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사공(兵使公) 류한명(柳漢明) 연보(年譜)
《朝鮮王朝實錄(조선왕조실록)》와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을 중심(中心)으로 작성함.(자료제공 : 류정수님)
※1 증직해설 : 숙종22년 종2품인 경상병사(慶尙兵使)에 임명되셨기에 경국대전 증직법에 따라 아버지는 2품, 할아버지와 증조는 3품 아들 손자는 음직을 받게 됩니다(병마절도사는 관찰사와 동급인 2품관직입니다)
그래서 아버지(휘諱)는 2품은 병조참판, 할아버지(휘義男)는 3품은 좌승지, 증조(휘瀹)는 3품인 사복시 정을 증직 교지를 제수받으시고
아들은 참봉(9품) 손자는 경기전 참봉 교지를 받게 됩니다.
2품관직 관리의 아들 손자에게 음직을 제수한 이유는 나라의 일꾼이었던 관리의 사후에 누군가 제사를 지내려면 최소한 생계를 유지해야 하기에 보통 9품직을 제수합니다. 지금처럼 연금이 있는 것이 아니고 공신들에게는 왕이 땅을 하사하지만 관리는 1품 영의정부터 2품까지 땅을 하사하지 않고 자식들이 제사를 지내도록 최소한 관직을 제수했습니다.
연령 (年齡) |
연대(年代) | 비요(備要) |
자(字)는 숙장(叔章)이요, 호(號)는 지지당(知止堂) 또는 지족당(知足堂)이니, 하정(夏亭) 선생(先生) 문간공(文簡公) 휘(諱) 류관(柳寬)의 10세손(世孫)이요, 예조참판(禮曹叅判) 휘(諱) 류맹문(柳孟聞)의 9세손(世孫)이요, 부제학(副提學) 휘(諱) 류삼(柳𥊀)의 8세손이요, 부제학(副提學) 휘(諱) 류희저(柳希渚)의 6세손이라. 고조(高祖)는 휘(諱) 류몽삼(柳夢參)이니 벼슬이 부사용(副司勇)이요, 증조(曾祖)는 휘(諱) 류약(柳瀹)이니 사과(司果)로 증(贈) 사복시정(司僕寺正)이요, 할아버지의 휘(諱)는 류의남(柳義男)이니 생원(生員)으로 증(贈) 좌승지(左承旨)요, 고(考:죽은 아버지)의 휘(諱)는 류무(柳楙)니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하고 의금부(義禁府) 도사(都事)로 증(贈) 병조참판(兵曹叅判)이다. 효행(孝行)이 지극(至極)하여 3년을 여묘(廬墓)살이한 사실(事實)이 《장성군지(長城郡誌)》에 실려있다. 비(妣:돌아가신 어머니)는 정부인(貞夫人) 남원윤씨(南原尹氏)이니 아버지는 진사(進士) 윤세(尹𥑻)이니 문효공(文孝公) 윤효손(尹孝孫)의 후손(後孫)이요, 계비(繼妣)는 정부인(貞夫人) 밀양손씨(密陽孫氏)이니 아버지는 현감(縣監)을 역임한 손실(孫實)이라. 공(公)이 고부(古阜) 달천(達川)(현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달천리 용두마을)에서 인조(仁祖) 27년 기축(己丑)년(1649년) 6월 15일 출생. | ||
무과(武科)로 등제(登第)하였다. | ||
부사과(副司果)(종6품)에 임명(任命)되었다. | ||
31세 | 숙종(肅宗) 5년(1679년) 10월 27일 | 병조(兵曹)에서 아뢰기를, 어제 선전관(宣傳官) 무신(武臣) 겸(兼) 선전관(宣傳官)과 각(各) 청(廳)의 장관(將官) 등(等)은 보름날 활쏘기 시험할 때 ―이상(以上) 생략(省略)― 무신(武臣) 겸(兼) 선전관(宣傳官) 류한명(柳漢明) 등(等)은 기사(騎射)에서는 다섯 번 발사하여 네 번 이상 맞힌[四中] 미만(未滿)이었다. ― 생략(省略)―맞춤이 전혀 없으니, 예(例)에 따라 삭제(削除)하는 것이 어떠합니까? 전교(傳敎)하기를 “윤허(允許)한다.”라고 하였다. |
