丙科))  7위, 24세 / (호군(護軍))

22세 (중) 중립(中立) (광해(光海)13년 ..별시(別試)ㆍ병과(丙科))  10위 / (생원(生員))

22세 (중) 명립(命立) (광해(光海)13년 ..알성시(謁聖試)ㆍ을과(乙科))  1위 / (전적(典籍))

22세 (좌) 경집(景緝) (인조(仁祖)2년ㆍ식년시(式年試)ㆍ을과(乙科))  2위, 38세 /  (감사(監司))

21세 (하) 효건(孝健) (인조(仁祖)2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3위, 48세 / (도사(都事)) 

21세 (하) 심(심)       (인조(仁祖)6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3위, 36세 / (장령(掌令))

22세 (하) 인량(寅亮) (인조(仁祖)8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15위, 30세 / (병조정랑(兵曹正郞)) 

22세 (중) 지립(志立) (인조(仁祖)20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10위, 42세 / (부사(府使))

20세 (검) 목(霂)       (인조(仁祖)24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21위, 39세 / (정랑(正郞)) 

20세 (문) 이후(以厚) (효종(孝宗)2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16위, 48세 / (예조정랑(禮曹正郞))

23세 (중) 현(俔)       (효종(孝宗)4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9위, 40세 / (정언(正言))                 

23세 (하) 송재(松齋) (현종(顯宗)1년ㆍ증광시(增廣試)ㆍ을과(乙科))  4위, 39세 /(장령(掌令))

23세 (시) 문우(文祐) (현종(顯宗)1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21위, 59세 / (현감(縣監))

22세 (하) 담후(譚厚) (현종(顯宗)6년ㆍ별시(別試) . 을과(乙科))  1위, 43세 / (승지(承旨))

22세 (하) 영후(榮厚) (현종(顯宗)6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7위, 44세 / (검열(檢閱))

22세 (하) 상운(尙運) (현종(顯宗)7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6위, 31세 / (영의정(領議政))

22세 (하) 구징(龜徵) (숙종(肅宗)6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10위, 32세 / (부사(府使))          

22세 (하) 봉징(胤徵) (숙종(肅宗)8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7위, 34세 / (좌윤(左尹))

24세 (하) 수함(壽咸) (숙종(肅宗)8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16위, 20세 / (진사(進士))

22세 (하) 상재(尙載) (숙종(肅宗)9년ㆍ증광시(增廣試)ㆍ을과(乙科))  7위, 40세 / (대사간(大司諫))

22세 (검) 백승(百乘) (숙종(肅宗)9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3위, 32세 / (군자감정(軍資監正))

22세 (하) 상진(尙軫) (숙종(肅宗)10년ㆍ식년시(式年試)ㆍ을과(乙科))  1위, 38세 /(찰방(察訪))

23세 (하) 봉서(鳳瑞) (숙종(肅宗)15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24위, 36세 / (교리(校理)) 

25세 (충) 환(瑍)       (숙종(肅宗)17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22위, 33세 / (예조정랑(禮曹正郞))

24세 (좌) 중무(重茂) (숙종(肅宗)20년ㆍ알성시(謁聖試)ㆍ병과(丙科))  4위, 43세 / (호조참판(戶曹參判))

23세 (하) 봉휘(鳳輝) (숙종(肅宗)25년ㆍ식년시(式年試)ㆍ을과(乙科))  1위, 41세 / (좌의정(左議政))

26세 (충) 구감(龜鑑) (숙종(肅宗)28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6위, 25세 / (정자(正字))          

22세 (하) 재원(載遠) (숙종(肅宗)31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12위, 54세 / (정언(正言))

31세 (곤) 봉명(鳳鳴) (숙종(肅宗)34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3위, 37세 / (군수(郡守))          

26세 (중) 원상(爰相) (숙종(肅宗)38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12위, 40세 /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

24세 (하) 성홍(聖洪) (숙종(肅宗)39년ㆍ 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38위, 37세 / (박사(承文院博士))

23세 (충) 여림(汝霖) (숙종(肅宗)43년 . 식년시(式年試)ㆍ갑과(甲科))  3위, 44세 / (현감(縣監))

