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류씨

[스크랩] 류씨와 차씨

ryu하곡 2008. 11. 5. 11:05
주요 세거지
문화류씨(文化柳氏)는 시조 류차달(柳車達)의 5대조 류색(柳穡)이 신라 헌덕왕 초에 유주(儒州) 구월산(九月山)으로 은거하여 자손들이 그곳에 세거하다가 고려가 개국하자 당시 수도인 개성(開城)에서 대대로 살아왔다.
고려가 망하자 시랑공파(侍郞公派) 11세 류당(柳溏)의 손자 류광수(柳光秀) ㆍ 류광원(柳光遠) 형제는 지금의 청원군(淸原郡) 남이면(南二面) 등등산(登登山)으로 은거하였고 후에 류광원(柳光遠)은 옥천산(沃川山)중으로 은거하여 후손이 청원군(淸原郡) ㆍ 옥천(沃川) 일원에 집단 세거하였다. 장령공파(掌令公派) 13세 류희(柳羲)가 초계군(草溪郡) 성산리(城山里)로 낙향, 후손이 그곳에서 세거하며, 곤산군파(崑山君派) 14세 류번(柳蕃)은 고려말에 조선개국파(開國派)에게 몰려 유배되었다가 후손이 대구(大邱)를 중심으로 칠곡(漆谷) ㆍ 경산(慶山) 등지에 세거하며 일부는 남원(南原) ㆍ 구례(求禮) 등지로 이거하였으며, 23세 류창무(柳昌茂)의 자손은 밀양(密陽) ㆍ 김해(金海) ㆍ 하동(下東) 등지에 산거하고 있다.
문평군파(文平君派) 13세 류소(柳沼)는 청주(淸州) 수락동(水落洞)으로 낙향하여 주로 청주(淸州)에 세거한다.
조선조에 출사(出仕)한 13세 류관(柳寬)의 후계는 수도인 한양(漢陽)에서 살다가 18세 류용공(柳用恭) ㆍ 류용강(柳用剛)이 영암(靈岩) 아산리(芽山里)로 이거하여 집성촌을 이루고 있으며, 후손 중 일부는 여수(麗水) ㆍ 고부(古阜) 등지로 이거하였다.
18세 류용량(柳用良)의 아들 류몽정(柳夢鼎)의 후손은 충주(忠州) 노은면(老隱面)으로, 18세 류용겸(柳用謙)의 아들 류몽주(柳夢周)는 황해도 백천군(白川郡) 류천면(柳川面)에 이거하며 집성촌을 이루었다.
14세 류계문(柳季聞)의 후손은 양평(楊平) ㆍ 광주(廣州) ㆍ 부안(扶安) 등지에 세거하며, 류이문(柳異聞)의 후손은 안악군(安岳郡)으로 이거하였으며 일부는 보은(報恩)에 세거한다.
문숙공파(文肅公派) 17세 류영석(柳永錫)의 아들 류선종(柳善種) ㆍ 류덕종(柳德種) 두 형제는 제천(堤川)으로 이거하였고 후대에 죽산(竹山) ㆍ 서울 등지로 옮겨간 것으로 보인다. 또 류희석(柳熙錫)은 제원군(堤原郡) 청풍면(淸風面)으로 가서 터를 잡아 그 후손이 집성촌을 이루었다.
저후사공파(袛候使公派) 16세 류인흡(柳仁洽)은 육신화(六臣禍)를 피하여 순창(淳昌)에 살고, 그의 아들 류문표(柳文豹)가 담양군(潭陽郡) 창평면(昌平面)으로 이거하여 후손이 집성촌을 이루었고, 21세 류습(柳隰)은 군위(軍威)로 이거하였으며 16세 류곡(柳轂)은 부여군(扶餘郡), 임천(林川)으로, 19세 종수(宗壽)는 진천(鎭川)으로 이거하였고 14세 류중의(柳仲宜)의 후손은 서울 ㆍ 안산(安山) ㆍ 시흥(始興) ㆍ 안양(安養) 등지에 세거하고 있다.
좌상공파(左相公派) 16세 류자미(柳自湄)의 후손은 18세 류광선(柳光先)이 울산(蔚山)에 피적(被謫)되어 그곳에 후손이 집성촌을 이루었고 일부는 량산(梁山)으로 옮겨 세거하고 있다.
20세 류순장(柳順長)의 배위는 부친(父親) 방귀온(房貴溫)의 피화(被禍)로 아들을 데리고 나주(羅州)로 이거하였고 자손중 22세 류희달(柳希達)과 23세 류시화(柳時華)는 광산군(光山郡) 본량면(本良面)으로 이거하여 집성촌을 이루었다.
15세 류종(柳淙)의 후손은 포천(抱川)에, 17세 류순(柳洵)의 후손도 광릉(光陵)에, 18세 류응세(柳應祥)의 후손은 부여(扶餘), 16세 류사문(柳思問)의 후손은 진주(晋州)에 각각 세거하고 있다.
또 14세 류은지(柳殷之)의 후손은 한양(漢陽)에서 20세 류유순(柳惟順)은 사천(泗川)에 낙향하여 일대에 집성촌을 이루고 17세 류용(柳墉)은 김해(金海)로 이거하였으며 그밖에 21세 류행(柳荇)의 후손은 공주(公州)에, 류혜(柳蕙)의 후손은 청양(靑陽)에 세거하고 있다. 15세 류사(柳泗)의 후손은 진양(晋陽)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檢漢城公波 18세 류덕용(柳德容)은 화순(和順)으로 이거하였고 일부는 가평(加平)에 살고 있다. 14세 류영(柳潁)의 자손은 16세 류정손(柳正孫)이 탕정면(湯井面) 동산리(銅山里)로, 15세 류효강(柳孝綱)이 연천군(漣川郡) 백학면(百鶴面)으로, 14세 류형(柳衡)이 김제군(金堤郡) 공덕면(孔德面) 황산리(黃山里)로 이거하여 터를 잡았으며 후대에 일부가 춘천(春川)ㆍ진주(晋州) 등지로 산거한 것으로 보인다.
貞肅公波는 15세 류도강(柳道剛)이 황해도 연안(延安)으로 이거하고 류수강(柳守剛)의 후손 20세 류한(柳漢)은 평산군(平山郡) 세곡면(細谷面)으로 이거하였다.
또 14세 류장(柳章)의 후손은 17세 류실(柳實)이 옥천(沃川)으로 이거하여 후손이 그곳에 살고 있으며 일부는 금산(錦山) ㆍ 무주(茂朱)로 이거하였다.
판사공파(判事公派)는 류응곤(柳應鯤)과 19세 류지정(柳之汀)이 칠곡(漆谷)에 살고 있고, 일부는 대구(大邱)에 이거하였다.
부윤공파(府尹公派)는 15세 류지(柳沚)가 고양(高陽)으로 이거, 후손이 그곳에 살며, 19세 류몽성(柳夢星)은 제주도(濟州道)로 이거하여 사계리(沙溪里) ㆍ 대정리(大靜里)에 집성촌을 이루었다.
충경공파(忠景公派)는 15세 류좌(柳佐)의 후손이 한양(漢陽)에 세거하다가 일부가 21세 류안복(柳安福)이 논산(論山)으로, 류광복(柳光福)이 해남(海南)으로 이거하여 집성촌을 이루었다. 15세 류경생(柳京生)의 후손은 16세 류혜(柳潓)가 청주(淸州)로 이거하고 19세 류신수(柳臣秀)가 서산(瑞山)으로 은거하여 후손이 세거하고, 16세 류적(柳績)은 안의(安義)로 이거하여 후손이 함양(咸陽) ㆍ 합천(陜川) ㆍ 거창(居昌) 등지에 세거한다. 류집(柳緝)은 곡성(谷城)으로 이거하였고 일부는 남원(南原)에 살고 있다. 15세 류강생(柳江生)의 후손은 16세 류신(柳紳)이 익산군(益山郡) 함열(咸悅)로 이거하여 살고 있다.
또 류한생(柳漢生)의 후손은 17세 류선장(柳善長)의 아들 류자영(柳自英) ㆍ 류자방(柳自芳)이 황해도로 이거하여 중화(中和) ㆍ 곡산(谷山)에 세거하며 류도장(柳道長)은 광주(光州)로 이거하고, 후대에서 무안(務安) ㆍ 나주(羅州) 등지로 이거한 것으로 보인다. 류수장(柳壽長)은 거창(居昌)으로 이거하여 거창 및 의령에 살고 그 후손 류기(柳沂)은 옥천(沃川)으로 이거하여 집성촌을 이루었다. 지금은 대전(大田)에 많이 산다.
17세 류형장(柳亨長) 아산군(牙山郡) 배방면(排芳面)으로 이거하였다가 그 자손들이 천안(天安)에 거주하며 일부는 공주(公州) ㆍ 장수(長水)로 옮겨가 세거하고 있다.
16세 류륜(柳綸)은 남해(南海)로이거하여 집성촌을 이루었고, 류채(柳綵)의 후손은 서천(舒川) ㆍ 울주(蔚州)에 세거하며, 류작(柳綽)의 후손은 18세 류원(柳愿)이 부여군(扶餘郡) 세도면(世道面으)로 이거하여 집성촌을 이루고 21세 류후준(柳後準)의 후손은 부안(扶安)에 세거하고 있다.
16세 류약(柳約)은 보은(報恩)으로 이거하고, 그 후손은 무주(茂朱) ㆍ 장수(長水) ㆍ 달성(達城) 등지에 세거하고 류인(柳絪)의 후손은 20세대(世代)에서 재녕(載寧) ㆍ 봉산(鳳山) 등지로 이거하여 세거하고 있다.
씨족史
문화류씨(文化柳氏)는 고려 개국공신 류차달(柳車達)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류차달(柳車達)은 후삼국 통일전쟁 당시 유주(儒州)((문화(文化)의 당시 이름))의 호족이었다.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후백제군을 치러 남으로 정벌할 때 군량보급의 문제가 있었는데, 이 때 류차달(柳車達)은 수레 1천량을 제작하여 군량을 보급했다 한다. 그 공으로 대승(大勝)이 되고 삼한공신(三韓功臣)에 봉해졌다고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 있다. 족보에는 통합삼한익찬공신(統合三韓翊贊功臣) 2등에 책록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류차달(柳車達)의 원래 이름은 해(海)였는데, 태조 왕건(王建)이 <이차위달(以車爲達)>했다고 하여 <차달(車達)>이라는 이름을 하사했다 한다.
류차달(柳車達) 이전의 조상으로는, 고조선말의 차무일(車無一), 그의 32대손으로 신라 애장왕 때 좌상(左相)을 지냈다는 차승색(車承穡)((류색(柳穡)으로 고침) 등이 언급되고 있으나 역사상에서는 확인할 수 없고, 다만 문화류씨족보(文化柳氏族譜)에 수록(收錄)되어 있다. 시조 류차달(柳車達)은 류색(柳穡)의 5대손이라 한다.
류차달(柳車達)에게는 효전(孝全), 효금(孝金)의 두 아들이 있었는데, 큰 아들 효전(孝全)에게는 본성인 차(車)성을, 둘째 아들인 효금(孝金)에게는 류(柳)성을 세습하도록 했다. 이렇게 하여 류씨(柳氏)와 차씨(車氏)는 동조이성(同祖異姓) 관계가 되었다. 류효금(柳孝金)은 후에 좌윤(左尹)에 이르렀다.
류씨(柳氏)는 문헌에 131본(本)이 전하고 있으나 문화류씨(文化柳氏)를 비롯하여 풍산, 선산, 서산, 전주, 진주, 고흥, 본진주(本晋州), 영광만이 전하고 있다. 그런데 이중에서 고흥, 본진주(本晋州), 영광을 제외하고는 모두 류차달(柳車達)의 9대손에서 분관(分貫)된 것이다.
문화류씨(文化柳氏) 가 문화(文化)로 본관을 삼게 된 것은 류차달(柳車達)의 8대손이며 고종조의 명신인 류경(柳璥)이 위사공신(衛社功臣)1등에 되고 그 공으로 유주(儒州)를 문화현(文化縣)으로 승격시킴에 기인한다. 그러나 이미 시조 때부터 류씨(柳氏)는 문화(文化)의 토착세력이었다.
문화류씨(文化柳氏)의 분파(分派)는 고려말, 조선초에 활약한 인물들인 류차달(柳車達)의 11세 ㆍ 13세 ㆍ 14세손을 파조(派祖)로 하여 15개파로 나누어진다.
7세조 류공권(柳公權)에게는 루언침(柳彦沉), 류택(柳澤)의 두 아들이 있었는데, 그 후손을 각각 갑파(甲派), 을파(乙派)라 한다.
갑파(甲派)에서 대승공(大丞公)의 11세 류당(柳溏)의 후손이 시랑공파(侍郞公派), 14세 류사눌(柳思訥)의 후손이 문숙공파(文肅公派), 13세 류관(柳寬)의 후손이 하정공파(夏亭公派), 류희(柳羲)의 후손이 장령공파(掌令公派), 류익정(柳益貞)의 후손이 곤산군파(崑山君派), 10세 류원비(柳元庇)의 증손 소소의 후손이 문평군파(文平君派)이다.
이 갑파(甲派)에서 몇 개의 분파(分派)가 이관(移貫)하였다. 10세인 류자성(柳資成)의 후손중 14세 류절(柳節)의 후손이 풍산류씨(豊山柳氏), 10세인 류성간(柳成澗)의 후손이 서산류씨(瑞山柳氏), 류원비(柳元庇)의 후손 중 13세 류해(柳澥)의 후손이 선산류씨(善山柳氏), 류량재(柳良梓)의 후손이 전주류씨(全州柳氏), 류인비(柳仁庇)의 후손이 진주류씨(晋州柳氏)로 분관(分貫)하였다.
을파(乙派)에서는 11세 류인수(柳仁修)의 후손이 저후사공파(袛候使公派), 13세 류만수(柳曼殊)의 후손이 좌상공파(左相公派), 류원현(柳元顯)의 후손이 검한성공파(檢漢城公派), 류정현(柳廷顯)의 후손이 정숙공파(貞肅公派), 류정무(柳廷懋)의 후손이 판사공파(判事公派)이고, 14세 류자(柳滋)의 후손이 수사공파(水使公派), 류신(柳信)의 후손이 부윤공파(府尹公派), 류량(柳亮)의 후손이 충경공파(忠景公派)이다.
문화류씨(文化柳氏)는 고려, 조선조에 걸쳐 시호 28명, 상신(相臣) 9명, 문형(文衡) 4명, 문과급제 1백 34명, 무과급제 2백 79명, 생원 ㆍ 진사 5백 42명, 음사(蔭仕) 7백 28명을 낸 명문이다.
문간공(文簡公) 류공권(柳公權)은 의종 14년 등과(登科) 후 명종 때에 추밀원사(樞密院使),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냈으며 서예가로 이름을 날린 명신이다. 큰 아들 류언침(柳彦沉)은 예부상서판합문사(禮部尙書判閤門事), 둘째 아들 류택(柳澤)은 좌복사(左僕射)를 거쳐 한림학사승지(翰林學士承旨)를 지냈다.
류경(柳璥)은 몽고가 고려를 침입하고, 고려가 원원에 항복하여 그 지배를 받게 된 고종, 원종조에 걸친 시기에 활동한 재상이다.
고종(高宗) 때 문과에 급제, 대사성(大司成)에 올랐다. 당시는 최씨무인정권기(崔氏武人政權期)로서 최의(崔竩)가 정권을 잡고 있었다. 1258년 류경(柳璥)은 김준(金俊) 등과 협력, 최의(崔竩)를 죽이고 정권을 왕(王)에게 돌렸다. 이 공으로 상장군(上將軍)에 올랐으며 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 등을 역임했다. 1270년 삼별초(三別抄)의 난(亂)이 일어났을 때, 강화도에서 반란군에게 잡혔으나 극적으로 탈출했다. 평장사판병부사(平章事判兵部使), 첨의시랑찬성(僉議侍郞贊成), 첨의중찬(僉議中贊) 등을 역임했다. 문장(文章)이 뛰어나 신종(神宗) ㆍ 희종(熙宗) ㆍ 강종(康宗) ㆍ 고종(高宗) 등 4대의 실록 편찬에 참여했으며 이존비(李尊庇), 안향(安珦) 등 많은 학자가 문하에서 배출되었다.