32세 | 숙종 6년(1680년) 5월 11일 | 군기시(軍器寺) 주부(主簿)(종6품) 임명(任命)함. |
〃 | 숙종(肅宗) 6년(1680년) 5월 13일 | 은혜를 감사히 여겨 사례(謝禮)하였다. 대사간(大司諫) 류상운(柳尙運), 홍주목사(洪州牧使) 이륜(李綸), 군기시(軍器寺) 주부(主簿) 류한명(柳漢明)이었다. |
〃 | 숙종 6년(1680년) 10월 19일 | 도사(都事)(종5품)에 임명(任命)됨. |
33세 | 숙종 7년(1681년) 1월 4일 | 강진현감(康津縣監)(종6품)에 임명(任命)됨. |
〃 | 숙종 7년(1681년) 1월 26일 | 강진현감(康津縣監)(종6품) 류한명(柳漢明)이 하직(下直)함. |
34세 | 숙종 8년(1682년) 4월 27일 | 장령(將領)에 가합(可合)한 자(者). |
36세 | 숙종 10년(1684년) 2월 27일 | 서산군수(瑞山郡守)(종4품)에 임명(任命)됨. |
〃 | 숙종 10년(1684년) 3월 29일 | 군기시(軍器寺) 판관(判官)(종5품)에 임명(任命)됨. |
37세 | 숙종 11년(1685년) 3월 10일 | 군기시(軍器寺) 첨정(僉正)(종4품)에 임명(任命)됨. |
〃 | 숙종 11년(1685년) 10월 23일 | 훈련원(訓練院) 부정(副正)(종4품)에 임명(任命)됨. |
〃 | 숙종 11년(1685년) 12월 22일 | 훈련원(訓練院) 정(正)(정3품)에 임명(任命)됨. |
38세 | 숙종(肅宗) 12년(1686년) 1월 3일 | 사헌부(司憲府) 지평(持平) 김우항(金宇杭)의 계(啓:말하기를), “훈련원(訓鍊院)은 무변(武弁:무관武官) 당하관(堂下官)의 극직(極職)입니다. 선택의 길은 자기보다 더 자별(自別)하여 새로 훈련원정(訓鍊院正) 류한명(柳漢明)을 제수(除授)하고, 늘 무부(武夫)로 다스리며, 명칭(名稱)은 미저(未著)하고, 본직(本職)에 급배하여 물정도 미워하지 않았다. 유한명(柳漢明)을 훈련원정(訓鍊院正)을 체차(遞差:예전에, 관리의 임기가 다 되거나 부적당하여 다른 사람으로 바꾸던 일.)하여 주십시오.” 대답하여 말씀하시기를, “귀찮게 하지 마라”라고 하였다. |
〃 | 숙종(肅宗) 12년(1686년) 1월 4일 | 사헌부(司憲府) 지평(持平) 김우항(金宇杭)의 계(啓:말하기를), ―이상(以上) 생략(省略)―“훈련원정(訓鍊院正)(정3품) 류한명(柳漢明)을 체차(遞差:예전에, 관리의 임기가 다 되거나 부적당하여 다른 사람으로 바꾸던 일.)하여 주십시오.” 어휘(語彙) 사용이 이전과 같다. ―이상(以上) 생략(省略)―. |
〃 | 숙종(肅宗) 12년(1686년) 1월 5일 | 사헌부(司憲府) 지평(持平) 김우항(金宇杭)의 계(啓:말하기를), “―이상(以上) 생략(省略)― 류한명(柳漢明)의 일은 계(啓)에 의(依)하였다. 이상(以上)은 신여본(燼餘本)에 의거함 - . |
〃 | 숙종 12년(1686년) 1월 10일 |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부호군(副護軍)(종4품)에 임명(任命)되었다. |
