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름은 '이혼(李琿)'이다. 훗날 사람들은 나를 '광해군(15대 임금)'이라고 불려진다. 조선 왕조 14대 임금인 아버지 선조와 후궁인 어머니 공빈 김씨의 둘째 아들(첫째 아들 임해군)이다. 16대 임금인 인조(능양군: 이복(인빈 김씨의 3남)동생인 정원군(定遠君)의 아들)의 숙부이다. 나는 죽어 다른 임금들 처럼 '조(祖)'나 '종(宗)'의 묘호를 얻지 못하고, 왕자때 이름 광해군으로서만 영원히 기억되는 불운한 왕이다. 폭군에 패륜아라는 오명을 쓴 채 조카를 앞세운 반정군에 의해 왕위에서 끌어내려졌기 때문이다.
나의 계모이자 아버지의 정실부인인 인목대비는 나보다 9살이나 어린 어머니이다. 그녀는 반정 후 폐위된 내 죄악을 33세 가지나 조목조목 나열했다. 자잘한 것은 없는 것으로 넘기더라도 나의 죄악은 크게 세 가지였다
1. 폐모살제(廢母殺弟), 즉 나보다 아홉 살 어리긴 하지만 엄연히 어머니뻘인 자기를 폐서인하고 자기 아버지(김제남)를 죽였으며, 이복동생인 영창대군을 죽인 패륜을 범한 죄.
2. 과도한 토목공사(경복궁 복원)로 백성을 도탄에 빠뜨린 죄.
3. 결정적으로 명나라에 대한 사대의 예를 소홀히 하고 오랑캐 나라(여진)인 후금과 '밀통'했다는 죄.
폐모살제는 어쩔 수 없는 나의 허물이다. 당쟁의 와중 계축옥사(1608년 광해군(光海君)이 즉위하자, 대북파는 영창대군(永昌大君: 인목대비의아들)을 옹립하여 역모를 꾀하였다는 이유로 소북파의 영수(領首)류영경(柳永慶)을 죽이고, 소북파 인사들을 축출하였다. 그리고 대북파은 또 계속해서 왕권에 위협이 되는 영창대군과 그 측근들을 제거하고자 하였는데, 때 마침 그 계획을 이룰 수 있게 된 사건이 계축옥사(癸丑獄事)이다.
1613년 박응서(朴應犀)·서양갑(徐羊甲)·심우영(沈友英) 등이 조령(鳥嶺-문경세재)에서 은(銀) 상인을 죽이고 은 수백 냥을 강탈한 사건이 일어났다. 그 범인 일당은 모두 서얼(庶孼) 출신들로, 자신들을 강변칠우(江邊七友)라 일컫는 무리였다. 그들은 적서차별을 폐지해 달라는 자신들의 상소가 거부당하자 불만을 품고 전국을 돌아다니며 화적질 등 악행을 일삼던 중 그런 사건을 일으킨 것이었다. (허균의 홍길동전의 모티브가 된 사건)
대북파의 이이첨이 포도대장과 짜고 그들에게 '영창대군을 옹립하여 역모를 일으키려고 했다'는 허위자백을 시켰고, 결국 그들로부터 '인목황후(仁穆王后)의 아버지 김제남(金悌男)이 자신들의 우두머리이고 인목왕후도 역모에 가담했다'는 자백을 받아냈다.
또한, 사건을 취조하는 동안 김제남과 인목황후 부녀가 의인황후(懿仁王后)의 무덤에 무당을 보내 저주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이로 인해 김제남(영창대군의 외할아버지)은 사사(賜死)되었고 그의 세 아들 역시 처형당했으며, 영창대군은 폐서인되어 강화도에 유배되어 죽음을 당한다. 뿐만 아니라 신흠(申欽)·이항복(李恒福)·이덕형(李德馨)을 비롯한 서인과 남인 세력이 대부분 몰락하고 대북이 정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이 사건이 계축년(癸丑年, 1613년)에 일어났으므로 계축옥사라고 한다.)에서 나는 나보다 아홉 살 어린 어머니 인목대비를 폐위시켰고, 그 아버지(김제남)를 죽였다.