류승(柳陞)은 류경(柳璥)의 아들로 충렬왕 17년 고려에 침입해온 합단적(哈丹賊)을 격퇴,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가 되고 뒤에 도첨의참리(都僉議參里)에 이르렀다. 통례문(通禮門)에 오래 종사하면서 조정의 의례(儀禮)에 자세한 해설을 붙인 ‘신의(新儀)’를 편찬했다.
류만수(柳曼殊), 류관(柳寬), 류량(柳亮)은 고려말에 관직에 나아갔는데, 역성혁명기에 조선개국세력에 협력하여 개국공신(開國功臣)이 되고, 재상에까지 올라 조선조에서 문화류씨(文化柳氏)의 기반을 확고히 한 인물들이다.
류만수(柳曼殊)는 공민왕(恭愍王) 때 보마배행수(寶馬陪行首)가 되고, 전법판서(典法判書)를 거쳐 우왕조에 밀직부사(密直副使)로 왜구(倭寇) 격퇴에 공을 세웠다. 우왕 14년 요동정벌군 장수로 출전했다가 이성계(李成桂)를 따라 위화도(威化島)에서 회군(回軍), 그의 공으로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가 되었다. 공양왕(恭讓王) 2년 문하평리상의(門下評理商議)가 되어응양군상호군(鷹揚軍上護軍)을 겸했으며,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에 이르렀다. 1392년 조선(朝鮮)이 개국되자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으로 판개성부사(判開城府使), 다음해 회군공신(回軍功臣) 1등(等)에 추록(追錄)되고 문하시랑찬성사(門下侍郞贊成使)에 승진했다. 태조 7년 이성계(李成桂)의 계승자를 둘러싸고 왕자들간에 싸움이 일어났을 때, 이방원(李芳遠)측에 의해 정도전 등과 함께 참살되었다.
류관(柳寬)은 공민왕 20년 문과에 급제, 이성계(李成桂)의 개국(開國)에 협조하여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되었다.
대사성(大司成), 형조(刑曹) ㆍ 이조전서(吏曹典書)를 지내고, 태종(太宗) 초에 대사헌(大司憲), 계림부윤(鷄林府尹)을 역임했다. 1409년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으로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를 겸직, 다음해 ‘태조실록(太祖實錄)’ 편찬에 참여했다. 1421년 궤장(几杖)을 하사받고, 1424년 우의정(右議政)에 승진하여 ‘고려사(高麗史)’를 수교(讐校)했다.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었으며, 학문(學文)에 뛰어나고 시문(詩文)에 능했다. 울타리도 없는 초가에 살면서 비가 새자 우산을 받고 앉아 우산없는 사람을 걱정했다는 일화가 청백리(淸白吏)의 귀감으로 전해온다. 그의 아들이 태종조(太宗朝)에 형조판서를 지낸 류계문(柳季聞)이다.
류량(柳亮)은 고려(高麗) 우왕 때 문과(文科)에 급제, 전의부령(典儀副令), 형조전서(刑曹典書)를 지냈다. 1392년 이조전서(吏曹典書)로 조선(朝鮮)이 개국되자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봉해지고, 정종 2년 참지삼군부사(參知三軍府使)로, 다음해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등으로 문성군(文城君)에 봉해졌다.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판사평부사겸(判司平府使兼) 대사헌(大司憲), 판한성부사(판한성부사), 병조(兵曹) ㆍ 이조판서(吏曹判書), 참찬의정부사겸(參贊議政府事겸) 대사헌(大司憲)을 역임하고, 1413년 부원군(府院君)에 진봉(進封), 1415년 우의정(右議政)에 이르렀다.
류만수(柳曼秀)는 왕자의 란 때 역신으로 몰려 참살되었지만 그의 집안은 조선조에 명문으로 성장한다. 태종 때 영의정을 지낸 류정현(柳廷顯)은 그의 사촌형제이고, 세조 때의 정난(靖難)공신 서(漵)(판서(判書), 수(洙)((찬성(贊成)), 사(泗)((판서(判書)) 등 3형제는 그의 손자들이다. 그의 현손(玄孫) 류순(柳旬)은 연산군(燕山君) 때 영의정을 지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공을 세워 다시 한번 영의정을 역임했다. 선조(宣祖) 때 영의정이었던 류전(柳㙉) 또한 류만수(柳曼秀)의 후손으로 한 집안에서 3명의 상신을 배출, 가문을 빛냈다.
사육신의 한 사람으로 유명한 류성원(柳誠源)은 문화류씨가(文化柳氏家)의 대표적인 절신(節臣)으로 꼽히고 있다. 세종 26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 다음해 ‘의방류취(醫方類聚)’ 편찬에 참여했다. 집현전학사로 세종의 총애를 받았다. 1453년 나이 어린 단종(端宗)이 왕위에 오르고 수양대군이 정권을 장악했을 때 집현전학사였던 류성원(柳誠源)은 수양의 협박에 못이겨 정난공신(靖難功臣)을 표창하는 교서를 쓰고 집으로 돌아와 홀로 통곡했다 한다. 그후 류성원(柳誠源)은 성삼문(成三問), 박팽년(朴彭年) 등과 함께 단종(端宗)복위를 도모하다 일이 탄로나 뜻을 이루지 못하게 되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사육신(死六臣)사건이 일어나자 성삼문(成三問)의 나이 어린 딸을 몰래 데려다 숨겨 길러 며느리로 삼고 단종에 대한 절의를 지켜 일생을 은거한 류자미(柳自湄)((감찰(監察) ㆍ 류만수(柳曼秀)의 증손)) 또한 문화류씨(文化柳氏)가 배출한 절신이다.
인종 때 좌의정을 지냈던 류관(柳灌)은 중종 2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하고 이조판서, 좌찬성을 거쳐 인종 원년(元年) 좌의정에 올랐다. 인종이 죽은 후 원상(院相)으로 서정(庶政)을 맡았으나, 명종(明宗) 즉위 후 정권을 잡은 소윤(小尹)이 일으킨 을사사화(乙巳士禍)로 온양에 유배 도중 사사되었다.
반계(磻溪) 류형원(柳馨遠)은 현종조의 유명한 실학자로 이름이 높은 인물이다. 1654년에 진사시(進士試)에 합격, 전국의 명승지를 유람하며 학문 연구에 전념했다. 1665년((현종(顯宗) 6))과 다음해 학행(學行)으로 각각 천거되었으나 모두 사퇴하고 평생을 야인(野人)으로 보냈다. 지평(砥平), 여주(驪州) 등지로 옮겨 살다가 1668년 부안현(扶安縣)에 정착한 후 저술과 학문 연구에 전심하면서 여행을 즐겨 수차 전국을 유람했다.
그는 실사구시(實事求是)의 학풍이 시작되는 맹아기에 실학(實學)을 학문으로서의 위치에 올려 놓았다. 자신의 농촌생활에서 겪은 경험을 토대로 불합리한 사회제도 개혁과 경제적 혁신을 조선(朝鮮) ㆍ 중국(中國)의 역사적(歷史的) 문헌(文獻)에서 고증하여 정밀한 실증적 태도로 방법론을 제시, 유교적(儒敎的)인 윤리(倫理)와 정치(政治)의 시정(是正)을 사회개혁의 전제로 하고, 이를 경제적 관계에 결부시켜 국가의 체계를 근본적으로 수정하고자 했다.
특히 토지(土地)는 천하(天下)의 근본이라는 중농사상(重農思想)을 기반으로 하여 백성을 편케하는 방법으로 토지개혁을 실시, 농민에게 최저기본량의 경작지를 확보하게 할 것, 농병일치농병일치의 군제(軍制)개혁, 부역의 균형, 국민균등의 세제(稅制)정리, 국가 재정의 확립, 농업을 해치지 않는 한도 내에서의 상공업 장려, 과거제도의 폐지와 공거제(貢擧制)의 실시 등 정반적인 면의 혁신을 병행하고 중앙집권을 강화하여 자영농민(自營農民)을 육성함으로써 부국강병(富國强兵)을 실현하고자 했다.
이러한 경세치용(經世致用)의 사상은 이이(李珥)의 영향을 받았고, 이익(李益), 홍대용(洪大容), 정약용(丁若鏞)에 이르러 크게 발전되었다. 영조 46년 영조의 명으로 ‘반계수록(磻溪隧錄)’이 간행되고, 기타 많은 저서(著書)는 목록(目錄) 외에는 전하지 않는다.
류상운류상운은 현종 7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 지평(持平) ㆍ 교리(校理)를 지낸 뒤, 숙종 5년 문신정시(文臣庭試)에 장원, 몇 해 뒤 대사간(大司諫)에 특진되었다. 서인(西人) 중 소론(少論)에 속했다. 이조(吏曹) ㆍ 형조판서(刑曹判書)를 지내고, 이어 우참찬(右參贊), 우의정(右議政), 좌의정(左議政) 등을 역임했다. 1696년 영의정(領議政)이 되었으나 1698년 노론(老論)의 배척을 받는 소론(少論)의 영수(領袖) 최석정(崔錫鼎)을 변호하여 삭직되었다가 판중추부사(判中樞府使)에 전임되고, 다음해 다시 영의정(領議政)이 되었다.
류상운(柳尙運)의 아들인 류봉휘(柳鳳輝)는 소론(少論)의 영수로서 영조 때 좌의정을 지냈다. 노론(老論)의 세제(世弟)(영조)책봉 주장을 강력히 반대했으나 실패했다. 1725년 영조(英祖)가 즉위한 후 왕(王)의 탕평책(蕩平策)으로 노론(老論) ㆍ 소론(少論)의 연립정권이 수립될 때 우의정(右議政)이 되고 이어 소론(少論) 4대신(大臣)의 한 사람으로 좌의정(左議政)에 올랐다. 그러나 그는 신임사화(辛壬士禍)를 일으킨 주동자라는 노론(老論)의 집요한 공격을 받고 유배지에서 죽는다.
류수원(柳壽垣)은 숙종 44년에 문과에 급제, 사간원정언(司諫阮正言),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내고 단양군수(丹陽郡守)로 있으면서 우서(迂書) 5권을 지었다. 이 책은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 ‘류수원(柳壽垣)의 우서(迂書)는 견식(見識)과 언어(言語)가 일세에 뛰어난 명저(名著)이다.’고 하였다. 지금 학계에서 교육균등(敎育均等)과 중상주의학설(重商主義學說)로 실학(實學)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국내의 학자뿐 아니라 일본 등 외국 학자들 간에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류득공(柳得恭)은 북학파(北學派)의 학자로 알려진 인물이다. 일찍이 진사(進士)가 되고, 정조 3년 이덕무(李德懋), 박제가(朴齊家), 서이수(徐理修) 등과 규장각검서(奎章閣檢書)에 발탁 되어 4검서(檢書)라 일컬어졌다. 북학파(北學派)에 속하는 학자(學者)로서 박제가(朴齊家), 이덕무(李德懋) 등과 함께 실사구시(實事求是)의 방법으로 산업진흥을 주장했고, 문장에도 신경지를 개척, 박제가(朴齊家), 이덕무(李德懋), 이서구(李書九)와 함께 ‘한문신파4가(漢文新派4家)’로 불렸다. 회고시(懷古詩)와 기행문에 능하여 당대의 문장 이조원(李調元)으로부터 ‘동국(東國)의 문봉(文鳳)’이라는 격찬을 받았다. 고대사 연구의 개척자적 업적을 남겨 ‘발해고(渤海考)’, 사군지(四郡志)‘ 등 역저를 남겼고 문집 ’냉제집(冷齊集)‘이 있다.
류상렬(柳相烈)은 3 ㆍ 1운동 때 황해도 평산에서 만세시위를 주동하고 주재소를 습격한 후 만주로 망명, 대한독립단 조맹선(趙孟善)의 명령을 받고 입국해 주비단(籌備團)을 조직했다가 체포되어 1922년 서흥에서 사형당해 순국(殉國)했다. 1963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단장이 수여되었다.
류동설(柳東說)은 일본육사(日本陸士)를 졸업(卒業), 구한국군 참령(參領)으로 있다가 1907년 군대가 해산된 후 안창호(安昌浩)를 중심으로 이상재(李商在), 윤치호(尹致昊), 양기탁(梁起鐸) 등과 신민회(新民會) 조직에 참여, 자주독립운동과 계몽활동에 힘썼다. 1909년 안중근(安重根)의 이등박문(伊藤博文) 살해사건 이후 배후인물로 지목되어 체포되었다가 풀려났고, 1911년 105인 사건과 관련되어 10년 형을 선고받아 복역 중 풀려나 만주로 망명했다. 1917년 쌍성(雙城)에서 전립(全立), 문창범(文昌範), 전일(全一) 등과 전로한족회(全露韓族會)를 결성했다. 이듬해 서일(徐一)이 조직한 중광단(重光團)에 입단, 김동삼(金東三), 손일민(孫一民), 김좌진(金佐鎭) 등과 독립선언서를 작성, 이에 서명했다. 3 ㆍ 1운동 후 상해(上海) 임시정부의 군무총장, 참모총장을 지내고 한 때 공산주의로 전향, 1921년 일크츠에서 열린 고려공산대회에서 중앙위원에 선임되기도 했다. 1935년 중국 남경에서 김규식(金奎植), 지청천(池靑天), 신익희(申翼熙) 등과 민족 혁명당을 조직, 독립운동 단체를 통합했다. 해방 후 귀국, 초대 통위(統衛)부장이 되어 국군창설에 큰 역할을 했으나 6ㆍ25 때 납북되었다.


