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공형제 주장의 허구성 탐구
夏谷 류재균
A. 서론
문화류씨대종회에서 인정하지 않고 문화류씨대동보가 영락보(1423년)에서 무자보(2008년)까지 10번 족보에서 한 번도 언급된 적이 없는 대승공 가계를 취성록, 고려종성연구회의 왕차류삼성세계, 류대원의 유성문헌록을 이용하여 문화류씨 시조 대승공 명성에 오점을 남기려는 일이 없도록 부탁드리며 본 글에 출처를 밝혔으니 자세한 내용은 출처를 참고하고 본문에서는 출처 요약하였으나 글이 길어졌습니다.
저는 자료를 수집하여 글을 쓰면 사이트에 올리고 삭제해 버리는 단점이 있어 하정공종중에서“유성문헌록”을 받아 확인해 보라는 종원의 말을 듣고 본 글을 쓰는데 자료를 찾느라 많은 시간을 허비했습니다.
제가 출처와 족보쪽수를 표기하여 이글을 읽는 종원이 확인해 보라는 것인데 어느 종원처럼 확인해 보지 않고 무엇을 근거로 글을 썼느냐?고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B. 취성록(취물보聚物譜)
1980년대 춘정류명열님이 하정공파광주종친회원에게 취성록을 배부하면서 반계문집에 있는 내용이라 했는데 영광류씨 류정근이 취성록을 근거로 영광에 류자광이 하정공할아버지 湜의 장남 培의 후손이라면서 남원에 류자광비를 세우고 식선조 배선조 묘를 조성하는 황당한 일이 있습니다.
1. 류주환님의 취성록에 대한 글
출처 : 문화류씨대종회홈페이지/사랑방/종사토론/59번글 취성록(聚星錄)에 관한 고찰 [2] 2011.05.22.
◎ 취성록(聚星錄)에 관한 고찰 : 류주환글
족보가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이 조선에 들어와서 15세기부터이고, 대부분의 집안들이 18세기 및 그 이후에야 족보다운 족보를 만들었다. 따라서 선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할 수밖에 없다. 사적을 만들어 내거나 계보를 억지로 꾸며 넣은 일도 흔히 일어났다.
"취성록"이라는 문건은 1970~80년대에 당시의 "차류대종보"*에 몇 차례 언급되었던 듯하다. (*차류대종회가 해체되어 더 이상 나오지 않음.) 필자는 그 즈음에 나온 종보를 일부 밖에 갖고 있지 않은데, 마침 1982년판에 류재하(柳在河)님께서 쓰신 "취성록의 정체를 추적한다"라는 글이 나와 있다. 이 글은 "취성록"에 대한 제반 사항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어 그 문건에 대한 가장 직접적인 기록이 될 듯하다.
참고로 "취성록"은 이인화의 장편소설 "영원한 제국"에 등장하는데 이는 우연히 명칭이 (한자까지도) 동일하지만 아무런 관련이 없다. 또한 이인화의 소설의 "취성록"은 소설적 허구로 등장시킨 것이며, 실제 그런 문헌이 역사적으로 존재한 것도 아니다. 소설을 끝까지 혹은 상세히 읽지 않은 사람들이 마치 "취성록"[이인몽(李人夢)이란 사람이 썼다고 나오는데 이 사람도 가공인물이다]이 실제로 있었던 역사서로 생각하곤 한다.
C. 취성록
(1) 현재의 "취성록" 기록
현존하는 "취성록"은 다음의 두 개(류씨세계선조 월흑산장, 반계류형원著收輯聚星錄)의 기록으로만 남아 있다.(족보에는 月黑山長임)
2. 영광류성근 취성록을 근거로 만든 류자광비석에 대한 류재균 반박자료
출처 : http://cafe.daum.net/moonwharyu/2i2D/742
① 문화류씨 입장
취물보는 원파록에서 차문이 만든 이름 월흑산장 류보림의 아들 3명이 있고 그 아들 대승류차달의 5대손(류차달→류효금→류금환→류노일→류보춘) 류보춘의 3형제가 있는데 장남 보춘의 후손이 문화류씨 영광류씨 등이 되고 차남의 후손이 문화류씨 진주류씨 정주류씨 등이 되고 3남 후손이 고흥류씨등이 되었다는 이런 주장을 인정하고 있지 않다.
문화류씨족보에 원파록을 인정하지 않기에 원파록에 등장하는 보림과 대승공 류차달 형제가 있다는 근거가 없다.