〃 | 숙종(肅宗) 12년(1686년) 1월 20일 | 사헌부(司憲府) 아뢰기를[啓], “일자(日者)에 훈련원정(訓鍊院正)의 류한명(柳漢明)은 이미 갑자기 피론(被論)을 덜어 없애고 제출하였다. 대답하여 가로되, “허락하지 않는다. 끝의 일은, 계(啓)에 의(依)한다.”라고 하였다. |
39세 | 숙종(肅宗) 13년(1687년) 2월 2일 | 호조(戶曹)에서 ―이상(以上) 생략(省略)― 류한명(柳漢明)을 절도사(節度使)(종2품)를 천거(薦擧)하였다. |
41세 | 숙종 15년(1689년) 6월 10일 | 류한명(柳漢明)을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부호군(副護軍)(종4품)에 부처(付處)하였다. |
〃 | 숙종 15년(1689년) 6월 10일 |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부호군(副護軍)(종4품)에 임명(任命)되었다. |
46세 | 숙종 20년(1694, 갑술) 5월 11일 | 영장(營將)(정3품) 류한명(柳漢明) 의망(擬望). |
〃 | 숙종(肅宗) 20년 5월 19일 | 경기우방어사(京畿右防禦使) 망(望) : 장단부사(長湍府使)(정3품) 류한명(柳漢明). |
〃 | 숙종 20년(1694, 갑술) 5월 22일 | 우부(右部) 천총(千摠) 의망(擬望) 류한명(柳漢明). |
〃 | 숙종 20년(1694년) 12월 1일 | 전교(傳敎)에, 동의금(同義禁)에 임명(任命)되었다. |
48세 | 숙종 22년(1696년) 7월 24일 | 제주목사(濟州牧使)에 임명(任命)되었다. |
49세 | 숙종 23년(1697년) 5월 10일 | 무관(武官)의 경우는 류한명(柳漢明) 【신여철(申汝哲)·김진귀(金鎭龜)가 추천하였다.】 |
48세~51세 | 1696년(숙종 22) 10월~1699(숙종 25)년 5월. | 1696년(숙종 22) 10월 전라우수사 재임 중 이익태(李益泰)[1633~1704]의 후임으로 제주목사(濟州牧使)(정3품)에 부임(赴任)하고 1699(숙종 25)년 5월에 떠났다. 이때 함께 재임한 제주판관(濟州判官)은 이석신(李碩臣), 정의현감(旌義縣監)은 신성원(愼聖源)·이한장(李漢章), 대정현감(大靜縣監)은 김경(金磬)·이만재(李萬材)[1641~?] 등이었다. 제주목사 재임 중인 1698년 봄에 삼을나묘(三乙那廟, 지금의 삼성사)를 동쪽 가에 세우고 박심당(博審堂)을 귤림서원(橘林書院) 안에 세웠으며, 여름에 말 200필(匹)을 우도(牛島)에 방목(放牧)하여 민생 문제를 도왔다. 제주목사(濟州牧使) 시절 목민관(牧民官)으로서의 공적(功績)을 기려 비(碑)가 세워졌다. |
50세 | 숙종 24년(1698년) 8월 2일 | ○ 사복시(司僕寺) 계(啓)에 이르기를, “제주에서 나온 뒤로는 운마(運馬) 222필 중 1필(匹), 배에서 사고로 잃은 말, 2필, 길에서 잃은 말, 22필, 길에서 병든 말, 3필, 사복시(司僕寺)에 와서 사고 잃은 말, 2필, 사복시(司僕寺)에 가서 병든 말 30필로 합계(合計)에서 제거(除去)한다. 그 나머지 실제로 납마(納馬) 192필(匹)은 화모색(禾毛色) 별단(別單) 서(書)에 들어 있는데, 근래에는 연흉(年凶)으로 공마(貢馬)는 작년부터 봉진(奉進)하였는데, 말의 파손(破損)과 열악(劣惡)함이 이전(以前)보다 심하여, 연례(年例) 진상마(進上馬) 그러기 때문에, 이전에는 반드시 살찐 말을 택하여 인재(人才)가 되어 봉진(奉進)하였는데, 오늘날에는 봉(奉)한 말이 지치고 척박(瘠薄)할 뿐만 아니라 체구(體軀:몸집)도 작아서 재주가 없어 보이는 바가 매우 무섭다. 전지(傳旨)하시기를, ‘윤허한다.’ 목사(牧使). 사복등록(司僕謄錄). |
