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4월 24일 대산소 시제
Ⅰ. 山神祭 笏記(산신제 홀기)
| 산신제 순서 |
|
|
| |
※참석인원 : 헌관 축관 집사 3명 1. 쇄소제단(灑掃祭壇) : 산신 제단을 깨끗하게 청소한다. 2. 진찬(進饌) : 제수(과일 포 떡 고기 나물 등)를 진설한다. 3. 참사자서립(叅祀者序立) : 참사자는 제자리에 선다. 4. 분향제배(焚香再拜) : 헌관은 향에 불을 붙어 세번 올린 후 2번 절 5. 강신뇌주(降神酹酒) 再拜 : 헌관은 술잔을 잔디위에 3번 기울여 부은 후 잔올리고 2번 절 6. 참신(叅神) : 헌관이하 모두 제배 7. 헌주(獻酒) : 집사는 술잔을 내려 헌관에 술 따라 산신전에 올림 8. 정저(正箸) : 젓가락을 3번 쿵쿵 울려 제물 위에 놓는다. 9. 독축(讀祝) : 축관이 제관의 왼쪽에서 동향하여 축을 읽고 독축이 끝나면 헌관은 재배한다.. 10. 하저(下箸) : 젓가락을 내린다. 11. 사신(辭神) : 참사자 일동이 재배한후에 헌관 축관 집사는 음복을 한다. 12. 철찬(撤饌) : 제수를 물린다 |
Ⅱ. 墓祀 笏記(묘사 홀기)
| 묘사 제향 순서 |
|
|
| |
1. 變服序立(변복서립) 2. 設 蔬果酒饌(설 소과주찬) 3. 行 焚香禮(행 분향례) ①降神焚香(강신분향) 4. 行 降神禮(행 강신례) ①降神酹酒(강신뇌주) 5. 行 叅神禮(참신례) 6. 行 初獻禮(행 초헌례) ①斟酒(짐주) : 술을 가득 ②祭酒(좨주) : 세 번 지움 ③進炙(진적) ④啓飯蓋(계반개) ⑤揷匙正著(삽시정저) |
⑥讀祝(독축) ⑦初獻官 再拜(초헌관 재배) 7. 行 亞獻禮(행 아헌례) ①斟酒(짐주) ②祭酒(좨주) ③進炙(진적) ④亞獻官 再拜(아헌관 재배) 8. 行 終獻禮(행 종헌례) ①斟酒(짐주) ②祭酒(좨주) ③進炙(진적) ④終獻官 再拜(종헌관 재배) | 9. 行 侑食禮(행 유식례) ①우리가례는 添酌(첨작)과 ②삼시점반(三匙點飯)을 안함 10. 進 熟水(진 숙수) 11. 肅俟少頃 (숙사소경) 12. 告利成 13. 闔飯蓋(합반개) 14. 下匙筯(하시저) 15. 行 辭神禮(행 사신례) ①再拜(재배), 焚祝(분축) 16. 行 飮福禮(행 음복례) 17.撤饌(철찬),撤器具(철기구) |
※ 아래 홀기는 묘제와 제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니 강신례에서 (집사는 지방을 열고) 를 (집사는 지방을 붙이고) 또는 (집사는 위패를 열고) 등으로 수정하시오.
※ 헌관이 관세수세(盥洗手洗)에서 물로 손을 씻어야하는 것을 간소화하기 위해 물티슈로 손을 씻고 또 물티슈로 제기 등을 씻으면 편리합니다.
Ⅱ. 墓祭(祭室) 笏記
※ 본 笏記는 鷰光公(1810-1866) 曾孫 寅暢 先祖의 光岩 山所 笏記를 기본으로 하고, 大丞公 享祀 笏記, 夏亭公墓祀笏記(하정파보3권 부록 1쪽) 南齊公 墓祀 笏記, 節齊公(1856-1934) 家禮를 참조하여 在福 宗孫(1926-2008)으로부터 1982년 고증을 받아 編纂한 笏記입니다.