24세 (하) 수원(壽垣) (숙종(肅宗)44년 . 정시(庭試)ㆍ병과(丙科))  7위, 25세 / (군수(君守))          

24세 (하) 필원(弼垣) (숙종(肅宗)44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10위, 30세 / (부윤(府尹))

25세 (하) 기서(基緖) (경종(景宗)1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15위, 36세 / (병조좌랑(兵曹佐郞)) 

26세 (좌) 시모(時模) (경종(景宗)1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10위, 50세 / (참의(參議))

24세 (검) 추성(樞星) (영조(英祖)9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39위, 35세 / (학유(學諭))          

26세 (좌) 시모(時模) (영조(英祖)13년ㆍ중시(重試)ㆍ병과(丙科))  1위 /  (참의(參議))

23세 (검) 일상(一相) (영조(英祖)16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22위, 49세 / (병조좌랑(兵曹佐郞))

26세 (충) 광국(匡國) (영조(英祖)26년ㆍ식년시(式年試)ㆍ을과(乙科))  2위, 29세 / (병조참의(兵曹參議))

24세 (하) 영(泳)       (영조(英祖)29년ㆍ식년시(式年試)ㆍ갑과(甲科))  3위, 56세 / (병조좌랑(兵曹佐郞))

25세 (하) 동빈(東賓) (영조(英祖)30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7위, 35세 / (생원(生員))           

27세 (좌) 환덕(煥德) (영조(英祖)31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2위, 27세 / (장령(掌令))

25세 (하) 훈(薰)       (영조(英祖)35년ㆍ식년시(式年試)ㆍ을과(乙科))  5위, 47세 / (승지(承旨))

26세 (좌) 성모(成模) (영조(英祖)38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7위, 38세 / (승지(承旨))

24세 (하) 택신(宅申) (영조(英祖)42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11위, 35세 / (지평(持平))

24세 (하) 덕중(德中) (영조(英祖)44년ㆍ식년시(式年試)ㆍ갑과(甲科))  3위, 45세 / (지평(持平))

27세 (부) 이현(頤玄) (영조(英祖)48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6위, 30세 / (헌납(獻納))           

28세 (좌) 명균(明均) (영조(英祖)48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6위, 27세 / (찰방(察訪))                

27세 (하) 회(誨)       (영조(英祖)51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17위, 37세 / (지평(持平))                 

26세 (좌) 사모(師模) (정조(正祖)13년ㆍ식년시(式年試)ㆍ을과(乙科))  7위, 40세 / (우승지(佑承旨))

28세 (시) 기풍(基豊) (순조(純祖)19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19위, 24세 / (승지(承旨))

29세 (하) 흥규(興奎) (순조(純祖)31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31위, 37세 / (승지(承旨)) 

29세 (좌) 흥길(興吉) (헌종(憲宗)3년ㆍ정시(庭試)ㆍ을과(乙科))  1위, 49세 / (참판(參判))           

26세 (하) 태현(泰鉉) (헌종(憲宗)9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13위, 37세 / (현감(縣監))

26세 (충) 정식(廷植) (고종(高宗)6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13위, 38세 / (정랑(正郞))          

29세 (중) 영도(永燾) (고종(高宗)7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7위, 63세 / (정언(正言))

29세 (시) 면호(冕鎬) (고종(高宗)10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6위, 36세 / (승지(承旨))          

31세 (좌) 인철(寅哲) (고종(高宗)27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5위, 37세 / (승지(承旨))           

29세 (충) 병일(炳一) (고종(高宗)29년ㆍ알성시(謁聖試 ㆍ병과(丙科))  2위, 40세 / (학유(學諭))

29세 (충) 병욱(炳勖) (고종(高宗)30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5위, 29세 / (학유(學諭))          

 

참고1. 파명(派名)-------------------------------------------------------------

(문)文肅公派.     (정)貞肅公派.     (중)中門使公派.     (시)侍郞公派.      (하)夏亭公派.

