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류씨

[스크랩] 성(姓)을 쓰기 시작한 시기

ryu하곡 2013. 5. 25. 12:31

성(姓)을 쓰기 시작한 시기

                                                                                                                                                                                                                                                                                             

출처: 한국의 성씨



성(姓)을 쓰기 시작한 시기를 사실(史實)로 추정해보면,

- 고구려는 장수왕시대(413~490)부터,

- 백제는 근초고왕시대(346~375)부터,

- 신라는 진흥왕시대(540~576)부터 성을 쓴 것으로 기록에 나타나 있으며,


삼국 시대의 성(姓)으로는


- 고구려: 고(高), 을(乙), 예(芮), 송(松), 목(穆), 간, 주(舟), 마(馬), 손(孫), 동(董), 채, 연(淵), 명림(明臨), 을지(乙支)

- 백제 : 여, 사, 연, 협, 해, 진, 국, 목, 국 등의 8족과 왕, , 사마, 수미, 고이, 흑치

- 신라 : 박, 석, 김 3성과 이, 최, 정, 손, 배, 설의 육부의 6성과 , 비

등이 있고, 왕실의 성인 고(高), 여(餘), 김(金)을 쓴 사람이 가장 많았다.


삼국사기에도 성을 쓴 사람보다는 없는 사람이 더 많았고, 주로 중국에 왕래한 사신(使臣)들과 유학자(儒學者)와 장보고(張保皐)와 같이 무역(貿易)을 한 사람들이 성을 사용하였으며, 일반민중은 신라 말기까지 성을 쓰지 않았으며, 일반민중의 성은 고려 초기에 일반화되기 시작하여 고려 후기에 널리 보급되었으며, 고려 말에 이르러서는 노비 등 천민층을 제외한 모든 양인층(良人層)이 성과 본(本)을 가졌음을 고려 말 호적문서를 보면 알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조선후기의 실학자(實學者) 청담(淸潭) 이중환(李重煥)이 적절히 설명하고 있다 하겠다. 그는 저서 "택리지(擇里志)" 총론(總論)에서 <신라 말부터 중국과 통하여 비로소 성씨를 갖게 되었으나 벼슬한 사족(士族)만이 성(姓)이 있었고, 일반 백성(百姓)은 모두 성이 없었는데 고려가 삼한을 통일하면서 비로소 팔로(八路)에 성을 내려 주어서 모두 성을 갖게 되었다>고 말하고 있는데, 이는 비교적 정확한 기술(記述)이라고 하겠다.


고려시대 성으로는


고려 태조는 각 지방을 할거(割據)해서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던 호족들을 비사후폐(卑辭厚弊)로서 회유하고 또 결혼정책을 써서 연합함으로써 그들의 협력을 얻어 후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고려 태조는 재위 23년(940)에 전국의 주·부·군·현의 명호를 고치는 동시에 건국에 협력한 호족들을 삼한공신(三韓功臣)에 책정하고, 역분전(役分田)을 지급함으로써 그들의 물질적 기반을 제공하는 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또한 왕건은 새 왕조의 수립에 공을 세운 개국공신이나 창업에 협력한 중앙세력에게 성(姓)을 내려 주었고, 또 중앙과 연결된 지방 세력들(豪族)이 그들 나름대로 창성(創姓)하여 성(姓)을 칭하게 됨으로서 새로운 신성(新姓)이 등장하게 되었다. 예건데 혁명공신인 삼능산(三能산)이 신숭겸(申崇謙)으로, 복사귀(卜沙貴)가 복지겸(卜智謙)으로, 백옥삼(白玉衫)이 배현경(裵玄慶)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성을 내린 것은 사성(賜姓)의 대표적인 예라고 하겠다. 이들은 각각 평산신씨. 면천복씨. 경주배씨의 시조가 된다.



고려의 개국공신들이 새로운 성씨의 시조로 되어 있는 성씨. [괄호 안은 시조 이름]


평산신(申)씨[숭겸崇謙], 경주배(裵)씨[현경玄慶], 면천복(卜)씨[지겸智謙], 의성홍(洪)씨[유儒], 평산유(庾)씨[검필黔弼], 안동권(權)씨[행幸], 청주한(韓)씨[란蘭], 문화류(柳)씨[차달車達], 남양홍(洪)씨[은열殷悅], 안동김(金)씨[선평宣平], 청주이(李)씨[능희能希], 파평윤(尹)씨[신달莘達], 홍주홍(洪)씨[규規], 안동장(張)씨[길吉], 금천강(姜)씨[궁진弓珍], 전의이(李)씨[도棹], 남양방(房)씨[계홍季洪], 인동장(張)씨[금용金用], 양천허(許)씨[선문宣文], 용인이(李)씨[길권吉卷], 면천박(朴)씨[술희述希], 수안이(李)씨[견웅堅雄], 아산이(李)씨[서舒], 철원최(崔)씨[준옹俊邕], 이천서(徐)씨[필弼], 원주원(元)씨[극유克猷], 풍양조(趙)씨[맹孟] 영광전(田)씨[종회宗會], 선산김(金)씨[선궁宣弓], 해평김(金)씨[훤술萱述], 봉화금(琴)씨[용식容式], 울산박(朴)씨[윤웅允雄], 중화김(金)씨[철哲]


그 후에도 호장(戶長)계열이 새로운 성씨(姓氏)의 시조가 된다. 성종대(成宗代: 981~997) 이후에는 행정편제가 틀이 잡히면서 지방관제도 정비되어, 그때까지는 호족들의 지배영역이었던 지방의 주(州). 부(府). 군(郡). 현(縣)에 중앙관리가 수령으로 파견되어 중앙정부의 통제 하에 들어가게 되는데, 이에 따라 과거의 호족들은 더러는 중앙으로 진출하여 귀족(貴族)이 되고, 더러는 지방에 그대로 처져서 그 지위가 격하되어 향리(鄕吏:戶長)가 되는 길을 밟았다.