〃 | 숙종(肅宗) 24년(1698년) 9월 13일 | 조태체(趙泰采) 사복시(司僕寺) 제조(提調)의 뜻으로 계(啓)하기를, “제주(濟州) 류한명(柳漢明)을 체임(遞任) 진상마(進上馬) 2필(匹)이 이제야 올라왔다. 화모색(禾毛色) 별단(別單) 서입(書入), 전례(前例)에 따라 입양(立養)의 뜻을 표(表)합니다.” 감히 아룁니다.’라고 하니, 알았다고 전교(傳敎)하셨다. |
51세 | 숙종(肅宗) 25년 1699년 05월 04일(음) | 통제사(統制使) 천망(薦望) 단자(單子) 의정부(議政府) 좌참찬(左參贊) 김진귀(金鎭龜) : 민함·류한명·류성한(柳星漢). |
〃 | 숙종 25년(1699년) 10월 5일 | 경상병사(慶尙兵使)(종2품)에 임명(任命)되었다. |
〃 | 숙종(肅宗) 25년(1699년) 10월 7일 | 은혜를 감사히 여겨 사례함. ―이상(以上) 생략(省略)―경상병사(慶尙兵使) ―이하(以下) 생략(省略)―. |
〃 | 숙종(肅宗) 25년(1699년) 11월 21일 | 경상병사(慶尙兵使) 류한명(柳漢明)이 하직(下直)하였다. 이상(以上)은 조보(朝報) |
〃 | 숙종(肅宗) 25년 1699년 12월 22일(음) | 북병사(北兵使)를 비변사(備邊司)에서 천거(薦擧)케 할 것을 청하는 병조(兵曹)의 계(啓)/북병사(北兵使) 천망(薦望) 단자(單子) 한성부(漢城府) 판윤(判尹) 김진귀(金鎭龜) : 김중원·원덕휘·류한명(柳漢明). |
53세 | 숙종(肅宗) 27년(1701년) 1월 19일 | 비변사(備邊司) 게(啓)에 이르기를, “―생략(省略)― 미봉(未捧:미수未收:아직 거두지 못함.)한 수령(守令) 류한명(柳漢明)을 먼저 파직(罷職)하고 뒤에 추고(推考)한다. ―생략(省略)― 전교(傳敎)하기를, “윤허한다.”라고 하였다. |
〃 | 숙종(肅宗) 27년(1701년) 5월 16일 | 회령부사(會寧府使)(종3품)에 임명(任命)되었다. |
〃 | 숙종(肅宗) 27년(1701년) 8월 6일 | 하직(下直)하였다. ―생략(省略)―회령부사(會寧府使)(종3품). |
〃 | 숙종(肅宗) 27년(1701년) 8월 6일 | 비망기(備忘記)에 전(傳)하기를 임순원(任舜元)이 말하기를, “지금 내린 활과 화살을 ―생략(省略)―회령부사(會寧府使)에게 주어 보내라.”라고 하였다. |
〃 | 숙종(肅宗) 27년(1701년) 11월 10일 | 관직(官職)을 삭탈(削奪)하고 즉시 고(告)하다. ―생략(省略)―제주목사(濟州牧使) ―생략(省略)―. |