항렬표(行列表)

세(世)
31
32
33
34
35
36
자(字)
근根인寅병柄재栽
렬烈걸杰훈薰성城
지志재在정廷정柾
선善현鉉록錄강堈
제濟호浩원洹남楠
환桓간식植우

세(世)
37
38
39
40
41
42
자(字)
영榮황煌경炅상桑
곤坤헌憲기圻근根
종鍾용鏞은銀길桔
영泳승承옥沃규圭
내來채采삼森재材
희熙로魯휴烋탄坦

세(世)
43
44
45
46
47
48
자(字)
응膺증增행幸주株
호鎬구銶균鈞기基
온溫준濬홍洪춘椿
억檍락樂표杓정
병炳형炯영營동棟
기璣재평坪당塘

세(世)
49
50
51
52
53
54
자(字)
회會회澮옥鈺원
우雨하河현泫균均
본本빈彬모模서栖
연然훈勳섭燮경坰
수壽수垂사士내奈
탁鐸록錄석錫준埈

세(世)
55
56
57
58
59
60
자(字)
한漢한澣원源주柱
동東병秉업業보報
녕寧응應도燾상相
주周요堯집執 훈塤
련鍊전銓정鉦 정楨
기沂진秦기淇장壯
역대 주요 인물
▲고려조
류효금(柳孝金) (좌윤(左尹))
류금환(柳金奐) (대장군중윤(大將軍中尹))
류노일(柳盧一) (검교대장군(檢校大將軍))
류보춘(柳寶春) (검교소부소감(檢校小府少監))
류총(柳寵) (검교소부소감(檢校小府少監))
류공권(柳公權) (자(字) : 정평(正平) ㆍ 시호(諡號) : 문간(文簡) ㆍ 참지정사(參知政事))
류언침(柳彦沉) (예부상서(禮部尙書))
류택(柳澤) (한림학사승지(翰林學士承旨))
류순(柳淳) (한림학사(翰林學士))
류경(柳璥) (자(字) : 천년(天年) ㆍ 시호(諡號) : 문정(文正) ㆍ 첨의중찬(僉議中贊))
류성비(柳成庇) (문산군(文山君) ㆍ 시호(諡號) : 충성(忠誠) ㆍ 상장군(上將軍))
류승(柳陞) (자(字) : 희원(希元) ㆍ 시호(諡號) : 정신(貞愼) ㆍ 도첨의참리(都僉議參理)) 류식(柳湜) (첨의평리(僉議評理))
류돈(柳墩) (시호(諡號) : 장경(章敬) ㆍ 시녕군(始寧君) ㆍ 찬성사(贊成事))
류인기(柳仁琦) (시호(諡號) : 온정(溫靖) ㆍ 대광삼사사(大匡三司事) ㆍ 문화군(文化君))
류번(柳藩) (문하찬성(門下贊成))