또 내가 지시한 일은 아니지만, 아홉살 난 이복동생인 영창대군을 펄펄 끓는 방 안에서 쪄 죽임을 당했으니, 실로 할 말이 있을 수 없다. 그러나 이를 일컬어 패륜이라 할라치면 조선왕조 스물일곱 임금 가운데 온전한 왕은 과연 누구 있으랴?
나를 밀어내고 왕의 자리에 앉은 조카 인조만 해도 자기의 맏아들(소현세자)과 며느리(강빈) 손자 셋까지 모조리 다 죽여 없앴지 않았는가?
두 번째인 토목공사 건 역시 그렇다. 임진왜란의 전란 통에 궁궐도 관청도 모두 잿더미가 되어 버린 나라에서 국왕으로서 그렇게 그게 못할 일이었을까?
그랬다고 치고 넘어가자. 사실 가장 내가 왕위에서 쫓겨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세 번째였다. "再造之恩(재조지은 : 나라를 다시 만들어준 은혜)의 명나라를 배신하고 후금(後金: 청나라)과 '밀통'하였다"는 것이다.
나는 임진왜란이 터진 직후 전쟁 중에 부랴부랴 미봉책에 세자가 되었고, 압록강 넘어 도망갈 궁리에 여념이 없던 아버지 선조를 대신하여 최전방을 누비면서 적군에 맞섰다. 그 전쟁의 막전과 막후를 어떤 조정의 신하보다도 더 상세히 알며, 우리를 '도우러 온' 명나라 군의 활약(?) 역시 그 누구보다 가까이에서 지켜볼 수 있었다. 그리고 민초의 삶도 상세히 알고 있었다.
아버지 선조는 북쪽을 감히 등지고, 앉지도 않을 만큼 명의 은혜에 감사했고, 어떤 얼빠진 선비는 "중국인들은 우리 조선 인민의 아버지"라고까지 했다지만, 그들은 결코 우리를 도와주러 온 것이 아니었다.
자기네 땅에서 싸우기 싫었을 뿐이다. 순망치한(脣亡齒寒: 입술이 없어지면 이빨이 시리다는) 즉, 그들 나름의 교훈을 따랐을 뿐이다. 그들은 벽제관 전투(碧蹄館 戰鬪) 이후에는 제대로 싸우지도 않았으며, 실로 전투에는 무능하고 약탈에는 만능인 최악의 군대였다. 오죽하면 우리 백성들이 왜군은 얼레빗이요 명군은 참빗이라고 했을까!
★. 벽제관 전투(碧蹄館 戰鬪: 위치는 현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벽제동 일때이다. 명나라 장수 이여송(李如松)이 이끄는 명군과 이시다 미쓰나리(石田三成)를 중심으로 우키타 히데이에(宇喜多秀家),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다치바나 무네시게(立花宗茂)가 이끄는 일본군이 격돌, 일본 측의 승리로 끝났지만, 이여송은 명나라측에서는 승리를 주장하고 조선정부에도 승리라고 거짓 보고하며, 파주를 지나 개성으로 도주 하였다. 조선의 관리들은 명나라측 주장을 믿고 조선왕조실록에도 벽제관 전투를 '승리'라고 기록 하는 바람에 한동안 평양 전투와 벽제관 전투를 전쟁의 흐름을 바꾼 대표적인 명나라의 승리로 알고 있었다.
당시 승리했음에도 전공의 증거인 일본군 수급이 없고 개성으로 도주하는 것을 수상하게 여긴 류성룡이 언제 일본군을 다시 칠것이냐고 묻자 이여송은 "날이 개고 마르면, 다시 진군하겠소"라고 답하였다.
류성룡의 징비록에 의하면 본대인 보병을 후방에 두고 무리하게 기병과 지휘부만 이끌고 적진 깊숙이 이끌고 들어갔다가 대패하였다고 한다.