왕건의 장인 류천궁(정주류씨)은 류차달과 동시대 인물인데 취물보에 의하면 보춘 동생의 증손이 정주류씨라는데 류차달과 7대 이상 차이가 나서 약 200년 후에 정주류씨가 나타나기에 취물보는 틀린 자료이다.
류차달과 동시대 활동했던 정주류씨(류천궁)을 류차달 7대손에서 정주류씨로 분파되었다는 취물보는 누군가 만든 작품이다.
이런 틀린 자료를 가지고 문화류씨 대승공11세 湜(평리 상장군)의 장남 培(밀직)의 후손이 없는 것에 영광류씨를 붙이는 것은 문화류씨를 모독하는 행동이다. 그것도 감히 식 선조의 장남에 붙이다니 무례하기 짝이 없다.
2007년 차류종친회는 해체되었으나 자료를 참고용으로 차류대종보를 이용하는데, 2002년 차류대종보 29호 119쪽, 128쪽에 의하면 류자광은 이봉진주 류혜방 둘째아들이란 근거가 없고 진주류씨라는 근거가 없다고 했는데 2003년 차류대종보 30호 162쪽에서 류정근이 취성록을 근거로 배의 후손이란 주장을 하고 남원에 이런 비문을 세우는 만행을 자행했다.
② 원파록 허구성
우리나라 성씨의 시조를 보면 신라 석탈해와 가야 허왕후는 인도에서 태어났고 박혁거세는 알에서, 그의 부인 알영은 계룡 겨드랑이에서, 김알지는 금빛의 작은 궤짝에서 , 고구려시조 주몽은 천제의 아들인 해모수의 아들이다.
대승공과 동시대 인물로 왕건의 할아버지는 작제건 아버지는 용건으로 성씨가 작씨→용씨→왕씨로 바꾸어지고 견훤의 아버지는 아자개로 왕족의 가계도에서 선대를 알 수 없는데 원파록에서 중국황제로부터 시작하여 하우제로 이어지고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고조선 왕조명이란 실존인물에 붙이고 왕조명으로부터 25세를 내려온 차무일이 박혁거세로부터 차씨성을 하사 받았다고 한다.
왕족도 계속적으로 계보가 이어지지 않는데 왕족이 아닌 차씨가 황제부터 신라까지 계보도가 있다는 것은 불가능한 이야기이며 삼국사기에 등장하지 않는 차씨가 자신도 성이 없어 후손들이 붙여준 박씨인데 박혁거세가 성씨를 하사한다는 원파록은 조작된 이야기입니다.
③ 취물보의 허구성
취물보(聚物譜)는 원파록에서 더 조작을 거듭한 것입니다. 내용은 원파록에서 보림의 아들이 3명이고 대승공은 둘째 아들이며 대승공의 고손이 3명으로 보춘 보하 보추이라는 것입니다.
보춘 후손들이 문화류씨 영광류씨 육창류씨 연안류씨로 분파되고 보하후손들이 문화 본진주 이봉진주 정주 백천류씨로 분파되고 보추 후손들이 고흥 흥양 약목 인동 부평류씨로 분파되었다는 것입니다.
대승공과 함께 활동했던 시대에 왕건의 장인 류천궁은 정주류씨이며 대승공 10대손이 300년후 정주류씨로 분파되었다는 것이기에 취물보는 조작된 이야기입니다.
취물보를 근거로 영광류씨가 대승공7세 류공권의 5대손 배의 후손이란 주장도 근거 없는 이야기입니다.
④ 고려종성연구회 주장 허구성
출처 : http://cafe.daum.net/moonwharyu/2i2D/454
㉮ 류숙(차공숙)의 후손 3명이 있는데 첫째 전주류씨는 류기후→류법반→류윤경→류방헌(944-1009)로 이어지고 둘째는 진보→무선→보림→해(차달)→ 차효전(연안차씨)이며 류효금은 ………공권→언침→순→조은---후손 무이고 차남 택→경→승은 문화류씨이고 셋째는 류천궁으로 정주류씨라는 것으로 순 후손들을 문화류씨로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 차공도 후손이 청주류씨 풍산류씨 고흥류씨 나주류씨 선선류씨 서산류씨 진주류씨 개성왕씨라는 주장입니다.