▲조선조
류만수(柳曼殊) (자(字) : 득휴(得休) ㆍ 좌의정(左議政))
류소(柳沼) (자(字) : 영재(靈哉) ㆍ 시호(諡號) : 충간(忠簡) ㆍ 이조판서(吏曹判書))
류량(柳亮) (자(字) : 명중(明仲) ㆍ 시호(諡號) : 충경(忠景) ㆍ 문성부원군(文城府院君) ㆍ 우의정(右議政))
류정현(柳廷顯) (자(字) : 여명(汝明) ㆍ 호(號) : 월정(月亭) ㆍ 시호(諡號) : 정숙(貞肅) ㆍ 영의정(領議政))
류관(柳寬) (자(字) : 경부(敬夫) ㆍ 호(號) : 하정(夏亭) ㆍ 시호(諡號) : 문간(文簡) ㆍ 우의정(右議政))
류장(柳章) (자(字) : 인수(仁壽) ㆍ 관찰사(觀察使))
류영(柳穎) (시호(諡號) : 양도(良度) ㆍ 예조참판(禮曹參判))
류사(柳泗) (자(字) : 학원(學源) ㆍ 시호(諡號) : 희양(僖襄) ㆍ 문원군(文原君) ㆍ 공조참판(工曹參判))
류사눌(柳思訥) (자(字) : 이행(而行) ㆍ 호(號) : 문숙(文肅) ㆍ 대제학(大提學))
류계문(柳季聞) (자(字) : 숙행(叔行) ㆍ 시호(諡號) : 안숙(安肅) ㆍ 형조판서(刑曹判書))
류자미(柳自湄) ( ㆍ 호(號) : 서산(西山) ㆍ 호(號) : 감찰(監察))
류성원(柳誠源) (자(字) : 태초(太初) ㆍ 호(號) : 랑간(琅玕) ㆍ 시호(諡號) : 충경(忠景) ㆍ 집현전학사(集賢殿學士))
류수(柳洙) (자(字) : 노택(魯澤) ㆍ 시호(諡號) : 안양(安襄) ㆍ 좌참찬(左參贊) ㆍ 문성군(文成君))
류순(柳洵) (자(字) : 희명(希明) ㆍ 호(號) : 노포(老圃) ㆍ 시호(諡號) : 문희(文僖) ㆍ 문성부원군(文城府院君) ㆍ 영의정(領議政))
류정수(柳廷秀) (자(字) : 국준(國俊) ㆍ 호(號) : 관재(觀齋) ㆍ 장령(掌令))
류상(柳常) (자(字) : 평수(平叟) ㆍ 병조참의(兵曹參議))
류경조(柳敬祖) (자(字) : 윤보(胤甫) ㆍ 예조참의(禮曹參議))
류담년(柳聃年) (시호(諡號) : 양무(襄武) ㆍ 병조판서(兵曹判書))
류희저(柳希渚) (자(字) : 망지(望之) ㆍ 부제학(副提學))
류희철(柳希轍) (자(字) : 사재(思齋) ㆍ 부사(府使))
류지(柳輊) ( ㆍ 시호(諡號) : 평간(平簡) ㆍ 문양군(文陽君) ㆍ 우찬성(右贊成))
류옥(柳沃) (자(字) : 계언(啓彦) ㆍ 호(號) : 석헌(石軒) ㆍ 시호(諡號) : 정간(靖簡) ㆍ 부사(府使))
류운(柳雲) (자(字) : 종룡(從龍) ㆍ 호(號) : 항수(恒壽) ㆍ 시호(諡號) : 문경(文敬) ㆍ 대사헌(大司憲))
류관(柳灌) (자(字) : 관지(灌之) ㆍ 호(號) : 송암(松庵) ㆍ 시호(諡號) : 충숙(忠肅) ㆍ 좌의정(左議政))
류혼(柳渾) (좌승지(左承旨))
류종지(柳宗智) (자(字) : 명중(明仲) ㆍ 호(號) : 조계(潮溪) ㆍ 유학자(儒學者))
류전(柳㙉) (자(字) : 극후(克厚) ㆍ 호(號) : 우복(愚伏) ㆍ 시호(諡號) : 문정(文貞) ㆍ 영의정(領議政))
류경천(柳擎天) (자(字) : 중여(重如) ㆍ 부사(府使))
류덕종(柳德種) (자(字) : 언윤(彦潤) ㆍ 호(號) : 정암(定庵) ㆍ 학자(學者))
류희림(柳希霖) (자(字) : 경설(景說) ㆍ 예조참판(禮曹參判))
류인길(柳寅吉) (자(字) : 경휴(景休) ㆍ 호(號) : 규오(葵塢) ㆍ 이조참판(吏曹參判))
류사원(柳思瑗) (자(字) : 경오(景晤) ㆍ 문흥군(文興君) ㆍ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
류몽정(柳夢鼎) (자(字) : 경인(景仁) ㆍ 호(號) : 학곡(鶴谷) ㆍ 우부승지(右副承旨))
류몽정(柳夢井) (자(字) : 경서(景瑞) ㆍ 호(號) : 청계(淸溪) ㆍ 남원부사(南原府使))
류팽로(柳彭老) (자(字) : 군수(君壽) ㆍ 호(號) : 월파(月坡) ㆍ 임진의사(壬辰義士)) 류숭인(柳崇仁) (경상우병사(慶尙右兵使))
류자신(柳自新) (자(字) : 지언(止彦) ㆍ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ㆍ 한성판윤(漢城判尹))
류즙(柳楫) (자(字) : 용여(用汝) ㆍ 호(號) : 백석(白石) ㆍ 학자(學者))
류공량(柳公亮) (자(字) : 언명(彦明) ㆍ 공조참판(工曹參判))
류기문(柳起門) (자(字) : 광전(光前) ㆍ 호(號) : 쌍청당(雙淸堂))
류희구(柳希舊) (자(字) : 형백(亨伯) ㆍ 호(號) : 화남(華南) ㆍ 병조판서(兵曹判書))
류희량(柳希亮) (자(字) : 용경(龍卿) ㆍ 호(號) : 재교(齋嶠) ㆍ 예조참판(禮曹參判))
류지선(柳智善) (자(字) : 성중(性仲) ㆍ 호(號) : 형조참판(刑曹參判))
류도(柳棹) (자(字) : 용제(用濟) ㆍ 호(號) : 반곡(盤谷) ㆍ 학자(學者))
류여량(柳汝糧) (자(字) : 공직(公直) ㆍ 호(號) : 학산(鶴山) ㆍ 통제사(統制使))
류형원(柳馨遠) (자(字) : 덕부(德夫) ㆍ 학자(學者))
류상운(柳尙運) (자(字) : 유구(悠久) ㆍ 호(號) : 약재(約齋) ㆍ 시호(諡號) : 충간(忠簡) ㆍ 영의정(領議政))
류백승(柳百乘) (자(字) : 중거(仲車) ㆍ 호(號) : 불후당(不朽堂) ㆍ 부사(府使))
류봉휘(柳鳳輝) (자(字) : 계창(季昌) ㆍ 호(號) : 만암(晩菴) ㆍ 좌의정(左議政))
류한명(柳漢明) (자(字) : 숙장(叔章) ㆍ 호(號) : 지지당(知止堂) ㆍ 통제사(統制使))
류징귀(柳徵龜) (자(字) : 성칙(聖則) ㆍ 호(號) : 수사(水使))
류수원(柳壽垣) (자(字) : 남로(南老) ㆍ 호(號) : 농암(聾菴) ㆍ 장령(掌令) ㆍ 실학자(實學者))
류발(柳發) (자(字) : 백여(伯輿) ㆍ 호(號) : 계촌(季村) ㆍ 판중추(判中樞))
류득공(柳得恭) (자(字) : 혜풍(惠風) ㆍ 호(號) : 냉재(冷齋) ㆍ 실학자(實學者))
류기상(柳基常) (자(字) : 계항(季恒) ㆍ 좌포도대장(左捕盜大將))
류대원(柳大源) (자(字) : 자원(子遠) ㆍ 학자(學者))

등과(登科) ㆍ 음사인명(蔭仕人名)

▲고려조
문과(文科)
류공권(柳公權) (의종조) 류택(柳澤) (명종조)
류경(柳璥) (고종조) 류돈(柳墩) (충렬왕조)
류관(柳寬) (공민왕조) 류량(柳亮) (우왕조)

▲조선조
문과(文科)
류사눌(柳思訥) (형판(刑判)) 류의(柳顗) (제학(提學))
류박(柳博) (집의(執義)) 류장(柳章) (감사(監司))
류이(柳荑) (제학(提學)) 류맹문(柳孟聞) (예판(禮判))
류계문(柳季聞) (형판(刑判)) 류맹손(柳孟孫)
류참(柳참) (한림(翰林)) 류사근(柳士根) (사인(舍人))
류곡(柳轂) (장령(掌令)) 류성원(柳誠源) (사성(司成))
류자미(柳自湄) (감찰(監察)) 류계분(柳桂芬) (이랑(吏郞))
류지(柳輊) (찬성(贊成)) 류권(柳睠) (병참(兵參))
류순(柳洵) (영상(領相)) 류상(柳常) (병의(兵議))
류효장(柳孝章) (군수(郡守)) 류식(柳軾) (전적(典籍))
류호(柳壕) (판관(判官)) 류인동(柳麟童) (이정(吏正))
류인호(柳仁濠) (공의(工議)) 류인유(柳仁濡) (첨정(僉正))
류인종(柳麟種) (사정(寺正)) 류인홍(柳仁洪) (지평(持平))
류정수(柳廷秀) (장령(掌令)) 류경(柳坰) (첨지(僉知))
류팽석(柳彭碩) (군수(郡守)) 류희철(柳希轍) (부사(府使))
류희저(柳希渚) (부학(副學)) 류사경(柳思敬) (참의(參議))
류공석(柳公奭) (성박(成博)) 류운(柳雲) (대헌(大憲))
류경조(柳敬祖) (첨지(僉知)) 류관(柳灌) (우상(右相))
류옥(柳沃) (부사(府使)) 류추(柳湫) (판사(判事))
류인수(柳仁洙) (부사(府使)) 류지선(柳智善) (형참(刑參))
류경인(柳敬仁) (박사(博士)) 류잠(柳潜) (공판(工判))
류혼(柳渾) (승지(承旨)) 류전(柳㙉) (영상(領相))
류박(柳박) (군수(郡守)) 류사신(柳思新) (정랑(正郞))
류덕수(柳德粹) (목사(牧使)) 류희림(柳希霖) (예참(禮參))
류몽정(柳夢鼎) (승지(承旨)) 류영서(柳永緖) (감정(監正))
류파(柳坡) (공정(工正)) 류덕종(柳德種) (정랑(正郞))
류응룡(柳應龍) (좌윤(左尹)) 류희서(柳熙緖) (지사(知事))
류팽로(柳彭老) (학유(學諭)) 류인길(柳寅吉) (이참(吏參))
류공량(柳公亮) (공참(工參)) 류도(柳塗) (부사(府使))
류함형(柳咸亨) (전적(典籍)) 류희구(柳希舊) (병판(兵判))
류중룡(柳仲龍) (교리(校理)) 류기문(柳起門) (필선(弼善))
류사경(柳思敬) (좌랑(佐郞)) 류희량(柳希亮) (예참(禮參))
류희발(柳希發) (이참(吏參)) 류효립(柳孝立) (승지(承旨))
류충립(柳忠立) (유수(留守)) 류흠(柳흠) (한림(翰林))
류대화(柳大華) (승지(承旨)) 류정립(柳鼎立) (사서(司書))
류속(柳洬) (좌랑(佐郞)) 류명립(柳命立) (전적(典籍))
류두립(柳斗立) (한림(翰林)) 류정립(柳正立) 류중립(柳中立)
류익립(柳益立) 류경집(柳景緝) (감사(監司))
류효건(柳孝健) (도사(都事)) 류심(柳심) (장령(掌令))
류인량(柳寅亮) (병정(兵正)) 류지립(柳志立) (부사(府使))
류림(柳霖) (정랑(正郞)) 류이후(柳以厚) (예정(禮正))
류현(柳俔) (정언(正言)) 류송제(柳松齊) (장령(掌令))
류문우(柳文祐) (현감(縣監)) 류담후(柳譚厚) (승지(承旨))
류영후(柳榮厚) (승권(承權)) 류상운(柳尙運) (영상(領相))
류귀징(柳龜徵) (부사(府使)) 류봉징(柳鳳徵) (승지(承旨))
류수함(柳壽咸) 류상재(柳尙載) (대간(大諫))
류백승(柳百乘) (군자정(軍資正)) 류상진(柳尙軫) (찰방(察訪))
류봉서(柳鳳瑞) (교리(校理)) 류환(柳瑍) (예정(禮正))
류중무(柳重茂) (호참(戶參)) 류봉휘(柳鳳輝) (좌상(左相))
류귀감(柳龜鑑) (학유(學諭)) 류재원(柳載遠) (정언(正言))
류봉명(柳鳳鳴) (군수(郡守)) 류원상(柳爰相) (승지(承旨))
류성홍(柳聖洪) (승정(承正)) 류여림(柳汝霖) (현감(縣監))
류수원(柳壽垣) (부윤(府尹)) 류필탄(柳弼坦) (이정(吏正))
류기서(柳基緖) (병좌(兵佐)) 류시모(柳時模) (장령(掌令))
류추성(柳樞星) (학유(學諭)) 류일상(柳一相) (전적(典籍))
류광국(柳匡國) (병참(兵參)) 류영(柳泳) (병좌(兵佐))
류동빈(柳東賓) (주서(注書)) 류환덕(柳煥德) (장령(掌令))
류훈(柳薰) (승지(承旨)) 류성모(柳成模) (승지(承旨))
류한갑(柳翰甲) (승령(承令)) 류덕신(柳德申) (지평(持平))
류이현(柳頤玄) (헌납(獻納)) 류명균(柳明均) (찰방(察訪))
류회(柳誨) (지평(持平)) 류사모(柳師模)
류흥규(柳興奎) (승지(承旨)) 류기풍(柳基豊) (승지(承旨))
류면호(柳冕鎬) (승지(承旨)) 류영도(柳永燾) (정언(正言))
류정식(柳廷植) (정랑(正郞)) 류종정(柳淙楨) (정언(正言))
류흥길(柳興吉) (참판(參判)) 류태현(柳泰鉉) (현감(縣監))
류인철(柳寅哲) (승지(承旨)) 류병일(柳炳一) 류병훈(柳炳勛)