54세 | 숙종(肅宗) 28년(1702년) 8월 5일 | 대신(大臣)과 비국(備局)의 신하들을 인견(引見)하여, 변방의 방비 등의 일을 논의하다. 훈련 대장(訓鍊大將) 이기하(李基夏)는 아뢰기를, “삼가 전(前) 회령 부사(會寧府使) 류한명(柳漢明)의 말을 듣건대, 서로 마주보고 화포(火砲)를 쏘아서 접전(接戰)하는 것처럼 하였으니, 결코 도망한 자를 체포하는 행위가 아니었습니다. 만약 얼음이 언 후에 이른바 도망한 오랑캐가 우리 국경을 넘어오고 피인(彼人)들이 우리나라에 추문(推問)한다면 실로 염려스럽습니다. 또 듣건대, 그 곳의 인심(人心)이 소란(騷亂)스럽고 요동하여 더러 문(門)을 닫고 경계를 엄중히 한다고 합니다. 그러니 수령(守令)을 선택해 보내어서 진정(鎭定)시키는 방도로 삼는 것이 마땅할 듯하며, 강변(江邊)의 파수(把守)도 또한 마땅히 신칙(申飭)해야 하겠습니다.”라고 하니, 임금이 이르기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으니, 파수(把守) 등의 일을 각별(恪別)히 신칙(申飭)하도록 하라.”라고 하였다. |
54세 | 숙종(肅宗) 28년(1702년) 8월 5일 | 오시(午時), 임금이 흥정당(興政堂)에 왕림하시었다. 대신(大臣) · 비국(備局) 당상관(堂上官)을 인견(引見) 때에, 江界의 犯越罪人에 대한 문제, 좌의정(左議政) 이세백(李世白) 등(等)이 이세백(李世白)이 이르기를, 북방(北方)의 일도 걱정이 없지는 않습니다. 신(臣)이 새로 들은 바가 있으니, 감히 이르지 못하겠소. 경원(慶源)이 월변(越邊)하면 그 사람이 왕래하는 자(者)나 백여 기(騎)는 결막(結幕)에 남아 도망자를 잡기 위해 명령을 지키겠다고 자언(自言)하여 실상을 자세히 살펴볼 수 없다. 전(前) 회령부사(會寧府使) 류한명(柳漢明)이 그 처사로 훈련대장(訓鍊大將) 이기하(李基夏)에게 한 말이 있는 것 같은데, 재임(在任) 시(時)에도 아직 미상이라 소식을 듣지 못하였으니, 그 일은 결국 아무런 근심 걱정도 없을 것이다. |
55세 | 숙종(肅宗) 29년(1703년) 12월 1일 | 전교(傳敎)에, “―생략(省略)― 목사(牧使) 류한명(柳漢明) ―생략(省略)― 직첩(職牒)에 도로 거두어 드려라.”라고 하였다. 하리(下吏)·병조(兵曹). |
〃 | 숙종(肅宗) 29년(1703년) 12월 1일 | 류성추(柳星樞)·류한명(柳漢明)·박성석(朴星錫)·남지훈(南至薰) 등의 직첩(職牒)을 돌려주라고 명하였다. |
56세 | 숙종(肅宗) 30년(1704년) 9월 21일 | 민진후(閔鎭厚) 우의정(右議政)은 수어사(守禦使)로 있을 때 류한명(柳漢明)으로 중군(中軍)이 내려갔다고 하였다. 대(臺)의 소(疏)가 질책(叱責)하여 그 직무를 차출(差出)하였고, 그 후 조정에서는 조사하라는 명령이 있었기 때문에, 신하들은 우상(右相)과 의논하여 한명(漢明)으로 수어청(守禦廳) 중군(中軍)을 지키려 하고 계(啓)를 고치었다. 단자(單子)가 들어오기 전에 수어청(守禦廳) 중군(中軍)이 단자를 보냈고, 선입(先入)이 이미 내려갔기 때문에, 그래서 승정원(承政院)은 수어청(守禦廳) 단자(單子)를 돌려주었다. 류한명은 일찍이 중군을 지냈는데, 본청(本廳)의 사무에도 생소(生疏)하여 중군의 뜻을 받들었으니, 감히 진달(陳達)하겠습니다. 임금이 이에 따랐다. |
56세 | 숙종(肅宗) 30년(1704년) 9월 21일 | 황일하(黃一夏)가 말하기를, 류한명(柳漢明)이 이미 수어(守禦) 중군(中軍)을 이차(移差)하고 어영청(御營廳) 중군(中軍)을 지키면, 개차(改差)의 뜻을 분부하면 어떻겠느냐고 하였다 임금이 말하기를, “자연히 체직(遞職)하겠노라.” 여러 신하들이 마침내 물러났다. |