명나라측 기록은 압도적인 다수인 일본군 10만 명을 패퇴시키고, 무사히 후방으로 철수한 승리라고 하지만 일본측 기록은 명나라군 10만 명을 격파한 승리라고 한다.
기록에 따르면 명나라측은 이여송이 직접 지휘했던 정예 북방기병 3000명 중 1500명이 죽거나 다쳤고 이비어, 마천총, 이유승 등 휘하 장수 15명(혹은 용사 80여 명)이 전사해 조선에 파견된 명군 장수의 25%에 달하는 손실이 있었다.
당시 전투에 참가 한 명나라 장수 이여송은 적을 얕잡아 보아 충분한 준비를 갖추지 않고, 무리하게 진격하였다가 왜군에게 패하였다. 이에 후방에서 진을 친 조선군의 지휘관 도원수 김명원(金命元)은 명나라군이 패했다는 보고를 듣고, 군사를 고양 방면으로 퇴각하였는데, 퇴각하던 도중에 왜군의 공격을 받아 미쳐 대피하지 못한 명나라 군사들의 팔다리가 왜군에게 잘려 나가거나 얼굴이나 눈을 다친 군사들이 대오 없이 도주하는 것을 목격하였다.
이 전투 이후 명나라군은 일본군과 대결을 회피하게 되어 전술적인 패배는 물론 전략적으로도 패배이며 임진왜란의 역사상 대표적인 패착이다. 이여송은 왜군의 공격을 받았는데 이때 이여송의 심복인 이유승이 이여송을 대신하여 죽었다.)
그들은 정작 우리 군대가 왜군을 공격하려들면 기를 쓰고 막았다. 한산도(이순신)의 막강 수군은 임진년 이후 전투를 치르지 못했고, 육지에서도 왜군을 공격했다는 이유로 유성룡, 이원익 이하 고관들과 군 수뇌부가 명나라군의 일개장교 앞에 꿇어 엎드려 수모를 받은 것도 한두 번이 아니었다.
나는 임진왜란의 스타중에 스타이다. 다들 이순신을 이야기 하겠만, 실은 왜군을 당황하게 하였든 것은 바로 나, '광해' 때문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약 100년간 왜를 통일하여 16만 대군을 이끌고 신무기로 장착해 우리 땅을 침범하여 파죽지세로 북으로 올라왔지만, 그것으로 끝이였다. 왜군은 명나라 땅도 밟아 보지 못하고 뒷목을 쥐고 다시 후퇴하게 되것이 바로 나! '광해' 때문인 것을...
일본 열도에서의 전쟁은 적군의 장수가 패하거나, 항복을 하면 적장만 죽임으로 모든 상황은 끝이 난다. 다들 승리한 장군에게 복속되고, 그를 따르게 된다. 왜군들은 그렇게만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래서 조선 임금만 잡으면 전쟁은 끝났다고 생각을 하여 계속 북으로 진군을하였든 것이다.
하지만, 나는 조선의 세자로써 전란 중에 싸움터를 전국 방방곡곡을 누비며 의병을 모집하였고, 나를 중심으로 의병들과 관군이 합세하여 왜군과 게릴라 전으로 상대하였다. 이에 전국 각지에서 의병들이 들불 처럼 일어났다.
전국 각지의 의병들은 다들 한마음으로 왜군과 싸움을 벌렸다. 곳곳에 기습을 하여 왜군들이 많이 당황을 하였다. 이에 한숨을 돌린 우리 군들은 의병들과 합심을 하여 왜군과 대등한 싸움을 하게 돤 것이다. 물런 명나라 군사 개입도 도움을 준 것도 사실이다.
왜군의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전쟁이 길어짐에 원인이 조선의병들 때문이라고 하였다. 이에 바다에서는 이순신이 육지에서는 권율과 명나라 군과 우리 의병들이 왜군을 물리쳤는 것이다.
세월이 흘러 내가 왕위에 있던 1616년 여진족 누르하치가 후금을 세우고 왕을 칭했다. 나는 그를 잘 안다. 임진왜란 당시 우리에게 2만 명의 구원병을 보내어 단번에 왜군을 무찌르겠다고 한 거드름을 잔득 피우던 인물이다.