(충)忠景公派.     (좌)左相公派.     (검)檢漢城公派.     (부)府尹公派.      (곤)崑山君派

 

참고2. 컴퓨터에 없는 한자

 

 

 

 

 선조 문화류씨 문과급제자 통계분석

 

■  과거시험 기간 및 회수

1393년(太祖 2년) 부터 1894년(高宗 31년)까지 501년 동안 804회

 

■  다수 급제자 본관 및 인원

  1.전주이씨 784인    2.안동권씨 367인     3.파평윤씨 346인     4.남양홍씨 330인      5.안동김씨 319인

  6.청주한씨 273인    7.밀양박씨 257인     8.연안이씨 250인     9.경주김씨 208인     10.한산이씨 200인

10.반남박씨 200인   12.동래정씨 196인   13.청송심씨 194인   13.광주김씨 194인     15.광주이씨 193인

16.전의이씨 188인   17.풍양조씨 186인   18.평산신씨 178인   19.경주이씨 174인     20.연안김씨 163인

21.풍천임씨 148인   22.문화류씨 141인   23.창령성씨 134인   24.김해김씨 128인    25.풍산홍씨 127인

26.미상김씨 125인   27.순흥안씨 120인   28.해평윤씨 114인   29.영일정씨 111인    30.전주최씨 106인

31.청풍김씨 103인   21.전주류씨 100인

 

■ 문화류씨 급제자 비율

 국조방목의 기록에 의하면 조선조 문과급제한 본관성씨는 총 929개 성씨 이고 급제자는 15,147인 이다.

그 중 문화류씨는 본관성씨 중 22번 째로 141 회(133인)이다 그 비율은 0.93% 찾이 했으며, 단순 비교로는

남한 총 인구45,985,289명(2000년 통계청)인데 문화류씨는 284,083명으로 28번째 본관성씨 이다.

그 비율이 약 0.00618% 임을 볼때 150배 이상의 과거급제자를 볼 수 있다.

 

■  파종별 급제 인원

1.하정공파 38인     2.중문사공파 34인     3.좌상공파 27인     4.검한성공파 15인     5.충경공파 12인

6.문숙공파 6인      7.시랑공파 4인          8.정숙공파 3인      9.곤산군파 1인          9.부윤공파 1인 

 

■  다수 급제자 문중

- 하정공파

- 13세 림(臨) 후손 < 14세 사눌(思訥).   16세 경조(敬祖).   18세 덕종(德種).   20세 이후(以厚)

- 13세 관(寬) 후손 < 14세 맹문(孟聞). 계문(季聞).   15세 삼(삼),  권(권).  17세 희저(希渚)

- 서울 율현 약제공(約齋公)종중

   19세 몽익(夢翼) 후손 <  20세 속(속).   22세 상운(尙運), 상제(尙載).   23세 봉서(鳳瑞), 봉휘(鳳輝).

                                     24세 필원(弼垣), 수원(壽垣).   25세 동빈(東賓)

   18세 용량(用良) 후손 <  21세 효건(孝健).   22세 인량(寅亮).   23세 송재(松齋).   25세 기서(基緖)

- 영암 아산 영암공(靈岩公)종중

   19세 익(益) 후손 <  20세 공량(公亮).   21세 심(심).   22세 성후(誠厚), 영후(榮厚).   24세 성홍(聖洪)

-광주(廣州) 부사공(府使公)종중

   19세 연손(連孫) 후손 <  22세 구징(龜徵), 봉징(鳳徵).   24세 덕중(德中), 택신(宅申).   26세 태현(泰鉉)

 

-중문사공파

- 담양, 유곡 정간공(靖簡公)종중

   14세 운(운) 후손 < 15세 박(博).   18세 사경(思敬), 옥(沃).   23세 현(俔)

- 군위, 효령 정암공파(靖庵公)종중

   14세 허(허) 후손 < 15세 사근(士根),   15세 성원(誠源), 상(常).   17세 계분(桂芬).   18세 인동(麟童),

                                     인종(麟種).  19세 파(坡 )

- 시흥, 안산 문녕군(文寧君)종중

   14세 수천(壽千)후손 < 19세 혼(渾), 잠(潛).   20세 사신(思新).   21세 희분(希奮), 희발(希發), 희량(希亮).