본 笏記로 代代孫孫 先祖님을 섬기고 받들어 士大夫 名文家 夏亭公 後裔의 矜持로 自尊心을 지키는 家門으로 繁昌하기를 祈願합니다.(류재균 블로그 참조)
( )안은 읽지 않아도 되나 집례는 순서로 진행되는 가를 확인 해야 함)
1. 唱 笏(홀기 읽기)
<집례>
▷ 지금부터 대산소 선조의 묘제를 올리겠습니다.
▷ 헌관이하 모든 참사자는 제단앞에 차례로 서고(연장자는 좌측부터) 집사는 (물티슈로) 손을 씻고 진설 및 제 준비상황을 점검한 후 제자리에 서시오.
1. 강신례(降神禮) : 신주를 뵙는 절차.
▷ (집사는 지방을 열고) 초헌관과 집사는 (물티슈로) 손을 닦고 초헌관은 향탁 앞에 무룹 꿇고 앉고, (우집사는 초헌관 우측에 좌집사는 초헌관 좌측에 무룹 꿇고 앉으며) 우집사는 초헌관의 향 3개에 불을 붙어 향을 세번 올린 후 양 집사는 물러나 제자리로 물러나서 (집사는 무룹 꿇고) 앉으시오.(하늘에 계신 조상님의 혼(魂)을 모시는 례)
▷ 초헌관은 머리 숙였다 일어나 재배 후 조금 물러나시오.
▷ 초헌관은 (향탁 앞에 무룹 꿇고 앉으며 좌집사는 잔을 받들고 우집사는 잔에 술을 따르고 헌관은 따른) 술을 받아 모사위에 세 번 기울여 부은 후 (술을 비워 잔을 제자리에 놓고 머리 숙였다 일어나) 재배 후 뒤로 물러 앉으시오.(땅에 계신 조상님의 백(魄)을 모시는 례)
(※ 하정공께서 불교의식을 하지 말라는 유지를 받들어 술잔을 향 위에 3번 돌리는 의식은 하지 않습니다)
2. 참신례(叅神禮) : 조상을 뵙는 절차.
▷ 초헌관이하 모든 참사자는 두번 절을 하시오.
3. 초헌례(初獻禮) : 종중 대표(종손)가 첫 번째 술을 올리는 절차.
① 계반개 삽시 정저(啓飯蓋揷匙正著)
▷ 초헌관은 향탁앞에 나가(무룹 꿇고 앉으며 집사는 제 위치에 무룹 꿇고) 앉으시오.
▷ (좌집사는 고위 비위의 잔반(술잔과 받침)을 내려 우집사에게 주고) 우집사는 초헌관에게 (드리고 우집사는) 술을 따르시오.
▷ 초헌관은 모사에 술잔을 조금씩 세 번 기울인 후 잔반을 좌집사에게 주시오.
▷ (좌집사는 잔반을 고위, 비위 전에 올리고 우집사는 육적(肉돼지고기)을 받들어 초헌관에게 주고 초헌관은 육적을 좌집사에게 주어 올린 후 좌우집사는 밥뚜껑을 열고 수저를 밥 그릇 중앙에 세위 수저의 움퍽 들어간 쪽이 신위 쪽으로 꼽고, 젓가락을 모두 합하여 3번 쿵쿵 소리내어 정리하고 제기에 놓으시오) 참사자 모두 업드리시오.
② 독축(讀祝)
▷ 참사자 모두 무릅을 끊고 앉으시오.
▷ 축관은 (초헌관 왼쪽에서 동쪽을 향해 앉아) 축문을 읽으시오.
▷ 참사자는 모두 일어서고 초헌관은 조금 물러서서 재배 후 제자리로 가시오.
(※여기까지 초헌관은 4회 8번 절을 합니다)
4. 아헌례(亞獻禮) : 종중 어른이 두 번째 술을 올리는 절차.