④ 종사 일을 보는 사람들이 이런 허무맹랑한 주장을 사실로 받아들여 공권→언침→순→성비→당(시랑공파)과 식(문숙공파, 하정공파, 장령공파)선조를 무시하고 성비의 6형제를 무시하는 무례를 범하고 있으며 취물보에서 식할아버지 큰아들 배 선조아래 영광류씨를 붙이는 무리가 있다는 것이 슬픈 이야기입니다
D. 고려종성연구회(류삼룡 류재하 등)이 2006년 주장한 대승공 가계도
王 車 柳 三姓略史
2006. 5. 20
高麗宗姓硏究會
會 長 全州后 柳三龍
副會長 若木后 柳在河
副會長 瑞山后 柳乘琯
副會長 開城后 王晙恒
副會長 延安后 車和俊
副會長 豐山后 柳時復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車 | 輔 | 哀 |
| 車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陵 | 相 | 莊 |
| 建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王 |
| 申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柳 | 車 | 本 |
| 柳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陵 | 恭 | 姓 |
| 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叔 | 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王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國 | 司 | 車 | 本 | 王 |
|
|
|
|
|
|
|
| 司 | 車 | 本 |
| 柳 |
| 車 | |||
|
|
|
|
|
|
|
|
|
|
|
|
|
| 祖 | 空 | 恭 | 姓 | 恭 |
|
|
|
|
|
|
|
| 空 | 恭 | 姓 |
| 叔 |
| ||||
|
|
|
|
|
|
|
|
|
|
|
|
|
|
|
| 道 | 名 | 道 |
|
|
|
|
|
|
|
|
| 叔 | 名 |
|
|
| 柳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三 | |
|
|
|
|
|
|
|
|
|
|
|
|
|
|
|
|
|
| 懿 |
|
|
|
|
|
| 振 |
|
|
|
| 失 |
| |||||
|
|
|
|
|
|
|
|
|
|
|
|
|
|
|
|
|
| 祖 |
|
|
|
|
|
| 阜 |
|
|
|
| 傳 |
| 姓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茂 |
|
|
|
| 其 |
| 世 | |||
|
|
|
|
|
|
|
|
|
|
|
|
|
|
|
|
|
| 世 |
|
|
|
|
|
| 先 |
|
|
|
| 休 |
| |||||
|
|
|
|
|
|
|
|
|
|
|
|
|
|
|
|
|
| 祖 | 柳 |
|
|
|
|
|
|
|
|
|
|
|
|
| 系 | |||
|
|
|
|
|
|
|
|
|
|
|
|
|
|
|
|
|
|
|
| 天 |
|
|
|
| 普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弓 |
|
|
|
| 林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德 |
|
|
| 車 | 海 |
|
|
|
| 法 |
|
|
| |||
|
|
|
|
|
|
|
|
|
|
|
|
|
|
|
|
|
|
|
| 英 |
|
|
| 達 |
|
|
|
|
| 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韶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太 | ․ |
|
| 柳 | 車 |
|
|
|
| 潤 |
|
|
| |||||
|
|
|
|
|
|
|
|
|
|
|
|
|
|
|
|
|
| 祖 | 仁 |
|
| 孝 | 孝 |
|
|
|
| 謙 |
|
|
| |||||
|
|
|
|
|
|
|
|
|
|
|
|
|
|
|
|
|
|
|
| 著 |
|
| 金 | 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宗 | 洪 |
|
| 金 | 秀 |
|
|
|
| 邦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奐 | 䀝 |
|
|
|
| 憲 |
|
|
| ||||
|
|
|
|
|
|
|
|
|
|
|
|
|
|
|
|
|
| 顯 | 貞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宗 | 州 |
|
| 盧 | 季 |
|
|
|
| 周 |
|
|
| |||||
|
|
|
|