음사인명(蔭仕人名)
류차달(柳車達) (대승(大丞)) 류효금(柳孝金) (좌윤(左尹))
류금환(柳金奐) (중윤(中尹)) 류노일(柳盧一) (대장군(大將軍))
류보춘(柳寶春) (소감(少監)) 류총(柳寵) (소감(少監))
류언침(柳彦沉) (상장군(上將軍))
류순(柳淳) (한림학사(翰林學士))
류성비(柳成庇) (문산군(文山君))
류자성(柳資成) (문산군(文山君))
류성간(柳成澗) (서녕군(瑞寧君))
류원비(柳元庇) (좌찬성(左贊成))
류양재(柳良梓) (전성군(全城君))
류인비(柳仁庇) (진산군(晋山君)) 류소(柳韶) (평장사(平章事))
류당(柳溏) (시랑(侍郞)) 류식(柳湜) (첨의평리(僉議評理))
류림(柳林) (중랑장(中郞將)) 류포(柳浦) (중추(中樞))
류승(柳陞) (상장군(上將軍) ㆍ 시호(諡號) : 정신(貞愼))
류인수(柳仁修) (지후사(祗候使)) 류총(柳總) (대언(代言))
류원지(柳原之) (중추원사(中樞院事)) 류수(柳睟) (판서(判書))
류인전(柳仁全) (녹사(錄事))
류인기(柳仁琦) (밀직부사(密直副使))
류사우(柳司雨) (한성판윤(漢城判尹))
류송절(柳松節) (부장(部將)) 류배(柳培) (밀직(密直))
류진(柳鎭) (문화군(文化君))
류보발(柳甫發) (우부대언(右副代言))
류지소(柳之沼) (시랑(侍郞)) 류지택(柳之澤) (내시경(內侍卿))
류광수(柳光秀) (판선공감(判繕工監))
류광원(柳光源) (현령(縣令)) 류임(柳臨) (판전농정(判典農正))
류희(柳羲) (장령(掌令))
류익정(柳益貞) (곤산부원군(崑山府院君))
류공기(柳公器) (합문지후(閤門祗侯)) 류소(柳沼) (전서(典書))
류유(柳濡) (목사(牧使)) 류홍(柳洪) (개성판윤(開城判尹))
류경휘(柳景輝) (중랑장(中郞將)) 류운복(柳云복) (판사(判事))
류정무(柳廷懋) (판사(判事)) 류계고(柳繼高) (지후(祗侯))
류원현(柳元顯) (검교판한성사(檢校判漢城事))
류계조(柳繼祖) (상서(尙書) ㆍ 문화군(文化君))
류남간(柳南澗) (사정(司正))
류인보(柳仁甫) (사정(司正))
류신(柳莘) (문소전직(文昭殿直))
류정(柳楨) (봉례(奉禮))
류총(柳叢) (전직령동정(殿直令同正)) 류근(柳芹) (서령(署令))
류저(柳渚) (장령(掌令)) 류사민(柳思敏) (시중(侍中))
류사온(柳思溫) (낭장(郎將)) 류중문(柳仲聞) (대호군(大護軍))
류맹지(柳孟智) (현감(縣監)) 류번(柳藩) (찬성사(贊成事))
류굉(柳宏)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
류지인(柳之仁) (군수(郡守)) 류지의(柳之義) (판서(判書))
류지례(柳之禮) (감사(監司)) 류지지(柳之智) (목사(牧使))
류지신(柳之信) (참의(參議)) 류지강(柳之綱) (현감(縣監))
류지상(柳之常) (현감(縣監)) 류구(柳丘) (부사(府使))
류운(柳沄) (부사(府使)) 류호(柳滸) (판윤(判尹))
류위(柳衛) (광주목사(廣州牧使)) 류맹의(柳孟宜) (낭장(郎將))
류중의(柳仲宜) (중랑장(中郞將))
류원지(柳原之) (상의중추원사(商議中樞院事))
류은지(柳殷之) (도통제(都統制)) 류선(柳善) (부사(府使))
류계(柳繼) (현감(縣監)) 류간(柳澗) (별시(別侍))
류혜(柳潓) (봉례(奉禮)) 류지(柳智) (봉례(奉禮))
류사밀(柳斯密) (사직(司直)) 류사영(柳斯榮) (현감(縣監))
류신(柳信) (부윤(府尹)) 류순(柳恂) (판사(判事))
류자?(柳自?) (교수(敎授)) 류인관(柳仁寬) (별시(別侍))
류의관(柳義寬) (사인(舍人)) 류첨(柳瞻) (판결사(判決事))
류기(柳기) (현감(縣監)) 류수(柳睟) (부사(府使))
류이(柳眙) (서령(署令)) 류기(柳기) (부사(府使))
류완(柳睕) (감찰(監察)) 류정(柳정) (부사(府使))
류조(柳眺) (감찰(監察)) 류엽(柳㵩) (사직(司直))
류반(柳潘) (도사(都事)) 류귀수(柳龜壽) (현감(縣監))
류윤경(柳允卿) (상호군(上護軍))
류성계(柳成桂) (태상경(太常卿)) 류효달(柳孝達) (군수(郡守))
류극공(柳克恭) (군수(郡守)) 류극경(柳克敬) (부사(府使)
류창(柳昶) (현감(縣監)) 류보(柳保) (현감(縣監))
류면(柳沔) (부사(府使)) 류사식(柳士植) (감찰(監察))
류사저(柳士柢) (밀직(密直)) 류사지(柳士枝) (중추(中樞))
류중지(柳中之) (직장(直長)) 류용지(柳庸之) (현감(縣監))
류흥수(柳興壽) (현감(縣監)) 류흥부(柳興富) (사직(司直))
류흥강(柳興康) (능직(陵直)) 류흥덕(柳興德) (사직(司直))
류소로(柳紹老) (예빈사경(禮賓寺卿)) 류함(柳浛) (현감(縣監))
류종(柳淙) (판관(判官)) 류급(柳汲) (부정(副正))
류강(柳江) (지중추(知中樞)) 류서(柳漵) (판서(判書))
류수(柳洙) (좌참찬(左參贊)) 류사(柳泗) (공판(工判))
류효순(柳孝順) (판관(判官))
류효진(柳孝眞) (병조참의(兵曹參議))
류효임(柳孝任) (별좌(別座)) 류효련(柳孝聯) (군수(郡守))
류효반(柳孝班) (소윤(少尹)) 류효강(柳孝綱) (공판(工判))
류효근(柳孝根) (대경(大卿)) 류효량(柳孝良) (사정(司正))
류도강(柳道剛) (판윤(判尹)) 류수강(柳守剛) (형참(刑參))
류복강(柳福剛) (직장(直長)) 류중창(柳仲昌) (판관(判官))
류중발(柳仲發) (감찰(監察)) 류명(柳溟) (군수(郡守))
류소(柳沼) (내금(內禁)) 류이회(柳以薈) (사직(司直))
류지(柳沚) (현감(縣監)) 류흡(柳洽) (현감(縣監))
류좌(柳佐) (전사령(典祀令)) 류근(柳謹) (소윤(少尹))
류경생(柳京生) (판윤(判尹)) 류강생(柳江生) (현감(縣監))
류한생(柳漢生) (소윤(少尹)) 류복중(柳復中) (현감(縣監))
류경(柳坰) (사직(司直)) 류희조(柳希祖) (현감(縣監))
류총지(柳聰之) (주부(主簿)) 류순행(柳順行) (군수(郡守))
류계석(柳繼奭) (별좌(別坐)) 류종손(柳終孫) (사복정(司僕正))
류말손(柳末孫) (첨사(僉使)) 류정소(柳廷素) (참봉(參奉))
류담수(柳聃壽) (군수(郡守)) 류종원(柳宗元) (현령(縣令))
류분(柳芬) (부사과(副司果)) 류의(柳依) (봉사(奉事))
류록(柳祿) (만경현령(萬頃縣令)) 류신담(柳愼談) (현령(縣令))
류신기(柳愼譏) (군수(郡守)) 류신겸(柳愼謙) (참봉(參奉))
류승서(柳承緖) (승지(承旨)) 류미성(柳彌性) (사정(司正))
류미소(柳彌邵) (현감(縣監)) 류자청(柳自淸) (사과(司果))
류승순(柳承順) (교리(校理)) 류효원(柳孝源) (별시(別侍))
류신원(柳信源) (별좌(別坐)) 류경원(柳敬遠) (현감(縣監))
류원공(柳元恭) (사직(司直)) 류축(柳軸) (사직(司直))
류연(柳演) (부사(府使)) 류양(柳洋) (별시(別侍))
류효손(柳孝孫) (사직(司直)) 류승조(柳承祖) (감찰(監察))
류승종(柳承宗) (사직(司直)) 류사온(柳思溫) (현령(縣令))
류사공(柳思恭) (좌세마(左洗馬)) 류사문(柳思問) (사정(司正))
류사의(柳思義) (군수(郡守)) 류종경(柳宗京) (군수(郡守))
류종화(柳從華) (부사(府使)) 류정문(柳井汶) (만호(萬戶))
류원문(柳源汶) (참의(參議)) 류백손(柳伯孫) (부사(府使))
류중손(柳仲孫) (판관(判官)) 류계손(柳季孫) (부사(府使))
류말손(柳末孫) (호군(護軍)) 류종손(柳終孫) (첨정(僉正))
류철손(柳哲孫) (군수(軍需)) 류언(柳堰) (사용(司勇))
류옹(柳雍) (부사(府使)) 류정손(柳正孫) (현령(縣令))
류문손(柳文孫) (주부(主簿)) 류량손(柳良孫) (서령(署令))
류성손(柳盛孫) (군수(郡守)) 류수창(柳守昌) (판관(判官))
류인위(柳仁渭) (종사랑(從仕郞)) 류인식(柳仁湜) (참봉(參奉))
류인분(柳仁汾) (자의(諮議)) 류척(柳滌) (상호군(上護軍))
류준(柳浚) (현감(縣監)) 류자(柳滋) (사정(司正))
류담(柳淡) (현감(縣監)) 류종원(柳從源) (호군(護軍))
류종한(柳從漢) (훈도(訓導)) 류만(柳漫) (주부(主簿))
류상영(柳尙榮) (현감(縣監)) 류찬(柳纘) (현감(縣監))
류세(柳繐) (부사(府使)) 류적(柳績) (현령(縣令))
류집(柳緝) (사정(司正)) 류진(柳縝) (사직(司直))
류수(柳綬) (부정(副正)) 류신(柳紳) (호군(護軍))
류훈(柳纁) (군수(郡守)) 류륜(柳綸) (군수(郡守))
류채(柳綵) (목사(牧使)) 류작(柳綽) (군수(郡守))
류약(柳約) (군수(郡守)) 류의영(柳義榮) (사복정(司僕正))
류방주(柳邦柱) (주부(主簿)) 류국주(柳國柱) (현감(縣監))
류익(柳益) (군수(郡守)) 류강(柳講) (현감(縣監))
류희석(柳熙錫) (현찰(縣察)) 류강(柳絳) (감찰(監察))
류자화(柳子和) (사직(司直)) 류오(柳塢) (첨정(僉正))
류양(柳陽) (내금위(內禁衛)) 류릉(柳陵) (군수(郡守))
류문형(柳文逈) (감찰(監察)) 류정(柳廷) (예빈정(禮賓正))
류광한(柳光漢) (참봉(參奉)) 류영계(柳英繼) (판서(判書))
류영후(柳英後) (참판(參判)) 류실(柳實) (상호군(上護軍))
류후(柳厚) (관찰사(觀察使)) 류숙(柳淑) (주부(主簿))
류청(柳淸) (주부(主簿)) 류흡(柳洽) (참봉(參奉))
류영(柳泳) (참봉(參奉)) 류열(柳悅) (사직(司直))
류의(柳依) (주부(主簿)) 류문표(柳文豹) (순창훈도(淳昌訓導))
류간(柳澗) (참봉(參奉)) 류삼산(柳三山) (어모장군(禦侮將軍))
류효근(柳孝根) (주부(主簿)) 류제근(柳悌根) (첨정(僉正))
류륜(柳輪) (현령(縣令)) 류진(柳軫) (부사(府使))
