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건강

[스크랩] 한시의 평측법

ryu하곡 2014. 8. 26. 14:48

                     ※ 平韻字彙(106韻字表)

   img2.gif

  圖表上 A平聲과 더불어,B入聲.上聲.去聲을 仄聲이라하니 이것을 平仄(높낮이)이라고 한다.

      1.平聲:낮고 順應한 소리자

      2.入聲:짧고 몹시 빠른 소리

      3.上聲;낮다가 차차 높아져서 높게 나타났다가 그치는 소리

      4.去聲:가장 높은 소리(中國會話에서는 슬픈듯이 멀리 굽이치는 소리자이다.)

 

   또한 위 押韻字表를  외워서라도(옛 우리 祖上들은 전부 외워서 시를 지었다.) 嚴格한 漢詩作法에 충실해야하는 것이다. 일례로 平聲字만이 韻字로 사용하고, 仄聲字는 韻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平仄使用은 唐代에 시작한 隋代以前에 시작된 형태의 近體詩 즉 古體詩에서는 사용하지 않으며, 현재 우리나라 漢詩壇에서 많이 創作되어지는  梁나라 때의 古體詩의 새로운 형태로 발전한 近體詩에서 사용하는 첫째의 基本律格인데, 이외의 여러가지 방법을 통달해야만 제대로 된 한시를 배울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漢詩作法의 어려운 여러 기법은 차차 하나하나씩 , 조금씩 理解를 해가면서 講義錄을 揭示할 것이다.


출처 : 비꽃향기
글쓴이 : 비꽃향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