|
|
|
|
|
|
|
|
|
|
|
|
|
|
|
| 柳 |
|
| 一 | 隣 |
|
|
|
| 鐸 |
|
|
| ||||
|
|
|
|
|
|
|
|
|
|
|
|
|
|
|
|
|
|
|
| 氏 |
|
|
|
|
|
|
|
|
|
|
|
|
|
|
| |
| 平 |
|
|
|
|
|
|
|
|
|
|
|
|
|
|
| 文 |
|
|
|
|
|
|
|
|
|
|
|
|
|
|
|
|
| ||
| 壤 |
|
|
|
|
|
|
|
|
|
|
|
|
|
|
| 宗 |
|
|
|
| 寶 | 用 |
|
| 伸 | 昶 |
|
|
| ||||||
| 公 |
|
|
|
|
|
|
|
|
|
|
|
|
|
|
|
|
|
|
|
|
| 春 | 杞 |
|
|
| 雲 |
|
|
| |||||
| 基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後 |
|
|
| 辰 | 朝 |
|
|
|
|
|
|
|
| 肅 |
|
|
|
| 寵 | 伯 |
|
| 德 |
|
|
|
|
| |||||||
| 孫 |
|
|
| 韓 | 鮮 |
|
|
|
|
|
|
|
| 宗 | 慶 |
|
|
| 炤 |
|
| 文 |
|
|
|
|
| ||||||||
|
|
|
|
|
| 公 | 公 |
|
|
|
|
|
|
|
|
|
| 源 |
|
|
|
|
|
|
|
|
|
|
|
|
|
|
| |||
| 開 |
|
|
| 愉 | 燾 |
|
|
|
|
|
|
|
|
|
| 公 |
|
| 公 | 茂 |
|
| 英 |
|
|
|
|
| |||||||
| 城 |
|
|
|
|
|
|
|
|
|
|
|
|
|
|
|
|
| 祚 |
|
| 權 | 鋼 |
|
| 材 |
|
|
|
|
| |||||
| 王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氏 | 晋 |
| 惟 | 廣 | 通 | 齊 | 太 | 上 |
|
| 廣 |
|
|
|
|
|
|
|
|
|
|
|
|
|
|
| |||||||||
|
|
| 康 |
| 安 | 平 | 義 | 安 | 原 | 黨 | 睿 | 平 | 澤 | 彦 | 稽 |
|
| 光 |
|
|
|
|
| |||||||||||||
|
|
| 伯 |
| 伯 | 公 | 候 | 公 | 公 | 候 | 宗 | 公 |
|
| 沈 | 漢 |
|
| 植 |
|
|
|
|
| ||||||||||||
|
|
| 演 |
| 祈 | 源 | 僑 | 湑 | 侾 | 佖 |
|
| 譓 |
|
|
|
|
|
|
|
|
|
|
|
|
|
|
| ||||||||
|
|
| 子 |
| 子 | 子 | 子 | 子 | 子 | 子 | 仁 | 子 |
|
|
|
|
|
|
|
|
|
|
|
|
|
|
| |||||||||
|
|
| 晋 |
| 瑞 | 善 | 羅 | 高 | 豊 | 淸 | 宗 | 若 | 璥 | 淳 | 順 | 韶 | 㽔 |
|
|
|
|
| ||||||||||||||
|
|
| 州 |
| 山 | 山 | 州 | 興 | 山 | 州 |
|
| 木 |
|
|
|
|
|
|
|
|
|
|
|
|
|
|
| ||||||||
|
|
| 柳 |
| 柳 | 柳 | 柳 | 柳 | 柳 | 柳 | 神 | 柳 | 陞 | 旱 | 幼 | 能 |
|
|
|
|
|
|
| |||||||||||||
|
|
| 氏 |
| 氏 | 氏 | 氏 | 氏 | 氏 | 氏 | 宗 | 氏 |
|
| 雲 | 塏 | : |
|
|
|
|
|
|
| ||||||||||||
|
|
| 始 |
| 始 | 始 | 始 | 始 | 始 | 始 |
|
| 始 | : | : | : | : |
|
|
|
|
|
|
| ||||||||||||
|
|
| 祖 |
| 祖 | 祖 | 祖 | 祖 | 祖 | 祖 | 熙 | 祖 | 文 | 无 | 延 | 全 |
|
|
|
|
|
|
| |||||||||||||
|
|
|
|
|
|
|
|
|
|
|
|
|
|
|
|
|
| 宗 | 五 | 化 | 后 | 安 | 州 |
|
|
|
|
|
|
| ||||||
|
|
| 挺 |
| 成 | 瑩 | 未 | 英 | 節 | 未 |
|
| 兄 | 柳 |
|
| 車 | 柳 |
|
|
|
|
|
| ||||||||||||
|
|
|
|
|
| 澗 | 瑞 | 詳 |
|
|
| 詳 |
|
| 弟 | 氏 |
|
| 氏 | 氏 |
|
|
|
|
|
|
『王, 車, 柳 三姓의 올바른 世系』
全州后人 柳三龍
고려 성원보(聖源譜)에 고려 16대왕 예종(睿宗)의 친여종제(親與從弟) 6인이 류씨(柳氏)로 변성(變姓)한 사실이 명기되어 있는데 이분들의 자여손(子與孫)이 문화류씨(文化柳氏)인 류순(柳淳)의 자여손(子與孫)으로 등재되어 소위 환부역조(환부역조 : 아버지와 할아버지를 바꿈)의 중죄(重罪)를 범하였으나 후손들은 모르고 있으니 한심한 일이라고 할까?
이에 왕, 차, 류 삼성(三姓)의 사실을 다음과 같이 약기(略記)한다.