류헌(柳軒) (사과(司果)) 류원(柳轅) (현감(縣監))
류보(柳輔) (직장(直長)) 류집(柳輯) (정랑(正郞))
류거(柳琚) (호군(護軍)) 류구(柳玖) (사과(司果))
류요(柳瑤) (현감(縣監)) 류경(柳瓊) (별좌(別坐))
류의화(柳儀華) (판서(判書)) 류호(柳濠) (현감(縣監))
류지(柳沚) (참봉(參奉)) 류형(柳泂) (현감(縣監))
류윤(柳潤) (사직(司直)) 류부(柳溥) (참봉(參奉))
류파(柳波) (호군(護軍)) 류회(柳淮) (충순위(忠順衛))
류간(柳澗) (만호(萬戶)) 류혼(柳混) (감역(監役))
류위(柳湋) (부사(府使)) 류탄(柳坦) (사직(司直))
류지(柳址) (사과(司果)) 류언(柳堰) (현감(縣監))
류우(柳堣) (호군(護軍)) 류장(柳墇) (첨추(僉樞))
류재(柳栽) (목사(牧使)) 류곤(柳坤) (사정(司正))
류배(柳培) (호군(護軍)) 류함(柳涵) (사직(司直))
류수언(柳秀漹) (현감(縣監)) 류잠(柳潜) (주부(主簿)
류공좌(柳公佐) (감찰(監察)) 류자인(柳自仁) (참봉(參奉))
류자례(柳自禮) (별제(別提)) 류광한(柳光漢) (봉사(奉事))
류문서(柳文湑) (참봉(參奉)) 류걸(柳傑) (참봉(參奉))
류임(柳任) (교관(敎官) 류사근(柳思謹) (참봉(參奉))
류인아(柳麟兒) (첨정(僉正)) 류백전(柳伯全) (부사(府使))
류연(柳淵) (군수(郡守)) 류점(柳霑) (호군(護軍))
류주(柳霔) (현감(縣監)) 류염(柳염) (사직(司直))
류윤(柳胤) (호군(護軍)) 류복(柳復) (사직(司直))
류문손(柳文孫) (서령(署令)) 류계손(柳繼孫) (현감(縣監))
류효손(柳孝孫) (사직(司直)) 류효남(柳孝男) (사직(司直))
류순손(柳順孫) (호군(護軍)) 류정손(柳正孫) (감찰(監察))
류현손(柳賢孫) (어모장군(禦侮將軍))
류연손(柳連孫) (사정(司正)) 류승손(柳承孫) (부사용(副司勇))
류흠손(柳欽孫) (사직(司直)) 류자호(柳自湖) (대호군(大護軍))
류선장(柳善長) (현감(縣監)) 류도장(柳道長) (별좌(別坐)
류수장(柳壽長) (군수(郡守)) 류형장(柳亨長) (찰방(察訪))
류희래(柳喜來) (판윤(判尹) 류세경(柳世卿) (별좌(別坐))
류지장(柳智長) (종부사정(宗簿寺正))
류영간(柳榮幹) (대호군(大護軍)) 류능간(柳陵幹) (찰방(察訪))
류세장(柳世長) (부사정(副司正)) 류효인(柳孝仁) (현령(縣令))
류광(柳洸) (참봉(參奉)) 류당(柳唐) (사직(司直))
류원종(柳元宗) (현감(縣監)) 류홍종(柳洪宗) (사복정(司僕正))
류계종(柳繼種) (사직(司直)) 류용검(柳用儉) (참봉(參奉))
류용량(柳用良) (감찰(監察)) 류용종(柳用從) (참봉(參奉))
류용강(柳用剛) (참봉(參奉))
류희충(柳希忠) (금부도사(禁府都事))
류희순(柳希舜) (금화사별제(禁火司別提))
류언종(柳彦宗) (현감(縣監)) 류희진(柳希津) (판관(判官))
류충상(柳忠祥) (진위현령(振威縣令))
류충록(柳忠祿) (종묘서직장(宗廟署直長))
류태수(柳台壽) (수사(水使)) 류승(柳升) (군수(郡守))
류하(柳夏) (직장(直長)) 류승연(柳承淵) (부사(府使)) (대호군(大護軍))
류인선(柳仁善) (감역(監役))
류세례(柳世禮) (참봉(參奉))
류순신(柳舜臣) (감찰(監察))
류보종(柳保宗) (현령(縣令))
류봉종(柳奉宗) (사정(寺正))
류윤종(柳胤宗) (판관(判官))
류원회(柳元淮) (사맹(司猛))
류계조(柳繼祖) (감찰(監察))
류혁규(柳赫奎) (부윤(府尹))
류번(柳藩) (선전(宣傳))
류성남(柳成男) (첨정(僉正))
류홍(柳洪) (부장(部長))
류천서(柳川緖) (참봉(參奉))
류온(柳溫) (현감(縣監))
류유덕(柳惟德) (부사(府使))
류유정(柳惟精) (참봉(參奉))
류종호(柳宗虎) (현감(縣監))
류사도(柳思陶) (주부(主簿))
류혜강(柳惠剛) (좌윤(左尹)) 류응두(柳應斗) (봉사(奉事))
류흥원(柳興源) (호군(護軍)) 류방걸(柳邦傑) (대호군(大護軍))
류순필(柳舜弼) (부윤(府尹)) 류삼양(柳三陽) (직장(直長))
류춘양(柳春陽) (현감(縣監)) 류수천(柳壽千) (부정(副正))
류순경(柳舜卿) (수의부위(修義副尉))
류은종(柳恩宗) (사정(司正))
류광선(柳光先) (형조참판(刑曹參判))
류계선(柳繼先) (평양판관(平壤判官))
류창손(柳昌孫) (직장(直長)) 류수철(柳壽鐵) (참봉(參奉))
류과정(柳過庭) (현령(縣令)) 류득생(柳得生) (목사(牧使))
류응정(柳應禎) (부사(府使)) 류응상(柳應祥) (현령(縣令))
류응룡(柳應龍) (이조참판(吏曹參判))
류응대(柳應臺) (판관(判官)) 류응진(柳應辰) (참봉(參奉))
류계윤(柳繼胤) (증호참(贈戶參)) 류흥종(柳興宗) (현감(縣監))
류영년(柳永年) (습독(習讀))
류예선(柳禮善) (현령(縣令))
류요신(柳堯臣) (감찰(監察))
류기종(柳起宗) (감찰(監察))
류보찰(柳保察) (군수(郡守))
류서종(柳緖宗) (현령(縣令))
류원순(柳元洵) (사맹(司猛))
류경안(柳景顔) (판관(判官))
류창조(柳昌祖) (소윤(少尹))
류덕용(柳德容) (현감(縣監)) 류진석(柳晋錫) (현령(縣令))
류승석(柳承錫) (군수(郡守)) 류문(柳雯) (감사(監司))
류순(柳淳) (감찰(監察)) 류호(柳浩) (찰방(察訪))
류흥온(柳興溫) (참봉(參奉)) 류흥공(柳興恭) (직장(直長))
류흥검(柳興儉) (참봉(參奉)) 류양보(柳陽輔) (감역(監役))
류희운(柳希雲) (진용교위(振勇校尉))
류희점(柳希霑) (사직(司直)) 류희제(柳希霽) (첨추(僉樞))
류팽수(柳彭壽) (첨추(僉樞)) 류정(柳禎) (부사(府使))
류희춘(柳希春) (직장(直長)) 류영춘(柳榮春) (별좌(別坐))
류현조(柳顯祖) (감사(監司)) 류청(柳淸) (군수(郡守))
류엄(柳淹) (현감(縣監)) 류원양(柳元陽) (사과(司果))
류대승(柳大承) (부사(府使)) 류연종(柳連宗) (호군(護軍))
류완(柳浣) (참봉(參奉)) 류탁(榴濯) (목사(牧使))
류귀년(柳龜年) (상호군(上護軍))
류인상(柳麟祥) (어모장군(禦侮將軍)) 류정(柳禎) (시직(侍直))
류홍상(柳鴻翔) (시직(侍直)) 류운(柳沄) (대호군(大護軍))
류자의(柳子儀) (어모장군(禦侮將軍))
류자화(柳子華) (참봉(參奉)) 류자방(柳子房) (찰방(察訪))
류자릉(柳子陵) (찰방(察訪)) 류자운(柳子雲) (헌납(獻納))
류자숙(柳自淑) (직장(直長)) 류자응(柳自應) (부사직(副司直))
류항(柳沆) (지중추(知中樞)) 류원(柳愿) (사직(司直))
류호(柳浩) (대호군(大護軍)) 류련(柳漣) (첨정(僉正))
류완(柳浣) (호군(護軍)) 류백년(柳柏年) (참봉(參奉))
류예(柳藝) (주부(主簿)) 류충량(柳忠良) (중부령(中部令))
류충성(柳忠誠) (사직(司直)) 류섬(柳暹) (찰방(察訪))
류익신(柳益新) (부호군(副護軍)) 류광신(柳光新) (참봉(參奉))
류증신(柳增新) (부호군(副護軍)) 류몽태(柳夢台) (직장(直長))
류몸벽(柳夢璧) (부사용(副司勇)) 류몽익(柳夢翼) (첨정(僉正))
류몽두(柳夢斗) (내금위장(內禁衛將))
류몽참(柳夢參) (부사용(副司勇)) 류몽설(柳夢說) (현감(縣監))
류항(柳恒) (직장(直長)) 류서화(柳瑞和) (첨정(僉正))
류위(柳湋) (현령(縣令)) 류징(柳澂) (군수(郡守))
류영춘(柳榮春) (첨정(僉正)) 류차명(柳次明) (사직(司直))
류쟁(柳諍) (군수(郡守)) 류간(柳諫) (판관(判官))
류한조(柳漢祚) (판결사(判決事)) 류식(柳湜) (감찰(監察))
류강수(柳强首) (사직(司直)) 류원(柳遠) (현감(縣監))
류근(柳近) (군수(郡守)) 류변(柳邊) (참봉(參奉))
류창이(柳昌耳) (사직(司直)) 류종수(柳宗壽) (사직(司直))
류영(柳榮) (사직(司直)) 류정(柳汀) (부정(副正))
류완(柳琬) (현령(縣令)) 류수영(柳垂英) (우윤(右尹))
류정수(柳庭秀) (참봉(參奉)) 류경의(柳敬義) (종사랑(從仕郞))
류경례(柳敬禮) (나주판관(羅州判官))
류경장(柳敬長) (군수(郡守)) 류경업(柳敬業) (봉사(奉事))
류성(柳誠) (현감(縣監)) 류엽(柳엽) (봉사(奉事))
류식(柳埴) (현감(縣監)) 류강(柳堈) (별제(別提))
류방(柳坊) (돈용교위(敦勇校尉)) 류순경(柳舜卿) (참봉(參奉))
류금현(柳金鉉) (직장(直長)) 류온(柳溫) (현감(縣監))
류위(柳渭) (대호군(大護軍)) 류심(柳潯) (봉사(奉事))
류봉춘(柳逢春) (현감(縣監)) 류기(柳沂) (현령(縣令))
류홍(柳泓) (참봉(參奉)) 류흡(柳洽) (현감(縣監))
류정(柳貞) (판윤(判尹)) 류호(柳滸) (부사정(副司正))
류침(柳沉) (호군(護軍)) 류만수(柳萬壽) (지평(持平))
류상후(柳尙厚) (현감(縣監)) 류종선(柳宗善) (참봉(參奉))
류언(柳漹) (참봉(參奉)) 류명남(柳命男) (현감(縣監))
류윤(柳潤) (첨추(僉樞)) 류반(柳泮) (주부(主簿))
류순(柳洵) (여절교위(勵節校尉))
류일계(柳一桂) (사옹봉사(司饔奉事))
류세번(柳世藩) (현감(縣監)) 류원량(柳元良) (사과(司果))
류원호(柳元豪) (감찰(監察)) 류환(柳渙) (감찰(監察))
류함(柳涵) (부사(府使)) 류공백(柳公栢) (시독(侍讀))
류홍조(柳弘祚) (부사(府使)) 류희양(柳希陽) (호군(護軍))
류희영(柳希榮) (현감(縣監)) 류희문(柳希文) (대호군(大護軍))
류희필(柳希畢) (판관(判官)) 류희신(柳希宸) (부사(府使))
류희순(柳希洵) (참봉(參奉)) 류희순(柳希洵) (첨정(僉正))
류희천(柳希川) (직장(直長)) 류문잠(柳文潜) (봉사(奉事))