그 옛날 금나라 시절부터 "여진족이 1만이면 천하가 그를 감당할 수 없다"고 중국인들이 두려워해 마지않던 여진족이 드디어 통일 국가를 세운 것이다. 나는 직감했다. 그래서 많은 간자(간첩)을 보내 그들을 유의 주시하고 있었다. 첩보의 결론은 무능하고 썩어빠진 명나라가 불길처럼 일어나는 신흥 후금의 철기병들을 감당할 수 없을 것 임을...
*. 금나라 더 많은 자료(1편) --> http://blog.daum.net/toyotaloom?showadmin=9
*. 후금과 청나라의 자료(2편)--> http://blog.daum.net/toyotaloom/13312653
아니나 다르랴, 1618년 후금의 누르하치는 명나라에 대한 공격을 개시했다. 우리가 임진년에 왜군한테 당한 것처럼 순식간에 만주지역을 상실해 버린 명나라는 우리에게 구원병을 청했다. '재조지은(再造之恩-나라를 다시 세운 은혜)'을 갚으라는 것이다.
"너희 나라 왕(선조)이 압록강까지 쫓겨 왔을 때, 그를 도와 나라를 회복한 것이 누구냐?" 그리고 "너희 나라의 자유를 위해 우리의 젊은이들이 피 흘려 죽어간 것을 벌써 잊었느냐?"는 것이었다.
내 신하들, 그리고 재야의 말 많은 선비들, 그리고 덩달아 백성들은 명나라에 대한 은혜를 뼈에 새기고들 있었다. "중국인들은 모두 우리 조선인들의 아버지"이며 "명나라의 은혜를 잊는 것은 짐승만도 못한 행위"라는 것이 나의 신민들의 상식이었으며 누가 여기에 딴지라도 걸라치면 천하의 난신적자로 낙인찍히기 십상이었다.
임진왜란이 끝난 지 20년 가까이 되었으되 그 숭명사대(崇明事大)의 벽은 굳건했고, 명나라 사신들이 와서 수만 냥의 은을 긁어가도, 그들이 어떤 횡포를 부려도, 우리 신민들은 얌전했다. 내가 구원병 파견을 거절하고 있을 때 아마 철없는 유생들이나 머리 허연 권신들이나 이렇게 외치고 있었을 것이다.
"하늘이여 우리 임금님의 마음을 돌려 명나라를 돕게 하옵소서."
나는 미칠 것 같았다. 7년 전란 통에 사람이 사람을 잡아먹고, 서있지도 못하고 길바닥에 기어 다니는 백성들이 풀을 씹어 삼키다 푸른 물을 토하며 죽는 꼴을 지켜본 나였다.
그 참혹한 전쟁이 끝난 지 20년도 채 안된 지금, ‘대의명분’과 ‘보은’을 위해 또 한 번의 전쟁에 휘말려야 한다는 말인가?
동서남북 당파를 막론하고 거의 모든 신하들이 나에게 구원병을 보내라고 아우성을 쳤다. 하다못해 나를 지지하여 왕위에 앉히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던 권신 이이첨(대북파)마저 거기에 적극 찬동하고 나선 판이었으니 할 말이 없었다.
그럼에도 나는 외교적 해결책으로 명의 압력과 후금의 위협을 피하려고 기를 썼다. 뻔질나게 사신들을 명나라에 보내어 우리나라의 피폐함과 왜란의 상처를 이유로 군대를 일으킬 수 없음을 호소했고 심지어는 명나라에 “경솔하게 행동하지 말고 만전을 기하라”는 충고를 하려고까지 했다.
그러자 비변사에서는 난리가 났다. “속국의 처지로 대국에 대해 이래라 저래라 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는 것이다.
우여곡절 끝에 1만여 명의 명나라 구원병이 편성되었다. 1만 명 하니 별 것 아닌 것 같으냐? 그것은 조선 전체의 장정들을 쥐어짠 병력이었다.
