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패位牌
▷ 신주의 형태와 비슷하지만 제작법은 간단하다. 밤나무로 만든다
▷ 뒤판(함중) 앞판(분면)이 없이 단순히 한 토막의 목판에 고인의 관직,시호,아호 등을
쓴 것으로 약식 신주라고 할 수 있다. 위판, 사판 이라고도 한다
▷ 성균관, 향교, 서원 등에서 주로 사용한다.
▷ 위패는 동일 인물에 대하여 성균관과 향교, 서원 등 여러 곳에 수개의 위패를 모실 수있다
▷ 문중의 재실에서 세일사를 봉행하기 위하여 위패를 봉안하는 경우가 현실적으로 많이
있다 -정례는 아닌 듯 함
▷ 위패의 종류는 <직계선조위패>, <향교서원위패> 등이 있다
□ 직계선조 위패 - 재실봉안용
▷ 정례는 아니지만 4대가 지난 선조의 위패를 문중의 재실 등에 봉안하고 세일사를 봉행
하는 예가 현실적으로 많이 있음
○ 직계선조위패 만드는 법
1) 선조위패의 크기는 신주의 규격을 참고하여 제작함이 적당할 것임
2) 뒤판(함중) 앞판(분면) 구분 없이 단순히 한 토막의 밤나무로 만듬
3) 받침(사방 8센치 두께 2.4센치)의 한 가운데 구멍(가로 6 세로 2.4 깊이2.4센치)을
파서 위패의 본신을 꽂아 세운다
4) 본신은 높이 24센치, 넓이 6센치, 두께 2.4센치 이다
-본신이 받침에 2.4센치 묻힘으로 실제 남는 본신의 높이는 21.6센치 이다
5) 위의 위패 규격은 여건에 따라서 다를 수 있음
6) 고비 위패를 각각 따로 만든다. 고비위패를 독(감실) 하나에 함께 모신다.
대체로 앞면에 흰 분칠을 하지 않고 나무에 바로 쓴다
○ 직계선조위패 쓰는 법
▷ 주자가례에 신주 쓰는 법에 대하여 무관자는 학생,처사,수사,별호(아호) 등을 기재한다
고 하였음으로 위패도 이 규정을 준용하면 된다
▷ 위패에 봉사자는 기재하지 않는다
▷ 정례는 아니지만 부득이 위패를 재실에 봉안하고 세일사를 모실 때 위패 쓰는 법은
<지방식>, <선조로 표시한 혼합형> 등이 있으나 현실에 부합하는 위패형식을 선택
하기는 어려운 현실임
▷ 위의 두 가지 방법 중에서 문중마다 선택은 다르게 할 수 있지만 사견으로 종합적으로
검토할 때 <선조로 표시한 혼합형>이 적당할 것으로 판단됨 - 아래 1.2번 설명 참조
1.지방식 위패
▷ 지방 쓰는 방법대로 쓴다. 그러나 세대가 오래 경과되면 누구의 위패인지 구분이 어렵
고, 봉사자(초헌자)의 대수가 바뀔 때마다 위패의 대수를 수정해야 하는 단점이 있음
(1)고위위패
1) 顯五代祖考學生府君 神位.