(가). 문화류씨(文化柳氏)
변성(變姓)한 시조 승상(丞相) 차승색(車承穡)의 후예(後裔)로서 1797년에 간행된 정사보(丁巳譜) 수보(修譜) 이래 역대 세보(世譜)에 등재하는 언침(彦沉)의 아들 순(淳)의 소생 6군(六君 : 문산군(文山君) 성비(成庇), 찬성문산군(贊成文山君) 자성(資成), 단녕부원군(端寧府院君) 성윤(成潤), 선산부원군 : 문평군(善山府院君 : 文平君) 원비(元庇), 전성군(全城君) 량재(良梓), 진산군(晋山君) 인비(仁庇)은 거짓되고 터무니 없으며 류순(柳淳)은 아들 류한운(柳旱雲)이 무후(无后)하여 오로지 류언침(柳彦沉)의 아우 류택(柳澤)의 후손이 문화류씨(文化柳氏)이다.
=================================
柳在均의 “王車柳 三姓略史”에 대한 견해(見解)
1. 高麗宗姓硏究會가 언제부터 활동을 했는지 알 수 없으나 2006년 “王車柳 三姓略史” 발표 이후에 돌아가신 분이 계시고 다른 분의 활동을 보면 “王車柳 三姓略史”와 다른 견해로 글을 쓰신 분과 문화류씨를 더 공격하신분이 있어 高麗宗姓硏究會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 활동 내용을 유인물로 소개해 주기 바랍니다.
2. 1797년에 간행된 정사보(丁巳譜) 수보(修譜) 이래 역대 세보(世譜)에 등재하는 언침(彦沉)의 아들 순(淳)의 소생 6군은 거짓이라하는데 문화류씨 족보는 1797년 착수하여 7년만인 1803년 발행한 정사보 이래 순의 아들 6명을 거짓으로 써왔다는데 1565년 가정보 天 페이지에 순의 아들이 한운 성비 자성 량재 인비가 있는데 어떤 근거로 거짓이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3. 1991년 辛未 4월에 발행한 개성왕씨세보 卷首 목록에 원파보와 성원보가 나옵니다. 源派譜는 왕조명으로부터 시작하여 차무일 승색 공로 등 원파록과 같은 내용이며, 聖源譜는 55쪽에 高麗聖源譜로 나옵니다. 高麗宗姓硏究會長님이 말씀하신 고려 성원보(聖源譜)이며 개성왕씨세보 30쪽 “跋” 文을 柳在河님이 쓰셨는데 王氏와 同源이며 王車柳 三姓은 一門이며 승상공(승색)의 후손이며 차원부설원기 등등의 내용으로 나옵니다. 1991년에는 가능한 이야기 이지만 문화류씨는 2008년 무자보에 인정하지 않는 원파록과 차원부설원기를 어떻게 말씀하시는지 내용을 알 수 없습니다.
4. 1991년 辛未 4월에 발행한 개성왕씨세보 卷首의 “……차원부설원기와 왕차류원파록기사 고려사 등을 覈實考證한즉 柳氏, 車氏와 함께 新羅左丞相 車公承穡의 後孫임이 明確히 辨明되었으므로 그 辨證記와 아울러 王車柳源派譜 및 원파록 기사를 고증자료로서 붙이고……”와 “……고려 왕실은 성원보, 종실은 종실보를 만들어 首券에 싣고 기타종족은 세보에 싣되……” 등의 凡例가 나옵니다. 왕씨족보는 문화류씨족보에서 원파록을 옮겨 싣은 것이 사실이라면 지금 문화류씨족보에서는 원파록을 인정하지 않는데 2008년 무자보 이후 왕씨 족보가 발행 되었으면 왕씨 족보를 보고 싶습니다.
5. 王車柳三姓世系 표를 보면 아래와 같은 인정할 수 없는 의문점이 생깁니다.
① 2008년 무자보에서 문화류씨대종회는 원파록을 삭제하였는데 2006년 발표문이라 원파록과 같은 이름이 등장합니다.
② 전주류씨는 始祖를 高麗國 完山伯 (諱 濕)으로 하는데 표에는 습 시조의 이름이 없습니다.