평안도 3천5백, 전라도 2천5백, 황해도, 충청도 각 2천 등 전국 각지의 생때같은 장정들이 압록강 변 평안도 창성으로 모여들었다.
“나는 이들이 전쟁에 나가면 백전백폐.. 이미 패할 것을 알고 있었다.” (광해군일기 중)
창을 제대로 쥘 줄도 모르는 어린 양 같은 우리 군인들을 피에 굶주린 야차와 같은 당대 최강부대인 후금의 팔기군 앞에 내몰면서, 어찌 임금으로서의 자책이 없었겠느냐? 그 애꿎은 희생도 희생이려니와 그것이 빌미가 되어 임진왜란 이상 가는 참화가 덮칠지 모르는 나라의 임금으로서 베개를 높이하고 잠을 이루었겠느냐?
나는 명의 구원군인 도원수 강홍립을 불러 나는 이렇게 이야기했다.
“명나라군 장수들의 명령을 그대로 따르지 말고, 전투에 임할 때 신중에 신중을 하도록 하였다. 아니 전투 참가 시 이런 변명 저런 변명을 대면서 시간을 벌며 전투에 참가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전쟁에 참가하되 싸우지는 말고, 전투를 하되 될 수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빠져 우리 군사들이 다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제일 큰 임무라고 밀지를 내렸다.”
나중 이 말을 두고도 피 끓는 유생들은 “대의명분에 어긋나는 망발”이라고 펄펄 뛰었겠으나 나는 한 발 더 나아가 후금에까지 비밀리에 손을 댔다.
정확한 진상은 나만이 알고 있고 너희들 대에까지도 설이 분분한 이야기지만, 나는 후금과 통하고 있었다. 누대의 원수, 우리나라 북변을 승냥이처럼 위협하던 적국 후금과 나는 ‘밀통’할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는 무엇이었냐고?
명나라의 10만 대군이 전멸했던 사르허 전투에서 우리의 군대도 후금군의 철기병에 완전히 포위되었다. 때죽음을 당할 시점에 후금군이 먼저 우리에게 사신을 보내 항복을 권했다. 그들은 우리의 처지를 이해하고 있었다. 물론 그 이해는 내가 시킨 것이었다만...
사르허 전투에서 강홍립의 투항이 알려지자, 조정은 벌집 쑤신 듯했다. 강홍립의 가족을 잡아 처벌하라는 상소가 빗발쳤고 또 한 번 군을 일으켜 후금을 치자는 주장도 목소리를 높였다.
나는 피를 토할 지경이었다. 입으로 전쟁을 하는 무리들, 그 입에 내둘려 마침내 전쟁이라도 터지면.. 우리 조선은..? 하지만 그렇게 한 결과는 다음 대(인조: 정묘, 병자호란)에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으니..
대의명분에 불타오르는 신하들은 후금 진영에 붙들린 강홍립이 비밀리에 보내온 밀서를 접수하는 것조차 “적과의 밀통”이라고 시비를 걸었다. 그들에게 강홍립은 적과 내통한 쳐 죽일 놈이었고 그를 은근히 옹호하는 나는 제 구실을 못하는 군주였다. 마침내 나는 폭발했다.
“중원의 형세가 참으로 위태로우니 안으로는 자강을 꾀하고 밖으로는 고삐를 죄어 한결 같이 하여야만 나라를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인심을 보면 안으로는 일을 분변치 못하면서 밖으로는 큰소리만 친다. 신하들이 하는 소리를 들으면 전부 압록강에 나아가 결전해야 한다는 것인데.... 참으로 가상하기는 하다. 그렇다면 무사들이 서쪽 변방 (후금과의 국경)을 죽을 곳으로 여겨 부임하지 않는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는가? 생각이 한참 미치지 못하고 나오느니 헛소리뿐이로다. 우리나라 사람은 허풍으로 나라를 망칠 것이다.” (광해군 13년 6월6일 광해군일기 중)
나의 생각은 점차 신하들에게 전달되어 갔다. 그러나 그들은 나의 충정을 이해하는 대신 내 발밑을 파기 시작했다.