류종빈(柳宗贇) (대호군(大護軍)) 류광빈(柳光濱) (참봉(參奉))
류수반(柳秀濱) (찰방(察訪)) 류인손(柳仁孫) (어모(禦侮))
류현손(柳賢孫) (감찰(監察)) 류당(柳堂) (참봉(參奉))
류기(柳기) (참봉(參奉)) 류기(柳基) (지평(持平))
류담(柳湛) (도사(都事)) 류안인(柳安仁) (별제(別提))
류선민(柳先民) (직장(直長)) 류희담(柳希聃) (사직(司直))
류세우(柳世祐) (직장(直長)) 류수연(柳壽延) (주부(主簿))
류찬(柳讚) (익위(翊衛)) 류무극(柳無極) (현감(縣監))
류윤종(柳倫宗) (찰방(察訪)) 류형(柳泂) (주부(主簿))
류영(柳泳) (사의(司議)) 류연(柳沇) (참봉(參奉))
류원서(柳元瑞) (부사과(副司果))
류형서(柳亨瑞) (부사과(副司果)) 류공인(柳公仁) (참봉(參奉))
류인식(柳仁湜) (현령(縣令)) 류정영(柳汀榮) (찰방(察訪))
류정설(柳廷卨) (현감(縣監)) 류각민(柳覺民) (도사(都事))
류덕민(柳德民) (현감(縣監)) 류대춘(柳大春) (현감(縣監))
류대근(柳大根) (참봉(參奉)) 류용문(柳龍門) (감찰(監察))
류기사(柳起泗) (참봉(參奉)) 류수강(柳壽江) (참봉(參奉))
류사익(柳思翼) (감찰(監察)) 류사명(柳思明) (참봉(參奉))
류사훈(柳思勳) (참봉(參奉)) 류헌민(柳獻民) (사과(司果))
류세신(柳世新) (감찰(監察)) 류덕신(柳德新) (도정(都正))
류중창(柳重昌) (대호군(大護軍))
류중번(柳重蕃) (부사직(副司直))
류백춘(柳伯春) (경주판관(慶州判官))
류순장(柳順長) (감찰(監察)) 류순명(柳順命) (목사(牧使))
류위(柳湋) (직장(直長)) 류봉춘(柳逢春) (참봉(參奉))
류문수(柳門秀) (현감(縣監))
류덕남(柳德男) (군수(郡守))
류찬종(柳讚宗) (참봉(參奉))
류계서(柳繼緖) (사직(司直))
류희수(柳希壽) (호의(戶議))
류유순(柳惟順) (감역(監役))
류유관(柳惟寬) (봉사(奉事))
류응성(柳應星) (참봉(參奉))
류응량(柳應良) (부사(府使))
류시화(柳時華) (도사(都事)) 류연종(柳連宗) (참봉(參奉))
류락(柳樂) (봉사(奉事)) 류은(柳誾) (찰방(察訪))
류경신(柳敬身) (참봉(參奉)) 류경승(柳敬勝) (찰방(察訪))
류렴(柳濂) (군수(郡守)) 류한(柳漢) (부사직(副司直))
류의종(柳義宗) (선공감(繕工監)) 류경룡(柳擎龍) (감찰(監察))
류사경(柳思瓊) (현감(縣監)) 류극양(柳克讓) (현감(縣監))
류희잠(柳希潜) (현감(縣監)) 류광진(柳光縉) (현감(縣監))
류광찬(柳光纘) (사직(司直)) 류식(柳軾) (현감(縣監))
류맹지(柳孟枝) (군수(郡守)) 류구생(柳坵生) (인의(引儀))
류지춘(柳知春) (헌릉참봉(獻陵參奉))
류기춘(柳起春) (첨정(僉正)) 류정춘(柳汀春) (부위(副尉))
류간(柳澗) (참봉(參奉)) 류혜(柳蕙) (참봉(參奉))
류회(柳薈) (참봉(參奉)) 류여강(柳如岡) (현감(縣監))
류성(柳晟) (충의위(忠義衛)) 류종수(柳淙秀) (봉사(奉事))
류연수(柳沿秀) (참봉(參奉)) 류수정(柳守正) (주부(主簿))
류성달(柳成達) (군수(郡守)) 류혜지(柳惠至) (현감(縣監))
류동발(柳東發) (감찰(監察)) 류후빈(柳後玭) (직장(直長))
류복건(柳復建) (군수(郡守)) 류징(柳澄) (판결사(判決事))
류광성(柳光成) (봉사(奉事)) 류옥(柳沃) (감역(監役))
류흡(柳흡) (빈정(賓正)) 류인남(柳仁男) (선전(宣傳))류만립(柳晩立) (참봉(參奉)) 류운(柳篔) (감역(監役))
류담(柳曇) (사과(司果)) 류철(柳喆) (직장(直長))
류영(柳瑛) (동중추(同中樞)) 류서(柳恕) (판관(判官))
류무(柳懋) (찰방(察訪)) 류경문(柳慶門) (사용(司勇))
류명(柳溟) (봉사(奉事)) 류습(柳濕) (참봉(參奉))
류희안(柳希安) (판관(判官)) 류희성(柳希成) (군수(郡守))
류희계(柳希契) (현감(縣監)) 류희익(柳希益) (첨정(僉正))
류?(柳?) (현감(縣監)) 류주(柳澍) (사직(司直))
류인립(柳仁立) (현감(縣監)) 류의립(柳義立) (현감(縣監))
류진춘(柳震春) (참봉(參奉)) 류귀수(柳龜壽) (감찰(監察))
류이영(柳伊榮) (훈도(訓導)) 류관영(柳關榮) (봉사(奉事))
류항(柳航) (봉사(奉事)) 류황(柳艎) (감찰(監察))
류도인(柳導仁) (참봉(參奉)) 류대명(柳大鳴) (현감(縣監))
류인상(柳麟祥) (현감(縣監)) 류명윤(柳明潤) (군수(郡守))
류인(柳諲) (판관(判官)) 류기(柳起) (참봉(參奉))
류봉록(柳奉錄) (판관(判官)) 류춘발(柳春發) (현감(縣監))
류기(柳起) (참봉(參奉)) 류철(柳轍) (현감(縣監))
류두장(柳斗章) (주부(主簿)) 류석기(柳碩基) (찰방(察訪))
류약(柳瀹) (현감(縣監)) 류순민(柳舜民) (감찰(監察))
류수(柳藪) (현감(縣監)) 류안복(柳安福) (사직(司直))
류융(柳瀜) (사과(司果)) 류척(柳滌) (감역(監役))
류철(柳澈) (목사(牧使)) 류응운(柳應運) (충의(忠義))
류응회(柳應會) (충의(忠義)) 류창문(柳昌文) (현령(縣令))
류희연(柳希淵) (훈도(訓導)) 류혜(柳惠) (주부(主簿))
류자(柳慈) (주부(主簿)) 류복(柳福) (첨추(僉樞))
류민(柳珉) (부호군(副護軍)) 류운공(柳雲恭) (도사(都事))
류후빈(柳後玭) (도사(都事)) 류담(柳潭) (참봉(參奉))
류인표(柳寅彪) (판관(判官)) 류인위(柳寅威) (도정(都正))
류건(柳健) (좌랑(佐郞)) 류성원(柳誠源) (주부(主簿))
류수갑(柳壽甲) (현감(縣監)) 류시량(柳時亮) (사어(司禦))
류지빈(柳之濱) (도사(都事)) 류신후(柳信厚) (부사용(副司勇))
류동기(柳東紀) (봉사(奉事)) 류성화(柳聖和) (현감(縣監))
류경(柳慶) (현감(縣監)) 류서호(柳瑞豪) (참봉(參奉))류수(柳秀) (참의(參議)) 류정규(柳廷珪) (첨정(僉正))
류형남(柳亨南) (도사(都事)) 류창국(柳昌國) (도사(都事))
류시립(柳時立) (부사(府使)) 류산립(柳山立) (현감(縣監))
류학립(柳學立) (세마(洗馬)) 류극창(柳克昌) (찰방(察訪))
류이타(柳爾柁) (찰방(察訪)) 류여신(柳汝新) (주부(主簿))
류희인(柳熙仁) (부사(府使)) 류해(柳楷) (찰방(察訪))
류경소(柳景紹) (부사(府使)) 류시영(柳時榮) (참봉(參奉))
류자번(柳自蕃) (참봉(參奉))
류흥문(柳興門) (예빈사랑(禮賓寺郞))
류헌일(柳軒一) (부사용(副司勇)) 류춘번(柳春蕃) (참봉(參奉))
류승배(柳承培) (현감(縣監)) 류증화(柳增華) (참봉(參奉))
류익화(柳益華) (현감(縣監)) 류진립(柳震立) (주부(主簿))
류춘기(柳春起) (참봉(參奉)) 류인문(柳仁聞) (별제(別提))
류인로(柳仁老) (별제(別提)) 류인성(柳仁聲) (군수(郡守))
류안(柳顔) (주부(主簿)) 류황(柳墴) (감역(監役))
류유(柳囿) (현령(縣令)) 류광운(柳廣運) (사직(司直))
류봉령(柳鳳齡) (목사(牧使)) 류봉장(柳鳳長) (현감(縣監))
류회제(柳檜齊) (현감(縣監)) 류비(柳毗) (주부(主簿))
류세헌(柳世憲) (첨정(僉正)) 류인무(柳寅茂) (부사(府使))
류수만(柳壽滿) (주부(主簿)) 류세춘(柳世春) (참봉(參奉))
류대춘(柳帶春) (참봉(參奉)) 류응춘(柳應春) (참봉(參奉))
류정국(柳定國) (참봉(參奉)) 류성회(柳成會) (판윤(判尹))
류자충(柳自忠) (목사(牧使)) 류정필(柳貞弼) (현감(縣監))
류진필(柳震苾) (참봉(參奉)) 류양(柳穰) (부사용(副司勇))
류사(柳瑡) (사평(司評)) 류귀년(柳龜年) (참봉(參奉))
류호인(柳好仁) (부사용(副司勇)) 류상겸(柳尙謙) (감역(監役))
류정하(柳挺河) (군수(郡守)) 류정택(柳挺澤) (승지(承旨))
류경엽(柳景曄) (찰방(察訪)) 류중창(柳重昌) (감찰(監察))
류광춘(柳光春) (군수(郡守)) 류식(柳埴) (직장(直長))
류천수(柳天壽) (참봉(參奉)) 류춘영(柳春榮) (참봉(參奉))
류동영(柳東英) (현령(縣令)) 류창원(柳昌垣) (도사(都事))
류장룡(柳長龍) (현감(縣監)) 류성제(柳聖濟) (군수(郡守))
류사온(柳思溫) (군자감정(軍資監正))
류인수(柳仁修) (군수(郡守)) 류진영(柳振榮) (찰방(察訪))
류보천(柳補天) (참봉(參奉)) 류성춘(柳成春) (부사(府使))
류중수(柳重秀) (참봉(參奉)) 류중겸(柳重謙) (현감(縣監))
류중정(柳重鼎) (현감(縣監)) 류시웅(柳時雄) (현감(縣監))
류동채(柳東采) (군수(郡守)) 류일(柳佾) (승지(承旨))
류호징(柳虎徵) (현령(縣令)) 류흥조(柳興朝) (예빈정(禮賓正))
류익한(柳翊漢) (현감(縣監)) 류종림(柳宗琳) (부윤(府尹))
류발(柳發) (첨정(僉正)) 류언한(柳彦漢) (주부(主簿))
류복(柳復) (참봉(參奉)) 류정운(柳汀雲) (군수(郡守))
류명관(柳明觀) (현감(縣監)) 류명제(柳明濟) (도사(都事))
류덕흥(柳德興) (부사(府使)) 류후남(柳厚男) (사직(司直))
류종신(柳宗新) (장례(掌禮)) 류동(柳棟) (참봉(參奉))
류영흡(柳榮洽) (사정(司正)) 류계연(柳繼淵) (찰방(察訪))
류명위(柳明渭) (현감(縣監)) 류응길(柳應吉) (주부(主簿))
류창수(柳昌壽) (참봉(參奉)) 류명신(柳命新) (주부(主簿))
류중립(柳仲立) (부사(府使)) 류사원(柳思元) (감찰(監察))
류화원(柳和元) (부사(府使)) 류세형(柳世亨) (현감(縣監))
류승천(柳承天) (참봉(參奉)) 류성진(柳成震) (공의(工議))
류광우(柳匡宇) (감찰(監察))