호장(戶長)은 중앙으로부터 파견된 관리를 보좌하여 실제적인 행정사무를 맡아 보았는데, 이들에겐 직전(職田)이란 전지(田地)가 주어졌으며 호장직의 세습과 동시에 직전(職田)도 세습되었다. 고려시대의 호장이었던 인물이 오늘날 많은 성씨의 시조가 된 점은 성(姓)의 일반화라는 관점에서 볼 때 결코 무관한 일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 호장계열 새로운 성씨의 시조(혹은 중시조)로 되어 있는 성씨


기계유(兪)씨, 천녕유(兪)씨, 廣州이(李)씨, 한산이(李)씨, 여주이(李)씨, 성주이(李)씨, 진성이(李)씨, 합천이(李)씨, 원주이(李)씨, 가평이(李)씨, 한산이(李)씨, 하양허(許)씨, 풍산류(柳)씨, 고흥류(柳)씨, 단양우(禹)씨, 의성제(諸)씨, 해주최(崔)씨, 수원최(崔)씨, 고령신(申)씨, 아주신(申)씨, 초계변(卞)씨, 순창조(趙)씨, 목청상(尙)씨, 동래정(鄭)씨, 창원정(鄭)씨, 봉화정(鄭)씨, 창녕성(成)씨, 부안김(金)씨, 예안김(金)씨, 영덕김(金)씨, 광주탁(卓)씨, 반남박(朴)씨, 고령박(朴)씨, 압해박(朴)씨, 양주조(趙)씨, 여산송(宋)씨, 무송윤(尹)씨, 목청상(尙)씨, 창원황(黃)씨 양충파(亮沖派), 경주김(金)씨 위영파(魏英派), 연일정(鄭)씨 선경파(宜卿派), 안성이(李)씨 중선파(仲宣派)


고려시대에 성씨가 일반화하는 한 요인으로, 광종 9년(958)부터 실시한 과거제도를 빼놓을 수 없다.

과거제도의 시작은 , 원래 중국 후주(後周) 사람이 고려에 귀화하여 한림학사가 된 쌍기(雙冀)의 제안으로 실시되었는데, 왕권의 강화를 위해 지방 호족 출신을 중앙관료기구 속에 흡수하려는 방편으로 채택된 것이다. 이 과거제도가 정비되어 가는 과정에서, 이를테면 문종(文宗) 때에는 "호명취사법(糊名取士法)" 이라 해서 응시자의 성명. 본관. 4대조의 이름 등을 써서 풀로 봉하여 미리 시원(試院)에 제출토록 했다.


처음부터 그랬을 터이지만 과거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필수요건으로 성(姓)을 가져야 하고, 본관(本貫:출신지)을 밝혀야만 했던 것이니, 이 과거제도가 성(姓)을 널리 보급하는데 큰 구실을 했음은 충분히 짐작되는 일이다.


오늘날 성씨들의 대부분의 시조가 고려 중기 내지 후기의 인물인 점은 이 시기에 성이 널리 보급되었음을 말해 주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천민 층까지 모두 성을 갖게 된 것은 신분체제가 붕괴되기 시작한 임진왜란(1592) 이후 한말(韓末)에 이르러서였다.


이들 천민 층이 전쟁터에서 특별한 공훈을 세우는 경우에는 노비(奴妃) 신분에서 풀어주어 평민(平民)신분으로 인정해 주었으며, 전란 후 사회체제의 변동에 따라 하급관리(胥吏:서리 등)로 등용되기고 했다. 노비들이 양인(良人)으로 신분상승을 한다는 것은 그때까지 양인층(良人層) 이상만 가질 수 있던 성(姓)을 그들도 갖게 되었음을 뜻한다.


특히 1894년 갑오개혁(甲午改革)을 계기로 종래의 신분계급을 타파한 것은 성의 대중화를 확대하는데 촉진역할을 하였다. 갑오개혁(甲午改革:甲午更張) 안(案) 중 신분제도와 관련된 것은 1. 문벌(門閥)과 양반(兩班). 상민(常民) 등의 계급을 타파하여 귀천(貴賤)을 가리지 않고 인재를 등용하고, 2. 역인(驛人). 창우(唱優). 피공(皮工) 등의 천민(賤民)대우를 폐지한다는 것 등이다.


한편 1909년 민적법(民籍法)이 시행되면서 누구나 다 성(姓)을 갖게끔 되었으며, 따라서 그때까지 성(姓)이 없던 사람들도 모두 성을 만들어 갖게 되었으며, 당시 일제 경찰이 호구조사를 하면서 성이 없는 사람에게는 본인의 희망에 따라 마음대로 성을 지어 주기도 했다. 이를테면 전주에서 태어난 사람은 이씨, 경주 지방 출신은 김씨나 최씨 하는 식으로, 각기 출신지의 대성(大姓)이나 문벌(門閥)을 본 따 성을 지어주는 일이 많았던 것이다.

                   

▶ 謹 弔 ◀ 순국하신 해군 장병들의 삼가 冥福을 빕니다. 

 

출처 : 한국족보연구소
글쓴이 : 仁同人 張在亨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