폐모살제라는 빌미로 이미 패륜이라는 오명을 뒤집어 쓴데다.
“재조지은”을 잊은 배은망덕한 임금이라는 빌미가 덧붙여졌고, 이이첨 등 내 척신들인 대북파의 극에 달한 부패와 탐학은 그 빌미를 명분으로 축적해 주었다.
아버지 선조가 살아있을 때 영창대군과 나를 두고 다음 왕위 승계문제에 있어서 고민을 하든 차 나의 오랜 벗이 되어 버린 궁인 김개똥(김개시)이 아버지의 수발을 맞게 되었다. 그녀의 신분은 천하였만, 오래전 부터 큰 궁궐에 오로지 나의 사람이 이었다. 전란이 끝나고 아버지 궁인이 되었지만..
개똥이는 다음 왕위 문제로 시국이 이상한 조짐을 눈치를 채고, 나를 위한 충정의 마음에 아버지 수라상에 계장과 감을 같이 올려 드시게 하였다고 한다. 실은 계장과 감은 상극의 음식이었다. 이 후 아버지 선조는 갑자기 죽음을 당하였다. 반정을 승공한 사람들이 갑자기 죽은 선대왕의 죽음 조차도 나와 개똥이의 작당으로 몰아 넣었다.
개똥이는 상궁이 되어 나의 옆을 지키게 되었다. 후금 문제로 시끄러웠을 때도 나의 곁에는 오로지 개똥이만 남아있었다.
“서인이 이를 갈고, 남인이 비웃는” 정치고립 상황은 내 말년 내내 지속되었고 마침내 운명의 날, 1623년 3월 12일 내 조카 능양군(인조)을 내세운 반정군이 창덕궁을 들이쳤고, 나의 경호대장인 훈련대장은 엎드려 그들을 맞았다. 나는 다시 왕자 때 이름 “광해군”으로 돌아왔다.
이들이 반정을 할 때에도 나에게 여러번 상소가 올라왔지만, 나의 충복인 개똥이의 말만 믿었다. 다 괜찮다고.. 개똥이는 나를 앞세워 뇌물과 청탁을 받아 상소문에 적힌 역적들을 아무 일 없다며 보고를 했기 때문이다. 개똥이는 반정 다음 날 죽임을 당하고 나는 제주도로 귀양을 가 19년간 살았다.
그 이후 조선 후기 내내 나의 이름은 폭군과 혼군과 어두운 임금의 대명사였다. 각종 기록에서 폭군이라 함은 나보다 열배는 더 포악했던 연산이 아니라, 나를 일컬음이었다.
임진왜란 당시 아버지를 대신하여 전선을 누비며 백성들을 묶어세웠던 왕세자 광해군의 활약과 완강하기 이를 데 없는 벼슬아치들과 기득권 상인들의 발악 섞인 반대를 무릅쓰고 경기도 일대에 대동법을 실시했던 나의 개혁 정책과 어떻게든 전쟁을 피하고 우리의 살길을 찾아보고자 노력했던 나의 외교적 노력은 역사의 쓰레기통 속으로 사라져 갔다.
반정으로 인해 제주도로 귀양 갈 때, 나를 수행한 병졸들은 안방과 아랫목을 차지하고 나는 건넌방에서 재웠다. 심지어 병졸들은 계집종까지도 늙은 것, 운운하며 욕을 보였다.
나에 아내는 목숨을 끊었고, 나에 아들은 땅굴을 파고 도망가다가 잡혀 죽었다. 며느리는 그 망을 보아 주다가 나무에서 떨어져 죽었다. 처참한 나에 인생 말로여.........
그러나 나는 일 점 후회는 없다. 나는 조선에 국왕으로써 최선을 다하였다. 한 나라의 왕으로서 내가 책임진 억조창생의 안위를 위하여 사력을 다해 신하들과 싸웠고, 명나라를 구슬렸고 후금의 철기병을 달랬다.