2) 顯五代祖考處士府君 神位
3) 顯五代祖考月亭(사호,아호 등)處士府君 神位
4) 顯五代祖考月亭(사호,아호 등)府君 神位
(1) 비위위패
1) 顯五代祖妣孺人慶州金氏 神位
2) 顯五代祖妣孺人修仁堂(사호,당호 등)慶州金氏 神位
3) 顯五代祖妣修仁堂(사호,당호 등)慶州金氏 神位
2.‘先祖’로 표시한 혼합형 위패(신주의 함중식+분면식)
※ 예에 크게 어긋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정에 맞게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전제를 하고 아래와 같이 설명을 함
▷신주쓰는 법<참고용>
1) 고위함중식 신주 : 故學生全州李公諱甲童字仲甫 神主
2) 고위분면식 신주 : 顯考學生府君 神主
※ 위의 1),2)를 혼합하여 고위위패 작성
3) 비위함중식 신주 : 故孺人慶州金氏諱英喜 神主
4) 비위분면식 신주 : 顯妣孺人慶州金氏 神主
※ 위의 3),4)를 혼합하여 비위위패 작성
▷ 위패마다 ‘先祖’로 표시되기 때문에 시조로 부터 몇 세에 해당하는 선조인지
구분하기가 어려움으로 위패에 다음과 같이 世, 諱, 字, 배우자를 기재함
(1) 고위위패
예시1) 世, 諱, 字를 우측(위패를 바라보았을 때)에 기재하는 방법
八世諱甲童字仲甫(작은 글씨) -신주 함중식을 참고하여
원용함
顯先祖考學生府君 神位(중앙에 기재) -신주 분면식을 참고
하여 원용함
|
예시2) 世는 우측(위패를 바라보았을 때), 諱와 字는 중앙에 기재하는 방법
八世(작은 글씨)
顯先祖考學生府君諱甲童字仲甫 神位(중앙에 기재) - 신주
함중식과 분면식을 혼합하여 원용함
|
- ‘府君’대신에 ‘全州李公,으로 기재 할 수도 있겠으나 후손과 남자조상은 姓이 동일함으
로 같은 姓을 위패마다 기재하는 것 보다는 남자 조상의 존칭인 ’府君‘으로 기재하는
것이 좋을 것임
- 족보상 항렬에 맞추어 작명함으로서 同名異人이 있을 수 있음으로 字까지 기재하여 구분
하는 것이 좋음 - 함중식 신주에도 字를 기재함
(2) 비위위패
예시1) 世, 諱를 우측(위패를 바라보았을 때)에 기재하는 방법
八世諱甲童配諱英喜(작은 글씨) - 신주 함중식을 참고하여
원용함
顯先祖妣孺人慶州金氏 神位(중앙에 기재) - 신주 분면식을
참고하여 원용함
|
예시2) 世는 우측(위패를 바라보았을 때), 諱는 중앙에 기재하는 방법
八世諱甲童配(작은 글씨)
顯先祖妣孺人慶州金氏諱英喜 神位(중앙에 기재) - 신주
함중식과 분면식을 혼합하여 원용함
|
※ 위의 八世는 족보상 1세(시조, 중조)로부터 아래로 내려와서 8세에 해당하는 甲童
선조의 세수임(본인으로부터 위로 올라가는 8대조가 아님)
※ 위의 “예시 1, 2” 중에서 각 문중에서 판단하여 선택하면 좋을 것임
▷ 또 다른 방법은
위패의 우측에 諱, 字를 기재하고 중앙에 世를 기재하여 ‘顯八世考學生府君 神位’라고
하는 방법과 중앙에 한 줄로 世, 諱, 字를 함께 기재 하여 ‘顯八世考學生府君諱甲童字仲甫
神位’라고 하는 또 다른 2종류의 위패도 생각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선조의 호칭을
‘8세고’라고 하지 않고 족보상 8세에 해당하는 선조가 본인의 11대조일 경우 ‘11대조고’
혹은 ‘11대선조고’ 라고 호칭함으로서 위패의 본문(중앙)에 ‘8세고’라고 기재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생각됨. 우측에 작은 글씨로 ‘八世諱甲童字仲甫’ 혹은 ‘八世’ 라고 기재함이
타당할 것임
▷ 봉사자(초헌자)의 대수가 바뀌어도 위패의 ‘先祖’는 수정할 필요가 없음으로 영구적으로
봉안할 수 있음
▷ 신주의 함중식과 분면식을 혼합하여 諱, 字 등을 기재함으로서 누구의 위패 인지를 분명
히 알 수 있음
▷ 직계선조의 諱를 보이도록 기재한다는 것이 다소 불경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어디
까지나 신주가 아닌 위패이며, 문중에 따라서는 위패가 상당히 많을 수도 있기 때문에
구분할 수 있도록 諱와 字를 기재하는 것이 좋을 것임
▷ 세일사 독축시에 초헌자와의 관계 표시
※ 8세에 해당하는 선조가 초헌자의 11대조라고 가정할 때
축문1: 유세차-----11대손00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