〃 | 숙종(肅宗) 30년(1704년) 12월 1일 | 목사(牧使) 류한명(柳漢明) ―생략(省略)―직첩(職牒)을 돌려주라. 라고 전교(傳敎)하였다. |
57세 | 숙종 31년(1705) 2월 21일 | 주강(晝講)에 지사(知事) 윤세기(尹世紀), 특진관(特進官), 김우항(金宇杭), 승지(承旨) 조태동(趙泰東), 옥당(玉堂) 조도빈(趙道彬) · 남취명(南就明), 가주서(假注書) 서명우(徐命遇), 사관(史官), 이재(李縡) · 홍우서(洪禹瑞), 무신(武臣) 류한명(柳漢明) 등(等)이 입시(入侍)하였다. |
〃 | 숙종 31년(1705년) 2월 28일 | 강계부사(江界府使)(종3품)에 임명(任命)되었다. |
〃 | 숙종(肅宗) 31년(1705년) 4월 3일 | 강계부사(江界府使)(종3품)가 하직(下直)하였다. |
〃 | 숙종 31년 1705년 07월 28일 | 우참찬(右參贊) 민진후(閔鎭厚) : 원덕휘·류한명(柳漢明)·남오성. 의망(擬望) |
58세 | 숙종(肅宗) 32년 1706년 07월 06일(음) | 의정부(議政府) 우참찬(右參贊) 민진후(閔鎭厚, 1659~1720) : 류한명·민함·이창조.의망(擬望) |
〃 | 숙종(肅宗) 32년(1706년) 11월 27일 | 병비(兵批)에, 내금위장(內禁衛將)(종2품)을 삼았다. |
〃 | 숙종 32년(1706년) 12월 27일 | 병비(兵批),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부호군(副護軍)(종4품)으로 삼았다. |
59세 | 숙종(肅宗) 33년(1707, 정해) 3월 6일 | 전(前) 부사(府使) 류한명(柳漢明). |
〃 | 숙종(肅宗) 33년(1707년) 4월 3일 | 호군(護軍) 류한명(柳漢明), 강계부사(江界府使) 체직(遞職)되어 왔다. |
〃 | 숙종(肅宗) 33년 (1707년) 05월 20일(음) | 統制使 의천(議薦) 단자(單子) 행부호군 조상우 : 김중원(金重元)·류성채(柳星彩)·류한명(柳漢明). |
59세 | 숙종(肅宗) 33년(1707년) 5월 29일 | 주강(晝講)。지사(知事) 조상우(趙相愚), 특진관(特進官) 김연(金演), 승지(承旨) 이동암(李東馣), 옥당(玉堂) 이관명(李觀命)·이세최(李世最), 가주서(假注書) 김계환(金啓煥), 겸춘추(兼春秋) 서명우(徐命遇)·홍우령(洪禹寧), 무신(武臣) 류한명(柳漢明)。입시(入侍)하였다. |
〃 | 숙종(肅宗) 33년(1707년) 5월 29일 | 오시(午時), 임금이 선정전(宣政殿)에 왕림하였다. 주강(晝講)이 있었다. 지사(知事) 조상우(趙相愚), 특진관(特進官) 김연(金演), 참찬관(參贊官) 이동암(李東馣), 시강관(侍講官) 이관명(李觀命), 검토관(檢討官) 이세최(李世最), 가주서(假注書) 김계환(金啓煥), 기사관(記事官) 서명우(徐命遇)·홍우령(洪禹寧), 무신(武臣) 류한명(柳漢明)。입시(入侍)하여 《춘추(春秋)》 진강(進講)하였다. |
〃 | 숙종(肅宗) 33년(1707년) 7월 11일 | 행(行) 부호군(副護軍) 류한명(柳漢明) 이제 가의대부(嘉義大夫)에 올랐다. |
〃 | 숙종(肅宗) 33년(1707년) 7월 11일 | 이비(吏批), 행(行) 부호군(副護軍) 류한명(柳漢明) 이제 가의대부(嘉義大夫)에 올랐다. |