사직(社稷)을 위해 그래서 불구대천의 적과 ‘밀통’하기도 했고, 그것이 “천리(天理)를 멸하고 인륜을 끊어 위로 명나라에 죄를 지었고, 아래로 만백성에게 원한을 맺히게..” 하였을지는 모르나 나는 그것이 조선의 평화와 재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노력이었음을 믿는다. 말할 수 없는 답답함과 까닭 모를 후회.
나를 단죄한 이들은 집권하자마자 사람을 보내 평안감사와 의주부윤을 죽였다. 그들은 나의 대 후금에 대한 “햇볕 정책”을 최전방에서 실행하던 충실한 관리들이었다. 그들이 죽었을 때 우리나라에 피신해 있던 명나라 장수 모문룡이 쾌재를 불렀다고 하니,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것이다.
내가 제주도로 내려가고 4년 뒤, 후금은 조선을 공격했고(정묘호란) 또 그 9년 뒤엔 13만 대군을 이끈 청 태종의 친정(병자호란)으로 내 후임자 인조는 세 번 절하고 아홉 번 이마를 짓찧어 이마가 피범벅이 되는 굴욕(삼전도의 굴욕)을 맛보고 말았다. 거기에 국토는 또 한 번 피와 살의 진장 밭이 되었고...........
전쟁이라는 포성 같은 단어가 그다지 멀지 않게 된 후손들이여, 깊이 생각하라. 과거의 은원과 대의명분을 가지고 오늘의 득실에 무게를 다는 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도 권할 일이 아닐진대, 나라와 나라 사이의 일에서야 더 말해 무엇 하랴?
물론 피할 수 없는 전쟁도 있다. 하지만 그 전쟁이 대체 누구를 위해 벌어지는 것이며, 그 전쟁이 어디에서 벌어지는 것인가는 반드시 생각하라. 그 질문에 명확한 대답을 한 연후에 전쟁을 이야기하라.
나의 무덤은 경기도 남양주군의 어느 교회묘지 위에 나동그라져 있다. 내 형 임해군의 묘도 지척에 있다. 형의 기일이나 명절에는 그 후손들이 형의 무덤에 찾아와 제사를 하지만, 나는 그럴 후손도 없어 수백 년 동안 제삿밥 얻어먹은 적조차 없다.
하지만!
나는 결코 후회하지 않는다. 나는 내 할 일을 했던 것뿐이다.
훗날 역사가..
나에 대한 평가가 어찌 이뤄지든 나는 당시의 내 자리에서 최선을 다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 최선을 다한 노력이 무위로 돌아가는 것을 막지 못한 것조차 나의 책임을 통감한다.
나는 담담히 돌아눕는다. 이렇게 한 마디 넋두리를 남기고.....
참고 1> 4대 당파의 계보
동인과 서인: 16세기 이후 성장해온 사림 세력은 1567년 선조 즉위 후 중앙 정계에 대거 진출하여 정국을 주도해나갔다. 이들은 명종 때 윤원형(尹元衡)의 척신정치가 빚어낸 정치적·사회적·경제적 폐단을 시정하고 사림정치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했다.
그러나 척신정치의 잔재 청산방법을 둘러싸고 심의겸(沈義謙)을 중심으로 한 선배사류와 김효원(金孝元)을 중심으로 한 후배사류 사이에 의견대립이 나타났다.
1575년경(선조8년) 김효원의 이조전랑(吏曹銓郞) 제수를 심의겸이 반대하면서 대립은 더욱 첨예화되어 심의겸을 지지하던 소수의 선배사류들은 서인(西人)으로, 김효원을 지지하던 다수의 후배사류들은 동인으로 불리게 되었다.(동서분당)
서인의 분당 => 노론과 소론: 서인은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성공하여 정권을 잡았으나, 숙종 즉위초에 예송논쟁(禮訟論爭)에서 패하여 남인에게 밀렸다가 1680년(숙종 6)의 경신대출척 (庚申大黜陟)을 계기로 정권을 회복했다.