③ 연안차씨종친회중앙본부 자료에 의하면 38世 諱 達, 차씨 1세 車孝全으로 시작하여 8世 子順로 표기하고 있는데 표에서는 車達과 順으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④ 문화류씨에서 淳의 아들 旱雲이 无后라고 하는데 1565년 가정보(嘉靖譜)를 수보한 류희잠(대승공 20세)은 충경공 후손인데 가정보 10권을 수보할 때 각고을 관장 191인이 호응하여 본손 외손까지 수록되어 있는데 희잠 선조가 자신의 직계인 택의 형인 언침(一諱 彦琛)의 순 아들이 无后한 旱雲외에 다른 아들이 있다는 것을 모르고 가정보를 만들었다는 이야기이며 수단 협조를 해준 191명의 수령관장도 순의 아들이 더 있다는 것을 몰랐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⑤ 성씨의 고향 (중앙일보사, 2002) 619쪽에 의하면 약목류씨는 시조를 柳夏로 한다고 하나 표에는 하가 없고 표에 나온 경원공 조(祚)의 아들 광평공 혜(譓)는 원종(元宗)의 딸 함녕궁주(咸寧宮主)의 남편으로 고려 왕실에서 비중인물인데 과연 그 아들들이 류씨로 변성하였을까?
⑥ 선산류씨 시조로 광평공 源의 아들 중에 2명은 외성 취득 기록이 없고 손자 廣陵公 沔(면)에 此派后孫諱稱外氏이라 나오는데 선산류씨는 시조(始祖)를 류원비로 합니다.
⑦ 서산류씨 시조로 진한공 유(愉)의 아들 기(祈)라고 하는데 고려성원보 73쪽에는 유의 아들 기(沂)에 此派后孫諱稱柳氏이라 나오고, 2자 진강백 연(演)에 此派后孫諱稱柳氏라 나오는데, 서산류씨는 시조(始祖)를 류성간(柳成澗 瑞寧府院君)으로 합니다. 류성윤(柳成潤)이 아닙니다.
진주류씨 시조는 진광백 인의 아들로 표기하고 있는데 진주류씨대종회에서는 시조를 류정(柳挺)을 시조(始祖)로 하는 토류계(土柳系)와 문화류씨(文化柳氏)의 후손이라 주장하는 류인비(柳仁庇)를 시조로 하는 이류계(移柳系:移封晉州柳氏系)가 있다고 합니다. 진한공 유의 아들들이 서산과 진주와 연관성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⑧ 청주 풍산 고흥 나주류씨라고 하는 숙종비 명의태후는 정주류씨 류홍의 딸로 숙종과 사이에 7남 4녀를 낳았으며 가족 관계는 아버지 : 류홍 (柳洪, ?~1091년).
시아버지 : 문종 (文宗, 1019년~1083년, 재위:1046년~1083년).
시어머니 : 인예순덕태후 이씨 (仁睿順德太后 李氏, ?~1092년).
남편 : 숙종 (肅宗, 1054년~1105년, 재위:1095년~1105년).
1남 : 예종 (睿宗, 1079년~1122년, 재위:1105년~1122년).
2남 : 상당후 필 (上黨侯 泌, ?~1099년). 高麗聖源譜 68쪽 此派后孫諱稱柳氏
7남 : 통의후 교 (通義侯 僑, 1096년~1119년).高麗聖源譜 70쪽 此派后孫諱稱柳氏
※숙종비 후손이 柳씨로 칭한 것은 근친혼을 위장하기 위한 것으로 약목 청주 풍산 고흥 나주 선산 서산 진주로 변성하였다는 근거를 찾기 어렵고 천자수모법으로 하면 문화류씨가 아닌 정주류씨로 변성해야하며, 족보에 기록된 외성으로 변성한 왕족들은 고려 성원보에 후손의 기록이 없습니다.
6. 고려사 편찬자는 “왕비열전에서 태조는 아들을 다른 어머니에게서 낳은 딸에게 결혼을 시켰고 이것을 어머니 성을 사용하여 숨겼다”라고 하였습니다. 150여년 동안 태조의 후손들은 이복동생, 사촌과 결혼을 하였으며 문종의 아들 선종(1084-1094)은 아버지쪽 딸과 결혼하여 태어난 사람들이 관직에 취임하지 못하도록 하였기에 왕씨들이 어머니 성을 변성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광종 9년(958) 과거 제도를 시행한 이후 왕족들은 과거를 보아 정계에 진출하려고 천자수모법(賤子隨母法)에 의하여 성씨를 바꾸었으며, 왕씨끼리 근친결혼을 하면서 표면적으로는 피하기 위해 여자 성씨를 그 어머니나 할머니의 성씨를 따라 바꾼 것입니다. 왕씨 족보를 보면 왕씨의 자손이 류씨로 내려간 경우는 없습니다.