〃 | 숙종(肅宗) 33년(1707년) 7월 11일 | 이비(吏批), 행(行) 부호군(副護軍) 류한명(柳漢明) 이제 가의대부(嘉義大夫)에 올랐다. 전임(前任) 강계부사(江界府使) 때 성곽(城廓)이 무너지는 흠이 있는 것을 보수(補修)하였으므로 이번에 가의대부(嘉義大夫)에 가자(加資)한 일은 승전(承傳:임금의 뜻)을 받든 것이다. |
〃 | 숙종(肅宗) 33년 1707년 08월 07일(음) | 호조참판 이건명(李健命, 1663~1722) : 오중주(吳重周, 1654~1735)·류한명(柳漢明)·정이상. |
〃 | 숙종(肅宗) 33년(1707, 정해) 8월 11일 | 중군(中軍) 의망(擬望) 류한명(柳漢明) 몸이 죽음으로써 대리(代理) 금군별장(禁軍別將) 오중주(吳重周). |
〃 | 숙종(肅宗) 33년 1707년 08월 29일(음) | 임지(任地)에서 죽은 전(前) 병사(兵使) 류한명(柳漢明)의 반상(返喪)에 담지군(擔持軍)을 내어 줄 것을 경유하는 3도 감사(監司)에게 분부(分付)하기를 청하는 비변사(備邊司)의 계(啓). 비변사(備邊司)에서 아뢰기를 “전(前) 병사(兵使) 류한명(柳漢明)이 금위영(禁衛營)의 중군(中軍)으로 있다가 서울에서 죽어 곧 전라도(全羅道) 장성(長城) 땅으로 반상(返喪)한다 합니다. 일찍이 2품 이상의 실직을 지낸 사람은 의례히 담지군(擔持軍)을 내세워 주는 규례가 있었습니다. 그 규례대로 담지군을 내세워 주라고 경유하는 3도 감사에게 분부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라고 하니, 윤허한다고 답하였다. |
59세 | 숙종(肅宗) 33년(1707년) 8월 29일 | 비변사(備邊司) 계왈(啓曰), 전(前) 병사(兵使) 류한명(柳漢明)이 금위영(禁衛營) 중군(中軍)으로 있다가 서울에서 죽어 곧 전라도(全羅道) 장성(長城)으로 반친(返櫬) 돌아가려 하는데, 일찍이 2품(品) 이상(以上)의 실직(實職)을 역임한 사람은 예(例)를 들어 담군(擔軍)을 내세워 주는 규칙이 있는데, 그 예(例)에 따라 담군(擔軍)을 내세워 주라고 경유(經由)하는 세 도(道) 감사(監司)에게 분부(分付)하는 것이 어떻겠는가? 전교(傳敎)하여 이르기를, “윤허한다.”라고 하였다. 비국등록(備局謄錄) |
문장(文章) 필법(筆法)이 비범(非凡)하였으며, 시(詩), 표(表), 부(賦), 의(義) 등의 글에 모두 훌륭하였다. 7읍(邑)의 관직(官職)을 역임(歷任)하였다. 청백리(淸白吏)로 불리었다. 혹은 생사(生祠)를 세웠다고도 한다. | ||
숙종(肅宗) 34년 1708년 윤(閏) 03월 05일(음) | 무신(武臣) 행(行) 부호군(副護軍) 최진한(崔鎭漢)이 입시(入侍)하여 영남(嶺南)에서 영(營)을 영천(永川)으로 옮기는 문제에 대해 논의함. 아뢰기를 “―이상(以上) 생략(省略)―신(臣)이 그때 좌병사(左兵使) 류한명(柳漢明)과 상의(相議)한 바가 있었으나 계문(啓聞)하지는 못하였고 류한명은 교체(交替)되어 돌아갔었습니다.―이상(以上) 생략(省略)―” |
(이상 학암공후 류정수님 제공자료임)
※2 관직해설 : 군수는 종4품, 목사는 정3품이며 전라도는 나주,제주, 광주(光州)에 목사를 두었고 전주에는 감영으로 관찰사로 종2품 부윤이 있었습니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절도사는 단병사와 겸병사를 모두 합하여 총 15명이 있었다.