▷ 아헌관은 (물티슈로)손을 씻은 후 향탁 앞에 나가 (무룹 꿇고) 앉으며 좌집사는 고위, 비위전의 잔을 내려 아헌관에 주어 퇴주그릇에 술을 따르고 우집사는 새 잔에 술을 따르시오.
▷ 아헌관은 모사위에 잔을 세 번 기울인 후 (반잔을 좌집사에게 주고 좌집사는) 반잔을 고위 비위 전에 올리고, (우집사는 계적(鷄닭튀김)을 받들어 아현관에게 주고 아헌관은 계적을 좌집사에게 주고 좌집사는) 적을 올린 후 젓가락을 세 번 쿵쿵 울려서 가지런히 하시오.
▷ 아헌관은 (머리 숙였다 일어나 조금 물러서) 재배한 후 일어나서 제자리로 가시오.
5. 종헌례(終獻禮) : 특별한 사유 있는 분(방계손 타성 등)이 세번째 술을 올리는 절차.
▷ 종헌관은 (물티슈로)손을 씻은 후 향탁 앞에 나가 (무룹 꿇고) 앉으며 좌집사는 고위, 비위전의 잔을 내려 종헌관에 주어 퇴주그릇에 술을 따르고 우집사는 새 잔에 술을 따르시오.
▷ 종헌관은 모사위에 잔을 세 번 기울인 후 (반잔을 좌집사에게 주고 좌집사는) 반잔을 고위 비위 전에 올리고, (우집사는 어적(생선찜)을 받들어 종현관에게 주고 종헌관은 어적을 좌집사에게 주고 좌집사는) 적을 올린 후 젓가락을 세 번 쿵쿵 울려서 가지런히 하시오.
▷ 종헌관은 (머리 숙였다 일어나 조금 물러서) 재배한 후 일어나서 제자리로 가시오.
6. 유식례(侑食禮) : 조상께서 많이 흠향하시기를 권하는 절차.
① 진숙수(進熟水)
▷ 숭늉을 올리는 절차 이지만 생수로 대신 올립니다.
▷ 좌우 집사들은 (신위 앞에 나아가 국 그릇을 내리고) 숭늉을 올린다음 수저를 숭늉 그릇에 올리시오.(우리 가례는 무속(무당)의식이기에 添酌(첨작)과 메를 세 번 떠서 물에 마르는 삼시점반(三匙點飯)을 안함)
② 숙사소경(肅俟少頃) : 엄숙하게 조금 기다림
▷ 제 자손 동향하고 엄숙하게 한동안(1분 정도) 시립하시오.
③ 고예 이성(告禮 利成)
▷ 축관과 초헌관은 마주보고 서시오. 축관은 읍례로 초헌관에게 “이성이요”라고 고하면 초헌관은 읍례를 하시오.
④ 철시저 합반개(撤匙筯 合飯盖) ▷ 좌우집사들은 신위앞에 숟가락과 젓가락은 내리고 밥뚜껑을 덮으시오.
7. 사신례(辭神禮) : 조상을 보내는 절차.
▷ 헌관 및 집사와 모든 참석자들은 재배하시오. *여자는 四拜.
▷ 축관은 축문을 사르시오.
8. 음복례(飮福禮) : 조상 음덕을 기리는 절차.
▷ 삼헌관과 축관은 음복을 하시오.
<집례> 이상으로 세향을 모두 마치겠습니다.(집사는 위패를 닫음)
9. 진철(進撤)
▷ 좌우집사는 나아가 모든 제수를 뒤에서부터 내리시오.
'가정의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내앞 義城金氏 靑溪先生 宗家의 吉祭 (0) | 2013.05.25 |
---|---|
가례 진찬도의 반서갱동(飯西羹東) (0) | 2013.05.20 |
묘제 홀기-춘당공 시제 2013년 4월 13일 (0) | 2013.04.17 |
묘제 한글 축문(2013희채) (0) | 2013.04.06 |
재풍 묘제 축문 2013년 (0) | 2013.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