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조선 청백리

ryu하곡 2012. 7. 3. 14:06

조선 청백리록

출처 : [타인글이나 자료 인용] 서적 : 한민족 대성보

http://kin.naver.com/open100/detail.nhn?d1id=6&dirId=613&docId=179331

조선 왕조에서는 청렴결백한 관리들을 찾아내어 포상하고 자손들까지 특혜를 주는 제도가 있었는데 이를 청백리록이라 했다 요즘 세대에 본이되고 귀감이 될 청백리록에 관하여 알아본다.

청백리(淸白吏)는 관리들 중에 청렴결백한 자를 의정부(議政府), 육조(六曹), 경조(京兆)의 2품 이상 당상관과 사헌부, 사간원의 수직(首職)들이 추천하여 선정한 청렴한 벼슬아치로 후세에 귀감(龜鑑)으로 삼게했던 관기숙정(官紀肅正)의 제도이다.

이에 녹선(錄選)되면 자손들은 부조(父祖)의 음덕으로 출사(出仕)의 특전이 부여되었다.

숙종 이후는 청백리의 자손이 많아 3상(三相)의 추천으로 대개 5명 정도로 특채했다.

조선조(朝鮮朝) 청백리록(淸白吏錄)

청백리(淸白吏)는 조선 시대 조정에 의해 선정된 청렴결백한 벼슬아치를 가리키는 말로 세상의 바른길을 장려하고 청조(淸操)를 진흥시키기 위해 제정한 제도로 청백리로 녹선(錄選)되면 품계(품階)가 오르고 그 이름이 기록에 남아 추앙을 받았으므로 그 종중과 자손들이 큰 자랑으로 삼았다.  

선출 방법은 일정하지 않았으나 대략 의정부(議政府), 육조(六曹), 한성부(漢城府)의 2품 이상의 관원과 사헌부(司憲府), 사간원(司諫院)의 수직(首職)들의 추천에 의하였다.이 제도는 조선조에 관리들 중에서 청렴결백한 사람만을 선발하여 후세에 길이 거울삼게 했던 관기숙정(官紀肅正)을 위한 제도였다.

  여기에 선발되기 위하여는 엄격한 자격 심사의 심의를 거쳐 임금의 재가(裁可)를 얻어야 했다. 또 녹선(錄選)이 되면 그 자손들도 부조(父祖)의 음덕(蔭德)을 입어 벼슬길에 나갈 수 있는 특전도 주어졌다.

  그러다 숙종 이후로는 이들 청백리의 자손이 너무 불어나 삼상(三相)과 고관이 추천하여 대개 5명 정도가 특채 등용되었는데, 그럼으로써 청백리가 많이 난 씨족들은 그것을 큰 자랑으로 삼았다.

  염근리(廉謹吏)라고도 하며, 고려 시대에는 염리(廉吏)로 불렸다. 고려사(高麗史)에도 이미 청백리를 선발한 기록이 있으며, 조선 시대에는 '전고대방(典故大方)'에 217명, 청선고(淸選考)에 186명이 기록되어 있다.

  조선조에 청백리를 배출한 씨족은 총 44씨족인데 여러 기록들에서 본관별로 6명 이상을 배출한 집안은 전주이씨, 파평윤씨, 안동김씨, 연안이씨, 남양홍씨, 전의이씨 등 6씨족뿐이라 하였다. 그 다음 순위로 5명을 배출한 씨족은 광주이씨, 한산이씨, 양천허씨 등이었다.

  또한 청백리로 녹선된 사람의 면면을 살펴보는 가운데에서 파평윤씨 병조판서 윤지인(尹趾仁)과 형조판서 윤용(尹容)은 부자(父子), 양천허씨 우의정 허종(許琮)과 우의정 허침(許琛) 및 동래정씨 이조판서 정갑손(鄭甲孫)과 영의정 정창손(鄭昌孫)은 형제로 모두 청백리에 녹선된 것을 자랑한다.