                                   22세 효립(孝立), 충립(忠立), 정립(鼎立, 정립(正立), 명립(命立), 익립(益立),

                                  중립 (中立), 두립(斗立), 지립(志立).    26세 원상(爰相).    29세 영도(永燾) 

- 좌상공파

- 포천, 계류 판서공(判書公)종중

   17세 연(演) 후손 < 18세 지선(智善).    19세 전(전).    20세 희서(熙緖), 영서(永緖)

- 김해, 외동 신옹공(愼翁公)종중

   21세 인(인) 후손 <  22세 경집(景緝).    24세 중무(重茂).    26세 시모(時模), 성모(成模),  사모(師模). 

                               27세 환덕(煥德).   28세 명균(明均)

- 충경공파

- 충주, 포동 현감공(縣監公)종중

   17세 풍(楓) 후손 <  18세 정수(廷秀).    19세 관(灌).    22세 대화(大華).    25세 환(換)

 

■  다수 급제자 집안

 

- 삼세(三世) 급제

   22세 (하) 상운(尙運).   23세 (하) 봉휘(鳳輝).   24세 (하) 필원(弼垣) 

 

 

- 부.자(父.子) 급제 

  14세 (하) 계문(季聞),  15세 삼(삼)

  16세 (중) 곡(轂),   17세 희철(希轍) 

  17세 (중) 계분(桂芬),  18세 인동(麟童),  18세 인종(麟種)

  18세 (충) 정수(廷秀),  19세 관(灌)

  19세 (중) 혼(渾),   20세 사신(思新)

  19세 (좌) 전(전),   20세 희서(熙緖)     

  21세 (하) 효건(孝健),   22세 인량(寅亮)

  21세 (하) 심(심),   22세 영후(榮厚)      

  21세 (중) 희발(希發),   22세 중립(中立)

  21세 (중) 희분(希奮),  22세 정립(正立),  명립(命立),  익립(益立)

  21세 (중) 희량(希亮),  22세 두립(斗立)   

  22세 (검) 백승(百乘),  23세 일상(一相)

  22세 (하) 상운(尙運),  23세 봉서(鳳瑞),  봉휘(鳳輝)

  23세 (하) 봉휘(鳳輝),  24세 필원(弼垣) 

  28세 (시) 기풍(基豊),  29세 면호(冕鎬)

 

- 형제(兄弟) 급제

  14세 (하) 맹문(孟聞). 계문(季聞)

  14세 (정) 의(顗).  장(暲)

  16세 (중) 곡(轂). 식(軾)

  16세 (검) 인호(仁濠).  인유(仁濡).  인홍(仁洪)

  17세 (좌) 호(壕).  경(坰)

  18세 (중) 인동(麟童).  인종(麟種

  19세 (중) 혼(渾).  잠(潜)

  21세 (중) 희분(希奮).  희발(希發).  희량(希亮)

  22세 (하) 상운(尙運).  상재(尙載)

  22세 (하) 구징(龜徵).  봉징(胤徵)

  22세 (중) 효립(孝立).  충립(忠立)

  22세 (중) 정립(正立).  명립(命立).  익립(益立)

  23세 (하) 봉서(鳳瑞).  봉휘(鳳輝)

 

■  특정 급제자

- 다수(多數) 급제

 - 3회 급제 < 17세 (좌) 순(洵) 

  - 2회 급제 < 14세 (문) 사눌(思訥)

                    16세 (중) 성원(誠源)

                    17세 (중) 희철(希轍)

                    19세 (좌) 전(전)

                    18세 (문) 덕종(德種)

                    26세 (좌) 시모(時模)

- 장원(壯元) 급제

                    18세 (중) 옥(沃) 

                    19세 (중) 혼(渾)

- 최 연소 및 고령 급제

  - 연소  18세 (검) 운(雲)  20세

             24세 (하) 수함(壽咸)  20세

  - 고령   16세 (검) 추(湫)  63세

             29세 (중) 영도(永燾)  63세

 

■  관직 품계 분류

- 正1品 ( 7인) :  (찬성(贊成) 1인).   (영의정(領議政) 3인).   (좌의정(左議政) 3인)  

從1品 ( 2인)  :  (제학(提學) 2인)

正2品 ( 7인)  :  (판윤(判尹) 1인).  (부윤(府尹) 1인).   (판서(判書) 3인).  (유수(留守) 1인). 