평안도·충청도·전라도·각각 1명씩, 그리고 함경도[1]와 경상도[2]에는 2명씩 모두 7명의 전임 절도사가 임명되었고, 그들을 단병사라 하였다. 함경도와 경상도가 2명씩 배치된 이유는 이곳들이 각각 여진족과 일본의 침략을 방어하는 최전선이었기 때문이다.
그 밖에 각 감영의 관찰사(감사)가 겸직하는 겸병사가 8도에 1명씩 있었다. 경기 ·강원도 ·황해도에는 단병사가 파견되지 않았으므로 관찰사가 겸병사로서 그 도의 군대를 통할하였다.
지방군에선 이 병마절도사가 최고위 지휘관이다. 단, 외적의 침입이 벌어지거나 그에 대한 대비를 위해서 통합 지휘의 필요성이 생길 경우 복수의 절도사들을 통합 지휘하는 임시 관직인 도원수를 파견한다. 도원수가 관할하는 절도사의 범위는 유동적이다.
도 | 겸병사 (관찰사) | 단병사 (절도사) |
경기도 | 경기 관찰사 (한성 → 수원) | |
강원도 | 강원 관찰사 (원주 → 춘천) | |
충청도 | 충청 관찰사 (충주) | 충청 병사 (해미) |
전라도 | 전라 관찰사 (전주) | 전라 병사 (강진) |
경상도 | 경상 관찰사 (상주 → 대구) | 경상 좌병사(울산) 경상 우병사 (창원→진주) |
황해도 | 황해 관찰사 (해주) | 황해 병사 (1593년, 해주) |
평안도 | 평안 관찰사 (평양) | 평안 병사 (영변) |
함경도 | 함경 관찰사 (함흥) | 함경 북병사 (경성) 함경 남병사(북청) |
병마절도사(종2품)가 수군절도사(정3품)보다 높은 품계이다. 수군절도사를 거쳐서 병마절도사로 가는 것이 일반적인 코스였다.
※3 류재균 자료 :
https://cafe.daum.net/moonwharyu/Ggpo/174?svc=cafeapi
※4 선전관과 관련 자료 : 조선시대는 장가가서 처가살이 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선전관(휘 인남) 승지공(휘 의남) 청도공(휘 신남) 딸 2명 모두 외가인 신화국(당시는 진사임)집에서 살면서 공부하였고 선전관은 음직으로 선조 39년(1606) 훈련 도감 포수로서 궁가인 순화군(順和君)의 집에는 근무하였고 승지공은 성균관졸업후 과거 준비중에 외사촌동생 신경진 장인인 이의첨에게 무모발언으로 미움을 받아 선전관은 모산으로, 승지공은 청주 문숙공후손 집에 숨어 있었는데 1623년(인조1) 인조반정으로 대북정권이 몰락하자 선전관은 선전관으로 복직되고 승지공은 고부로 낙향합니다.
(https://cafe.daum.net/moonwharyu/Ggpo/192?svc=cafeapi)
※5 오류자료 : 일부종원이 승지공 후광으로 선전관과 후손들이 번영하였다는데 병마전도사로 인하여 증직이 선전관과는 무관합니다. 병사공 고조인 남재공도 증직을 받지 않았습니다.
'문화류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류수원(柳壽垣)연보(年譜) (4) | 2023.05.29 |
---|---|
23 하정공파 고양공중중 장학사업 안내 (0) | 2023.05.25 |
大東祠의 2023년 자손봉사에 대한 小考 (1) | 2023.03.14 |
남재공 선전관 족보 발행 안내 (0) | 2023.02.10 |
삼국유사 세계기록유산 아태 목록 등재에 대하여 (0) | 2022.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