왕조(王朝

성명(姓名)

본관(本貫

관직(官職)

성명(姓名)

본관(本貫)

관직(官職)

태조조(太祖朝)

안 성(安 省)류 순(柳 珣)서 견(徐 甄)

광주(廣州)진주(晋州)이천(利川)

참 찬(參 贊)제 학(提 學)고려장령(掌令)

우현보(禹玄寶)길 재(吉 再) 

단양(丹陽)선산(善山)

찬성사(贊成使)고려주서(注書) 

태종조(太宗朝)

경 의(慶 儀)김약항(金若恒)최유경(崔有慶)박서생(朴瑞生)

청주(淸州)광산(光山)전주(全州)비안(比安)

절도사(節度使)대사성(大司成)참 찬(參 贊)대사헌(大司憲)

이지직(李之直)이백지(李伯持)이 원(李 原)최사의(崔士儀)

광주(廣州)용인(龍仁)고성(固城)경주(慶州)

참 의(參 議)관찰사(觀察使)좌의정(左議政)판돈녕(判敦寧)

세종조(世宗朝)

정 척(鄭 陟)황 희(黃 喜)맹사성(孟思誠)이석근(李石根)홍계방(洪桂芳)이정보(李廷보)황효원(黃孝源)김 장(金  廧)

진주(晋州)장수(長水)신창(新昌)전주(全州)남양(南陽)경주(慶州)상주(尙州)광산(光山)

판 윤(判 尹)영의정(領議政)좌의정(左議政)익평군(益平君)참 의(參 議)관찰사(觀察使)좌찬성(左贊成)장 령(掌 令)

최만리(崔萬理)류 관(柳 寬)류 겸(柳 謙)민불탐(閔不貪)박팽년(朴彭年)이 지(李 知)류 염(柳 琰) 

해주(海州)문화(文化)진주(晋州)여흥(驪興)순천(順天)경주(慶州)진주(晋州) 

부제학(副提學)우의정(右議政)좌참찬(左參贊)주 부(主 簿)승 지(承 旨)판 관(判 官)이 판(吏 判) 

세조조(世祖朝)

노숙동(盧叔仝)박 강(朴 薑)기 건(基 虔)김종순(金從舜)

풍천(豊川)반남(潘南)행주(幸州)경주慶州 

대사헌(大司憲)판중추(判中樞)판 서(判 書)판 윤(判 尹)

정문형(鄭文炯)이 언(李 堰)곽안방(郭安邦) 

봉화(奉化)흥양(興陽)현풍(玄風) 

판  서判   書)부 윤(府 尹)군 수(郡 守) 

성종조 (成宗朝)

정성근(鄭誠謹)성 현(成 俔)허 침(許 琛)윤석보(尹碩輔)이 훈(李 塤)김겸광(金謙光)양 관(粱 灌)조지서(趙之瑞)이신효(李愼孝)이약동(李約東)

진주(晋州)창녕(昌寧)양천(陽川)칠원(漆原)한산(韓山)광산(光山)남원(南原)임천(林川)전의(全義)벽진(碧珍)

직제학(直提學)대제학(大提學)우의정(右議政)직제학(直提學)참 찬(參 贊)판 서(判 書)동돈녕(同敦寧)보 덕(輔 德)관찰사(觀察使)지중추(知中樞)

임 정(林 整)허 종(許 琮)박 열(朴 說)구치관(具致寬)이현보(李賢輔)안팽명(安彭命)박처륜(朴處綸)민 휘(閔 暉)이 순(李 淳)류 훈(柳 塤)

안의(安義)양천(陽川)밀양(密陽)능성(綾城)영천(永川)광주(廣州)고령(高靈)여흥(驪興)우봉(牛峰)문화(文化)

예 판(禮 判)우의정(右議政)찬 성(贊 誠)영의정(領議政)판중추(判中樞)사  성(司 成)부제학(副提學)대사헌(大司憲)참 판(參 判)판 서(判 書)

중종조(中宗朝)