                           (감정(監正) 1인)  

- 從2品 (17인) :  (감사(監司) 2인). (좌윤(左尹) 2인).  (지사(知事) 1인).  (참판(參判) 10인).

                          (대사헌(大司憲) 1인). (오위위장(五衛衛將) 1인)

正3品 (27인) :  (부사(府使) 5인).  (승지(承旨) 12인). 

 

 (판사(判事) 1인).  (참의(參議) 5인). 

                          (첨지사(僉知事) 1인).  (군자감정(軍資監正) 1인).  (부제학(副提學) 1인).

                          (대사간(大司諫) 1인)

- 從3品 ( 3인)  :  (사성(司成) 1인).  (집의(執義) 1인).  (전한(典翰) 1인)
正4品 (10인) :  (필선(弼善) 2인).  (호군(護軍) 1인).  (사인(舍人) 1인).  (장령(掌令) 6인)

- 從4品 ( 4인)  :  (군수(郡守) 3인).  (첨정(僉正) 1인)
正5品 (16인) :  (지평(持平) 4인).  (판관(判官) 1인).  (정랑(正郞) 10인).  (헌납(獻納) 1인)

- 從5品 ( 4인)  :  (교리(校理) 2인).  (도사(都事) 2인)

正6品 (13인) :  (감찰(監察) 2인).  (사서(司書) 1인).  (전적(典籍) 2인).   (정언(正言) 3인)

                          (좌랑(佐郞) 5인)

- 從6品 ( 6인) :  (주부(主簿) 1인).  (현감(縣監) 3인).  (찰방(察訪) 2인) 

正7品 ( 3인) :  (박사(博士) 3인) 

- 從9品 ( 9인) :  (학유(學諭) 4인).  (정자(正字) 3인).   (검열(檢閱) 2인)      

- 기타 (  2인) :  (생원(生員) 1인).  (진사(進士) 1인)

 

 

 

거시험의 숨은 이야기 

 

응시서류제출
 문과의 주관은 예조와 성균관이 하였는데 응시자는 시험 전에 녹명(錄名)을 하여야 한다. 시험 10일 전에 녹명소(錄名所)에서 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뒤에는 입문(入門)할 때 녹명하는 일이 많았다. 응시생들은 녹명소에 성명, 본관, 거주지와 부·조·증조·외조의 관직과 이름, 본관을 기록한 사조단자(四祖單子)를 제출하여야 한다.

 16세기 후반 이후에는 사조단자 이외에 보단자(保單子)를 제출하도록 하였다. 보단자란 6품 이상의 조관(朝官)이 서압(署押)한 신원보증서이다. 사조(四祖) 안에 현관(顯官)(종9품 이상의 관원)이 없는 경우에 지방 응시자는 경재소 관원 3인, 서울의 응시자는 해당 부의 관원 3명의 추천을 받아 제출하도록 하였다.

 허위가 드러나면 해당 관원은 파직하고 응시자는 수군(水軍)에 충정하였다. 녹명관은 사조단자와 보단자를 통해 응시 자격을 확인하고 해당 사항이 없으면 녹명책에 기입한다.

시지의 구입
 응시자들은 각자 시지(試紙)를 구입하여 시험지 끝에 본인의 관직, 이름, 본관, 거주지와 부·조·증조의 관직과 이름, 외조의 관직과 이름, 본관 등을 다섯 줄로 쓰고 관원들이 누구의 시험지인지 알아볼 수 없도록 그 위를 종이로 붙여 봉하였다. 이같이 이름을 가리는 것을 봉미법(封彌法)이라 한다.

시험장 입장과 자리배치
 입문관은 시험보는 날 새벽에 문을 열고 기다리고 있다가 녹명책을 보고 호명하여 들여보낸다. 수협관(搜挾官)은 문밖에서 응시자들의 옷과 소지품을 검색한다. 만약 책을 가지고 들어가다가 발각되면 금란관(禁亂官)에게 넘겨진다. 입장이 끝나면 입문관은 수험생들을 6자 간격으로 떼어 앉히고 금란관은 문을 잠그어 잡인들이 접근하지 못하게 하였다.