7. 왕씨들이 정조 무오년(1798) 창간한 족보가 “고려성원록”입니다. 개성 왕씨 족보책은 1798년에 “고려성원록”이 처음 나온 이후 1991년까지 7차례에 걸쳐 간행되었습니다. 그때마다 “고려성원록”은 항상 맨 앞에 수록됐었는데 1991년 발행된 개성왕씨세보에 의하면 원파보(왕차류 원파록), 성원보(고려성원보), 종실보로 나누어집니다.
출처 : http://cafe.daum.net/moonwharyu/2i2D/454
E. 유성문헌록(儒城文獻錄)
어느 지인이 저에게 이 자료를 주면서 진위를 알아보라고 하였습니다.
1. 유성문헌록3권
류대원柳大源(1834순조34년-1903년)의 지음
류대원은 대승공 28세 좌상공파로 1911년 차문이 만든 대승공신도비를 撰한 친일파 이용원(李容元)과도 친분이 있는 분입니다.
2. 유성문헌록의 류재균 생각
① 형제3인이라는 것은 취물보 내용과 동일함
② 이혼했다는 말은 거짓
③ 후량정명 5년 벽상공신이 되었다는 구월산 별곡에 “後梁末 前朝初 柳氏起家”라는 표기가 있고 후량정명5년은 고려사절요 제1권/태조 신성대왕/기묘 2년(919)이기에 918년 고려 건국으로 맞는 말
④ 영조 정묘 묘하에 사우를 건립했다는 1750년 해대동지도에 대승공사우가 묘하에 있는데 영조17년(1741) 유학자가 아닌 서원 사우 철패로 대승공사우가 철패되었는지 기록은 없으나 서원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예조(禮曹)에서 편집한 서원등록(書院謄錄) 6책 1737∼1742년의 기록에 (출처 : http://cafe.daum.net/moonwharyu/2i2D/831) 문화현 고려조 대승 류차달 사원은 정미년(1727)윤3월 창건되었다고 황해도관찰사 이집 문화현령 이태식이 장계를 올렸고 주도한 유생 류이항이란 기록이 있습니다.
류이항은 대승공24세(무자보 1권 623쪽, 하정보 1권370쪽) 이항←함←지원←옥←대영←지연←영←문형←철산←설(이문2남)←이문(만호공,하정공4남)←관(대승공13세,하정공)하정공후 만호공 손입니다.
F. 결론
1. 가공인물 이인몽이 쓴 대승공 형제가 3명이고 대승공을 둘째아들 이라는 취성록을 반계류형원선조가 소개했고 류재하(柳在河)님이 1982년 차류종보에 소개한 것을 이인화가 “영원한 제국”소설에 쓰게되지만 이인몽이 쓴 취성록과 이인화가 소설로 쓴 취성록은 한자는 같은 글자이지만 아무관련이 없으나 일부 후손들은 소설 영원한 제국의 취성록을 더 믿고 있습니다
※주1 : 2006년 고려종성회 주장이 맞다면 류삼룡은 토반 전주류씨 류방헌 묘지명에 의하면 류기후(신라각간, 증조)→류법반(후백제 우장군, 조부)→류윤겸(대감, 부)을 부정하는 꼴이 되며 류**(전 차류대종보 主幹, 문화류씨보감 집필,고려왕조사 편찬)님은 자가 본관을 문화류씨 곤산군후→약목류→문화류로 옮기는 분이리는 설이 있으나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류승관은 2016년 유주춘추62쪽 서산류씨대종회장 류병준의 “서산류씨는 대승공관 관련 없다는 글”을 어떻게 대답할지 의문스럽고 차화준은 고대대전에 “대승 문도공 차공 달” 위패를 후임 차문회장(문헌위원회 자문으로)이 고려대전에서 오류를 인정하고 대승공위패를 철수한 것을 어떻게 답변할 것인지? 의문입니다.
2. 류대원의 유성문헌록3권에서 대승공 부분이 박영규의 “고려사 이야기 3권”은 KBS “정도전”사극의 소재가 된 소설 내용입니다. KBS의 징비록 방영때 풍산류문에서 족보내용과 다르다고 항의했을 때 당당PD가 사극은 흥미를 위주로 하기에 말 그대로 사극으로 보아야하고 족보나 역사와 꼭 같을 수 없다고 답변한 것처럼 문화류씨대동보 내용이 아닌 현대 작가들이 믾은 독자를 끌어 들여 돈 벌기 위해 흥미위주로 쓴 소설 과 만화(우리고려사) 등을 너무 실뢰(信賴)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3. 무자보 총목 146쪽 문관공양자차서고증에서 인용한 고려대 박용운교수 논문을 근거로 언친선조가 동생이고 택선조가 형이다라는 것도 대학교수들이 의무적인 자기 논문편수를 체우려고 이규보글을 근거로 복야공 택선조가 큰아들아라는데 흥미위주 자기실적 올리려고 한 자료를 믿는 종원은 박정희때 실적올리고 승진하기 위해 수사관들이 간첩단 조작한 것 보다 더 못된 행동인데 종원들은 흥미위주 자료를 더 믿으니 한심합니다.