정매신(鄭梅臣)최명창(崔命昌)김무 (金 碔)오세한(吳世翰)김 전(金 詮)이선장(李善長)이 화(李 樺)정갑손(鄭甲孫)류 빈(柳 濱)류희철(柳希轍)손중돈(孫仲暾)조원기(趙元紀)김연수(金延壽)윤사익(尹思翼)이언적(李彦迪)유찬 (兪 儧)신공제(申公濟)어영준(魚泳濬)

진주(晋州)개성(開城)안동(安東)나주(羅州)연안(延安)한산(韓山)전의(全義)동래(東萊)진주(晋州)풍산(豊山)경주(慶州)한양(漢陽)안동(安東)무송(茂松)여주(驪州)기계(杞溪)고령(高靈)함종(咸從)

판 관(判 官)형 참(刑 參)공 판(工 判)병 사(兵 使)영의정(領議政)군 수(郡 守)병 판(兵 判)찬 성(贊 成)이 판(吏 判)집 의(執 義)참 찬(參 贊)판중추(判中樞)첨 정(僉 正)판중추(判中樞)찬 성(贊 成)수 사(水 使)이 판(吏 判) 사 인(舍 人)

조사수(趙士秀)권빈 (權璸)조치우(曺致虞)송 흠(宋 欽)강숙돌(姜叔突)류 헌(柳 軒)김종직(金宗直)정창손(鄭昌孫)이숭원(李崇元)김흔(金 訢)표 빈(表 斌)양지손(梁芝孫)박 상(朴 祥)이철균(李鐵均)김 정(金 淨)한형윤(韓亨允)김양진(金陽震) 

양주(楊州)안동(安東)창녕(昌寧)신평(新平)진주(晋州)전주(全州)선산(善山)동래(東萊)연안(延安)연안(延安)신창(新昌)남원(南原)충주(忠州)성주(星州)경주(慶州)청주(淸州)풍산(豊山)  

이 판(吏 判)전 적(典 籍)사옹정(司饔正)판중추(判中樞)사 간(司 諫)대사간(大司諫)형  판(刑 判)영의정(領議政)이 판(吏 判)공 참(工 參)시 정(寺 正)예 의(禮 議)이 판(吏 判)대사성(大司成)판 서(判 書)형 판(刑 判)공 판(工 判) 

명종조(明宗朝)

정 연(鄭 淵)이세장(李世璋)안 현(安 玹)김 순(金 洵)임보신(任輔臣)이 명(李 蓂)이몽필(李夢弼)성세장(成世章)윤 현(尹 鉉)우세겸(禹世謙)박민헌(朴民獻)김몽좌(金夢佐)주세붕(周世鵬)이 황(李 滉)허세린(許世麟)김팽령(金彭齡)오 상(吳 祥)김 우(金 雨)안종전(安從琠)유언겸(兪彦謙)김약묵(金若默)신사형(辛士衡)송익경(宋翼璟)

동래(東萊)전주(全州)순흥(順興)경주(慶州)풍천(豊川)예안(禮安)전주(全州)창녕(昌寧)파평(坡平)단양(丹陽)함양(咸陽)김해(金海)상주(尙州)진성(眞城)양천(陽川)경주(慶州)해주(海州)미상 죽산(竹山)창원(昌原)강진(康津)영월(寧越)미상

군 수(郡 守)관찰사(觀察使)좌의정(左議政)정 랑(正 郞)형 의(刑 議)좌의정(左議政)이 참(吏 參)호 판(戶 判)찬 성(贊 成)부 정(副 正)참 판(參 判)직 장(直 長)찬 성(贊 成)찬 성(贊 成)좌 윤(左 尹)사 용(司 勇)이 판(吏 判)부 사(府 使)군 수(郡 守)정 랑(正 郞)집 의(執 義)목 사(牧 使)미상