당시 숙종의 외척으로서 남인정권 때부터 병권을 장악하고 있던 김석주(金錫胄)·김만기(金萬基)·김익훈(金益勳) 등이 경신대출척의 과정에서 원훈(元勳) 1등공신이 되어 정치적으로 크게 부상하고 있었다.
그러자 정계에 재등장한 서인들은 훈척의 정치참여에 대한 입장에 따라 두 파로 분열되었는데, 타협세력에는 주로 노성한 인물이 많았고, 비판세력에는 신진사류가 많았다. 그뒤 김석주·김익훈 등이 김환(金煥)으로 하여금 남인 유생인 허새(許璽)가 역모를 꾸민다고 무고하게 하여 남인의 잔당세력을 제거했다.
이때 소장파인 한태동(韓泰東) 등이 남인을 강경하게 처벌하는 김익훈을 공격하는 상소를 올렸다. 그러자 송시열(宋時烈)이 김익훈을 두둔하고, 박세채가 소장파를 후원했다.
이를 계기로 노론과 소론이 각기 하나의 당으로 완전히 분리되었는데, 소론은 한태동·박세채 중심의 소장파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남인처벌에 강경파가 노론이었던 데 비해 신진사류들로 구성된 온건파가 소론이었다.
그리고 여기에 송시열과 그의 제자인 윤증(尹拯) 사이에서 '희니시비(懷尼是非)'라 불리는 불화가 있었는데, 윤증이 소론에 속함으로써 명분의 시비를 빌미로 분파의 형성이 더욱 촉진되었다.
노론시파:
노론벽파: 정조의 왕권강화책인 준론탕평(峻論蕩平)에 반대하며 기존의 노론 집권당 우위를 강경히 주장한 정파(政派).
동인의 붕당 => 남인과 북인: 건저의 사건(1591년- 광해군의 세자책봉 건의)으로 촉발된 정철의 처리를 두고 사형을 시켜야 한다는 강경파 '이산해'와 유배로 끝내야 한다는 온건파 '우성전'의 대립과 전랑 천거문제로 인한 이산해(한강 북쪽편)와 유성룡(영남출신)의 대립으로 분열.
남인(이황 계열) : 우성전, 유성룡, 정경세, 이덕형(이산해의 사위), 김성일, 이성중, 이경중, 허성, 김수, 이광정, 김우옹, 이원익, 윤승훈..
북인(조식, 서경덕 계열) : 이산해, 남이공, 이발, 정인홍, 유영경, 곽재우, 정개청, 김면, 김신국, 이이첨, 홍여순, 허균, 기자헌..
참고 2> 붕당의 계보..
┌훈구파
│
│
│ ┌노론 벽파
│ ┌노론────────────── ────┤
│ │ └노론 시파
│ ┌서인──────────────────────────────┤
│ │ │ ┌소론 준론
│ │ └소론────┤
│ │ └소론 완론
│ │
│ │ ┌대북
└사림파─────────┤ ┌북인────┤
│ │ │ ┌탁소북
│ │ └소북──┤
│ │ └청소북
└동인────┤
│ ┌청남
└남인──────────────────┤
└탁남
↑ ↑ ↑ ↑ ↑ ↑ ↑ ↑ ↑ ↑
4대사화 동서분당 기축옥사 인조반정 갑인예송 경신환국 신임사화 이인좌의 난 임오화변 팔자흉언
참고3>. 잘못된 진실 2.. 정여립과 정철 그리고 기축옥사 -> http://blog.daum.net/toyotaloom/13312745
'문화류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Re : 전주류씨 연혁 ... (0) | 2015.03.03 |
---|---|
[스크랩] 전주류씨대종중에 있는 문화류씨와의 관계 ... (0) | 2015.03.03 |
[스크랩] 잘못된 진실 2.. 정여립과 정철 그리고 기축옥사.. (0) | 2015.03.02 |
[스크랩] 고려대전의 이상한 고려 공신 (0) | 2015.02.24 |
[스크랩] 2005년 2007년에 있었던 일 (0) | 201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