조선조 급제자 정록

사눌(思訥) (태조(太祖)2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진사(進士)) 의(顗) (태조(太祖)5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진사(進士)) 부(愽) (정종(定宗)1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을과(乙科)) 장(暲) (정종(定宗)1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진사(進士)) 이(夷) (정종1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진사(進士)) 맹문(孟聞) (태종(太宗)1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병과(丙科)) 사근(士根) (태종(太宗)1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진사(進士)) 사눌(思訥) (태종(太宗)7년 ㆍ 중시(重試) ㆍ 병과(丙科)) 계문(季聞) (태종(太宗)8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진사(進士)) 맹손(孟孫) (세종(世宗)11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진사(進士)) 참(참) (세종(世宗)16년 ㆍ 알성시(謁聖試) ㆍ 을과이(乙科二)) 곡(轂) (세종(世宗)23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ㆍ 정과(丁科)) 성원(誠源) (세종(世宗)26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성원(誠源) (세종(世宗)29년 ㆍ 중시(重試) ㆍ 을과이(乙科二)) 자미(自湄) (문종(文宗)1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정과(丁科)) 계분(桂芬) (단종(端宗)1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병과(丙科)) 지(輊) (단종(端宗)1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정과(丁科)) 권(권) (세조(世祖)2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ㆍ 정과(丁科)) 순(洵) (세조(世祖)8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ㆍ 정과(丁科)) 순(洵) 세조(世祖)12년 ㆍ 중시(重試) ㆍ 삼등(三等)) 순(洵) (세조(世祖)12년 ㆍ 발영시(拔英試) ㆍ 삼등(三等)) 상(常) (세조(世祖)14년 ㆍ 온양별시(溫陽別試) ㆍ 을과(乙科)) 효장(孝章) (예종(睿宗)1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을과(乙科)) 식(軾) (성종(成宗)3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호(壕) (성종(成宗)5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인동(麟童) (성종(成宗)6년 ㆍ 친시(親試) ㆍ 병과(丙科)) 인호(仁濠) (성종(成宗)7년 ㆍ 별시(別試) ㆍ 갑과(甲科)) 인유(仁濡) (성종(成宗)8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을과(乙科)) 인종(麟種) (성종(成宗)11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을과(乙科)) 인홍(仁洪) (성종(成宗)12년 ㆍ 친시(親試) ㆍ 을과(乙科)) 정수(廷秀) (성종(成宗)14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경(坰) (성종(成宗)14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팽석(彭碩) (성종(成宗)20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희철(希轍) (연산(燕山) ㆍ 증광시(增廣試) ㆍ 병과(丙科)) 희저(希渚) (연산(燕山)2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ㆍ 갑과(甲科)) 사경(思敬) (연산(燕山)2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희철(希轍) (연산(燕山)3년 ㆍ 중시(重試) ㆍ 병과(丙科) ㆍ 을과(乙科)) 공석(公奭) (연산(燕山)7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을과(乙科)) 운(雲) (연산(燕山)10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ㆍ 갑과(甲科)) 경조(敬祖) (중종(中宗) ㆍ 별시(別試) ㆍ 을과(乙科)) 관(灌) (중종(中宗)2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병과(丙科)) 옥(沃) (중종(中宗)2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ㆍ 갑과(甲科)) 추(湫) (중종(中宗) ㆍ 식년시(式年試) ㆍ 을과(乙科)) 인수(仁洙) (중종(中宗)8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지선(智善) (중종(中宗)26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경인(敬仁) (중종(中宗)30년 ㆍ 별시(別試) ㆍ 병과(丙科)) 잠(潜) (중종(中宗)35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혼(渾) (중종(中宗)36년 ㆍ 별시(別試) ㆍ 갑과(甲科)) 전(㙉) (명종(明宗)8년 ㆍ 별시(別試) ㆍ 병과(丙科)) 전(㙉) (명종(明宗)11년 ㆍ 중시(重試) ㆍ 병과(丙科)) 자(垍) (명종(明宗)11년 ㆍ 알성시(謁聖試) ㆍ 병과(丙科)) 사신(思新) (명종(明宗)11년 ㆍ 알성시(謁聖試) ㆍ 병과(丙科)) 덕수(德粹) (명종(明宗)15년 ㆍ 별시(別試) ㆍ 병과(丙科)) 희림(希霖) (명종(明宗)16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몽정(夢鼎) (선조(宣祖)7년 ㆍ 별시(別試) ㆍ 병과(丙科)) 영서(永緖) (선조(宣祖)9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을과(乙科)) 덕종(德種) (선조(宣祖)19년 ㆍ 중시(重試) ㆍ 병과(丙科)) 팽로(彭老) (선조(宣祖)21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을과(乙科)) 인길(寅吉) (선조(宣祖)22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갑과(甲科)) 공량(公亮) (선조(宣祖)23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을과(乙科)) 도(塗) (선조(宣祖)24년 ㆍ 별시(別試) ㆍ 을과(乙科)) 함형(咸亨) (선조(宣祖)27년 ㆍ 별시(別試) ㆍ 병과(丙科)) 희분(希奮) (선조(宣祖)30년 ㆍ 별시(別試) ㆍ 병과(丙科)) 중룡(仲龍) (선조(宣祖)33년 ㆍ 별시(別試) ㆍ 병과(丙科)) 기문(起門) (선조(宣祖)34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사경(思敬) (선조(宣祖)38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갑과(甲科)) 희량(希亮) (광해(光海)1년 ㆍ 별시(別試) ㆍ 을과(乙科)) 희발(希發) (광해(光海)1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병과(丙科)) 효립(孝立) (광해(光海) 즉위년(卽位年) ㆍ 증광시(增廣試) ㆍ 병과(丙科)) 충립(忠立) (광해(光海)2년 ㆍ 별시(別試) ㆍ 병과(丙科)) 흠(흠) (광해(光海)8년 ㆍ 별시(別試) ㆍ 을과(乙科)) 대화(大華) (광해(光海)10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갑과(甲科)) 정립(鼎立) (광해(光海)10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을과(乙科)) 속(洬) (광해(光海)10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갑과(甲科)) 명립(命立) (광해(光海)13년 ㆍ 알성시(謁聖試) ㆍ 을과(乙科)) 경집(景緝) (인조(仁祖)2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을과(乙科)) 효건(孝健) (인조(仁祖)2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심(심) (인조(仁祖)6년 ㆍ 별시(別試) ㆍ 병과(丙科)) 인량(寅亮) (인조(仁祖)8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지립(志立) (인조(仁祖)20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목(霂) (인조(仁祖)24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이후(以厚) (효종(孝宗)2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현(俔) (효종(孝宗)4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송재(松齋) (현종(顯宗)1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을과(乙科)) 문우(文祐) (현종(顯宗)1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담후(譚厚) (현종(顯宗)6년 ㆍ 별시(別試) ㆍ 을과(乙科)) 영후(榮厚) (현종(顯宗)6년 ㆍ 별시(別試) ㆍ 병과(丙科)) 상운(尙運) (현종(顯宗)7년 ㆍ 별시(別試) ㆍ 병과(丙科)) 귀징(龜徵) (숙종(肅宗)6년 ㆍ 별시(別試) ㆍ 병과(丙科)) 윤징(胤徵) (숙종(肅宗)8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병과(丙科)) 수함(壽咸) (숙종(肅宗)8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병과(丙科)) 상재(尙載) (숙종(肅宗)9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을과(乙科)) 백승(百乘) (숙종(肅宗)9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병과(丙科)) 상진(尙軫) (숙종(肅宗)10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을과(乙科)) 봉서(鳳瑞) (숙종(肅宗)15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병과(丙科)) 환(瑍) (숙종(肅宗)17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병과(丙科)) 중무(重茂) (숙종(肅宗)20년 ㆍ 알성시(謁聖試) ㆍ 병과(丙科)) 봉휘(鳳輝) (숙종(肅宗)25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을과(乙科)) 귀감(龜鑑) (숙종(肅宗)28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재원(載遠) (숙종(肅宗)31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병과(丙科)) 봉명(鳳鳴) (숙종(肅宗)34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병과(丙科)) 원상(爰相) (숙종(肅宗)38년 ㆍ 정시(庭試) ㆍ 병과(丙科)) 성홍(聖洪) (숙종(肅宗)39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병과(丙科)) 여림(汝霖) (숙종(肅宗)43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갑과(甲科)) 수원(壽垣) (숙종(肅宗)44년 ㆍ 정시(庭試) ㆍ 병과(丙科)) 필자(弼垍) (숙종(肅宗)44년 ㆍ 정시(庭試) ㆍ 병과(丙科)) 기서(基緖) (경종(景宗)1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시모(時模) (경종(景宗)1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추성(樞星) (영조(英祖)9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시모(時模) (영조(英祖)13년 ㆍ 중시(重試) ㆍ 병과(丙科)) 일상(一相) (영조(英祖)16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병과(丙科)) 광국(匡國) (영조(英祖)26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을과(乙科)) 영(泳) (영조(英祖)29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갑과(甲科)) 동빈(東賓) (영조(英祖)30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병과(丙科)) 환덕(煥德) (영조(英祖)31년 ㆍ 정시(庭試) ㆍ 병과(丙科)) 훈(薰) (영조(英祖)35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을과(乙科)) 성모(成模) (영조(英祖)38년 ㆍ 정시(庭試) ㆍ 병과(丙科)) 한신(翰申) (영조(英祖)42년 ㆍ 정시(庭試) ㆍ 병과(丙科)) 덕신(德申) (영조(英祖)44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갑과(甲科)) 이현(頤玄) (영조(英祖)48년 ㆍ 별시(別試) ㆍ 병과(丙科)) 명균(明均) (영조(英祖)48년 ㆍ 기로정시(耆老庭試) ㆍ 병과(丙科)) 회(誨) (영조(英祖)51년 ㆍ 정시(庭試) ㆍ 병과(丙科)) 사모(師模) (정조(正祖)13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을과(乙科)) 기풍(基豊) (순조(純祖)19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흥규(興奎) (순조(純祖)31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흥길(興吉) (헌종(憲宗)3년 ㆍ 정시(庭試) ㆍ 을과(乙科)) 태현(泰鉉) (헌종(憲宗)9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정식(廷植) (고종(高宗)6년 ㆍ 정시(庭試) ㆍ 병과(丙科)) 영훈(永薰) (고종(高宗)7년 ㆍ 식년시(式年試) ㆍ 병과(丙科)) 면호(冕鎬) (고종(高宗)10년 ㆍ 정시(庭試) ㆍ 병과(丙科)) 종정(淙楨) (고종(高宗)22년 ㆍ 증광시(增廣試) ㆍ 병과(丙科)) 인철(寅哲) (고종(高宗)27년 ㆍ 별시(別試) ㆍ 병과(丙科)) 병일(炳一) (고종(高宗)29년 ㆍ 알성시(謁聖試) ㆍ 병과(丙科)) 병욱(炳勖) (고종(高宗)30년 ㆍ 정시(庭試) ㆍ 병과(丙科))
출처 :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는 방법을 찾아서~~~
글쓴이 : 어름산이 원글보기
메모 :

'문화류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류씨세계  (0) 2008.11.05
[스크랩] 류씨본관  (0) 2008.11.05
[스크랩] 신라차씨세계  (0) 2008.11.05
[스크랩] 류차문제  (0) 2008.11.05
2008年度 高麗大殿 大祭 소개  (0) 2008.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