윤 부(尹 釜)정종영(鄭宗榮)박수량(朴守良)임호신(任虎臣)홍 섬(洪 暹)이 영(李 榮)홍 담(洪 曇)윤춘년(尹春年)류 혼(柳 渾)박영준(朴永俊)이증영(李增榮)이준경(李浚慶)김 개(金 鎧)송 찬(宋 贊)안 잠(安 潛)강윤권(姜允權)신 잠(申 潛)이중경(李重慶)김 광(金 擴)변훈남(卞勳男)노진 (盧禛)김취문(金就文) 

파평(坡平)초계(草溪)태인(泰仁)풍천(豊川)남양(南陽)영천(永川)남양(南陽)파평(坡平)문화(文化)고령(高靈)전의(全義)광주(廣州)광산(光山)진천(鎭川)순흥(順興)진주(晋州)고령(高靈)광주(廣州)연안(延安)초계(草溪)풍천(豊川)선산(善山) 

병 참(兵 參)찬 성(贊 成)참 찬(參 贊)지돈녕(知敦寧)영의정(領議政)수 사(水 使)판 서(判 書)판 서(判 書)부 정(副 正)이 판(吏 判)공 정(工 正)영의정(領議政)판서(判   書)판중추(判中樞)별 좌(別 坐)사재정(使宰正)목 사(牧 使)이 참(吏 慘)부 사(府 使)현 령(縣 令)판 서(判 書)대사간(大司諫) 

선조조(宣祖朝)

심수경(沈守慶)이기 (李 墍)이원익(李元翼)이항복(李恒福)백인걸(白仁傑)최흥원(崔興源)안자유(安自裕)정곤수(鄭곤壽)이광정(李光庭)심희수(沈喜壽)허 욱(許 頊)최여림(崔汝林)이기설(李基卨)김  행(金 行)

풍산(豊山)한산(韓山)전주(全州)경주(慶州)수원(水原)삭녕(削寧)순흥(順興)청주(淸州)연안(延安)풍산(豊山)양천(陽川)전주(全州)연안(延安)강릉(江陵)

우의정(右議政)이 판(吏 判)영의정(領議政)영의정(領議政)참 찬(參 贊)좌의정(左議政)이 판(吏 判)찬 성(贊 成)참 찬(參 贊)우의정(右議政)좌의정(左議政)승 지(承 旨)장 령(掌 令)직제학(直提學)

허 잠(許 潛)이우직(李友直)류성룡(柳成龍)이직언(李直彦)이시언(李時彦)장필무(張弼武)이제신(李濟臣)김 수(金  晬)이후백(李後白)성 영(成 泳)이유중(李有中)김장생(金長生)오억령(吳億齡)

양천(陽川)여주(驪州)풍산(豊山)전주(全州)구례(求禮)전의(全義)안동(安東)연안(延安)창녕(昌寧)덕수(德水)광산(光山)동복(同福)

이 판(利 判)예 판(禮 判)영의정(領議政)찬 성(贊 成)병 사(兵 使)병 사(兵 使)판중추(判中樞)이 판(吏 判)이 판(吏 判)대사헌(大司憲)참 판(參 判)판 서(判 書)

인조조(仁祖朝)

김상헌(金尙憲)민여임(閔汝任)김덕함(金德諴)성하종(成夏宗)이시백(李時白)신경진(辛慶晋)김신국(金藎國)

안동(安東)여흥(驪興)상주(尙州)창녕(昌寧)연안(延安)영월(寧越)청풍(淸風

영의정(領議政)참 판(參 判)대사헌(大司憲)병 사(兵 使)영의정(領議政)대사헌(大司憲)영중추(領中樞)

김시양(金時讓)이안눌(李按訥)이명준(李命俊)최진립(崔震立)홍명하(洪命夏)구곤원具坤源 

안동(安東)덕수(德水)전의(全義)경주(慶州)남양(南陽)능성(陵城)

판 관(判 官)이 판(吏 判)참 판(參 判)공 참(工 參)영의정(領議政)정 랑(正郞) 

숙종조(肅宗朝)

이상진(李尙眞)강백년(姜栢年)류경창(柳慶昌)최 관(崔 寬)성이성(成以性)조 속(趙 涑)홍우량(洪宇亮)이태영(李泰英)강세구(姜世龜)강유후(姜裕後)윤지인(尹趾仁)