차서문제에 여러 이유를 들어 복야공이 장자라는 종원들은 1915년 참봉 병철이 묘지명(복야공이 장자라는)을 박물관에서 발견하였고 1916년 장단에서 문간공 산소봉축을 하고 인철 선조가 문간공 묘표를 撰할 때 1200여명 선조들이 종중회의 결과 족보대로 언침(총목142쪽)을 장자로 하기로 하여 비석을 만든 선조들 뜻을 무시하고 박용운교수글을 더 믿는 종원이 있습니다.
4. 과거 선조들의 글은 필사본이나 활자과정에서 오자가 발생할 수 있는데그러한 오자를 가지고 특별한 것을 발견한 것처럼 맞는 자료라고 주장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이며 위에서 본 취성록이나 유성문헌록처럼 과거에 현재처럼 정보 공유가 어렵던 시절에 잘 못쓴 문헌을 가지고 과거 차류종친회에서 활동하시던 분들이 무자보(무자보 수단을 2003년부터 접수했기에)에서 원파록을 삭제한 것에 반박한 행동같이 고려종성연구회 임원처럼 원파록보다 더 교묘하게 조작된 자료를 후손들에게 제공하는 오점을 남기고 있습니다.
5. 원파록이 나온 이후 차원부설원기가 위서라고 지적한 조선의 학자들은(출처 : http://cafe.daum.net/moonwharyu/Gh3E/248)
① 이선 (1632~16920) 설원기 위작자는 차천로 부자형제(차식 차운로 차천로)라 함
② 남극관(南克寬 !689~1714)의 몽예집{夢囈集} 잡저(雜著)편에 [설원기]가 비루하고 교만하하여 위작되었다고 판단
③ 이익(李瀷 1681~1783)은 [설원기]속 내용을 의심하면서 어디서부터가 진실이고 거짓인지를 분간하기 모호하다고 함
④ 홍계희(洪啓禧 1703~1771) 하위지 유고집을 간행하면서 [설원기(雪寃記)]가 위직임을 언급하고 싣지 않았다.
⑤ 윤광소(尹光紹 1708~1786)는 선조인 윤중의 문집에 실린 [설원기]의 내용은 위작이라고 자기 문집에 싣지않았다.
⑥ 황윤석(1729~1701) 차원부설원기는 위조작품이라 함
⑦ 하진현(河晉賢) 1776-1846 설원기가 거짓말을 하고 있음을 밝힘
[설원기]가 위서임을 지적하는 2000년대 학자들
⑧ 류주환 : 차원부설원기 비평 외 다수 저서 : 대호하루(大虎下淚) 위서(僞書)와 가문사(家門史)
⑨ 이수건교수 논문 : 조선시대 신분사 관련 자료조작 : 가계(家系) 인물 관련 위조 자료와 위서를 중심 으로 2007 이수건, 이수환 대구사학회
⑩ 김난옥 학술논문 : "여말선초 정치변동과 배타적 가문의식(家門意識) - 정도전을 중심으로“ 2007
⑪ 박은정 학술논문 : 차원부설원기 이본의 유통과 그 배경, 서울대학교. 2010.
이렇게 학자들이 경고했는데 선조들이 정보 부족과 양반 명문가라는 자기우월감과 임란후 타문 족보과장 기류에 편승하여 학자들 경고를 무시하며 황제후손이라는 원파록을 받아드렸고 2008년 족보에서 삭제했는데 이제는 대승공형제가 있다는 허위 사실을 유포하는 종원의 말을 더 신뢰하고 믿는 분이 있는데 이에 현혹하지 않기를 기원합니다.
'문화류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대전뿌리공원 효축제 (0) | 2018.10.07 |
---|---|
柳씨가 “류”로 성씨변경 서류 단상 (0) | 2018.10.06 |
하정종중회관기금 조성을 위한 성금 부탁 (0) | 2018.09.29 |
청백리 우산 정승 류관과 이수광 (0) | 2018.09.25 |
유림과 사우 자료 모음 (0) | 2018.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