시험문제 풀기
 문과는 삼장연승법(三場連券法) 또는 동당삼장(東堂三場)이라 하여 초장(初이 끝난 하루 뒤에 중장(中場), 중장이 끝난 하루 뒤에 종장(終場)을 보았다. 시험과목은 초장에는 경학(經學), 중장에는 시.부.표(詩·賦·表), 종장에는 시무책(時務策)을 보았다.

 초장의 경학시험은 강경(講經)과 제술(製述)이다. 강경은 경서를 대상으로 하는 구술시험이고, 제술은 논문식 필답시험이다. 제술은 의의(疑義)라고도 한다. 강경에는 책을 보지 않고 물음에 답하는 배강(背講)과 책을 보고 답하는 임문고강(臨文考講)이 있다. 식년시와 증광시, 별시의 시험과목이 조금씩 다르다.

답안제출과 채점
 답안 작성이 끝나면 수권소(收券所)에 낸다. 시험지를 다 거두고 나면 낸 순서대로 100장씩 묶어 봉미관에게 넘긴다. 봉미관(封彌官), 등록관(謄錄官), 사동관(査同官), 교동관(校同官)의 손을 거쳐 시관(試官)에 넘겨지면 시관은 채점을 한다.  채점은 통.략.조.불(通·略·粗·不)의 4등급으로 나누어 통은 2분, 약은 1분, 조는 0.5분으로 계산하여 초·복시를 막론하고 3장의 성적을 통산하여 합격여부를 결정하였다. 과차는 上·中·下, 二上·二中·二下, 三上·三中·三下의 9등으로 나누고 3下를 一分으로 정한다.

 복시에 합격한 33인은 다시 전시를 보았다. 전시에서는 떨어뜨리는 것이 아니라 등급을 매기는 것이다. 왕이 甲科 3인, 乙科 7인, 丙科 23인을 성적에 따라 정하였다.

 처음에는 乙科·丙科·同進士로 구분하였다가, 태종 14년에 乙科 1·2·3등으로 바꾸었고, 세종 때에 同進士를 丁科로 바꾸었다. 세조 12년에 甲·乙·丙科로 바뀐 뒤에 내내 그대로 실시하였다.

급제자 발표
 등수를 발표하는 것을 출방(出榜)이라 한다. 출방 때에는 창방의(唱榜儀)가 거행되는데 국왕과 종친, 문무백관이 참석하였다. 주악(奏樂)이 울리고 호명(呼名)에 따라 문과급제자는 오른편에, 무과급제자는 왼편에 늘어서서 국왕에게 사배예(四拜禮)를 한다. 문과급제자에게는 이조정랑이, 무과급제자에게는 병조정랑이 홍패(紅牌)를 준다. 그리고 국왕이 어사화(御賜花), 개(蓋)와 주과(酒果)를 내린다.

급제자 축하연
 급제자들에게 정부가 축하연을 베풀어 주는데 이를 은영연(恩榮宴)이라 한다. 은영연이 끝난 다음 날 급제자들은 문과 장원의 집에 모여 예관(詣闕)하여 국왕에게 사은례(謝恩禮)를 드리며, 다음날에는 무과 장원의 집에 모여 문묘에 가서 알성례(謁聖禮)를 올린다. 그리고 나서 친지를 불러 잔치를 하거나 선배의 집을 찾아다니며 인사를 하거나 시관을 초대하여 은문연(恩門宴)을 열기도 한다.

금의 환향 
 급제자에게는 3~5일간의 유가(遊街)가 허락되었다. 청동(天童)이 앞에서 인도하고 악대가 음악을 연주하며 광대가 춤을 추고 재인이 잡희(雜戱)를 부린다. 시골 출신이 고향에 내려가면 그곳 수령과 향리들의 환영을 받고 유가한다. 향교에서 알성례를 마치면 수령이 급제자와 그 부모를 불러 주연을 베푼다.

방목의 작성과 반포
 예문관(藝文館)에서는 급제자의 성명, 자, 생년간지, 본관, 거주지, 부모의 관직과 성명, 양친 생존여부, 형제의 이름 등을 기록한 방목을 작성하여 中外에 반포한다.

 

 

 

  2009년 3월 

  문화류씨 34세 合抱. 류성현 

 

 

출처 : 아름드리 블로그
글쓴이 : 아름드리(合抱)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