전의(全義)진주(晋州)전주(全州)전주(全州)창녕(昌寧)풍양(豊壤)남양(南陽)진주(晋州)진주(晋州)진주(晋州)파평(坡)

좌의정(左議政참 찬(參 贊)이 참(吏 參)지중추(知中樞)부 사(府 使)진 선(進 善)수 사(水 使)부 사(府 使)대사간(大司諫)부 사(府 使)병 판(兵 判)

조 경(趙 絅)조석윤(趙錫胤)박신규(朴信圭)이지온(李之馧)이후정(李后定)홍 무(洪 茂)강 열(姜 說)이세화(李世華)윤 추(尹 推)최경창(崔慶昌)이 제(李 濟)

한양(漢陽)배천(白川)밀양(密陽)공주(公州)연안(延安)남양(南陽)진주(晋州)부평(富平)파평(坡平)해주(海州)전주(全州)

판중추(判中樞)이 참(吏 參)참 찬(參 贊)좌 윤(左 尹)참 지(參 知)정 랑(正 郞)부 사(府 使)판 서(判 書)장 령(掌 令)부 사(府 使)우 윤(右 尹)

경종조(景宗朝)

류상운(柳尙運)강석범(姜錫範)김두남(金斗南)

문화(文化)진주(晋州)안동(安東)

영의정(領議政)도 정(都 正)헌 납(獻 納)

송정규(宋廷奎)이명준(李明俊)이하원(李夏源)

여산(礪山)연안(延安)광주(廣州)

관찰사(觀察使)부 사(府 使)판 서(判 書)

영조조(英祖朝)

허 정(許 晶)윤 용(尹 容)정형복(鄭亨復)윤득재(尹得載)이겸진(李謙眞)

양천(陽川)파평(坡平)동래(東萊)해평(海平)덕수(德水)

수 사(水 使)형 판(刑 判)형 판(刑 判)병 판(兵 判)

이병태(李秉泰)한덕필(韓德弼)최유현(崔有賢)이태중(李台重) 

한산(韓山)청주(淸州)삭녕(朔寧)한산(韓山) 

부제학(副提學)참 판(參 判)세 마(洗 馬)호 판(戶 判) 

정조조(正祖朝)

이의필(李義弼)

전주(全)

참 찬(參 贊)

이단석(李端錫)

전주(全州)

참 판(參 判)

순조조(純祖朝)

남이형(南履炯)한익상(韓益相)

의령(宜寧)청주(淸州

부 사(府 使)관찰사(觀察使)

서기순(徐箕淳)심의신(沈宜臣)

대구(大邱)청송(靑松 

판 서(判 書)관찰사(觀察使)

이 글은 교양인의 보학(譜學) 상식http://kksga99.hosting.paran.com/ 에서 모셔왔습니다

※ 서울특별시에서 2009년부터 서울특별시와 25개 자치구의 공무원 중 청렴 결백성 및 헌신 봉사성 공사생활의 건전성 건전 사회 기풍에 기여한 직원을 선발하여 매년 ‘하정청백리’상을 수여하고 있으며 6급이하 직원은 1계급 특진의 혜택을 주어진다. 서울특별시에서는 청백리상 이름을 제정할 때 황희(파주) 맹사성(아산, 경기광주) 최만리(안성) 류관(동대문) 등 한양과 경기 지역에 거주했던 조선 청백리 중에서 서울시의 청렴성과 봉사성에 가장 맞는 청백리로 류관이 선정되어 류관의 호인 하정청백리상으로 정하였습니다.

※ 돌아가신 후에 장례비가 없어 나라에서, 주변 친구들이 장례비를 마련해 주신분은 류관(세종조) 구치관(성종조) 박수량(명종조) 최진립(인조조) 등 입니다.

※ 황희 맹사성 박수량은과 감사원이 선정한 조선시대 청백리 3인 입니다.